"130. 승천포(昇天浦)"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30. 승천포(昇天浦312)) 昇天浦口問歸船승천포 나루에서 돌아가는 배 물어보니, 或指開城或漢川어떤 것은 개성이요 어떤 것은 한강을 가리...)
 
1번째 줄: 1번째 줄:
130. 승천포(昇天浦312))
 
昇天浦口問歸船승천포 나루에서 돌아가는 배 물어보니,
 
或指開城或漢川어떤 것은 개성이요 어떤 것은 한강을 가리키네.
 
念昔高皇麾二將옛적에 태조께서 두 장수 거느리고,
 
倭氛掃盡此津邊왜구를 소탕한 곳이 바로 이 나룻가네.
 
  
 +
<big>昇天浦口問歸'''船''' (<small>승천포구문귀'''선'''</small>)    승천포 나루에서 돌아가는 배 물어보니, <br />或指開城或漢'''川''' (<small>혹지개성혹한'''천'''</small>)    어떤 것은 개성이요 어떤 것은 한강을 가리키네.<br />念昔高皇麾二將 (<small>념석고황휘이장</small>)    옛적에 태조께서 두 장수 거느리고,<br />倭氛掃盡此津'''邊''' (<small>왜분소진차진'''변'''</small>)    왜구를 소탕한 곳이 바로 이 나룻가네.<br />
 +
 +
</big>
  
 
○ 고려 우왕 4년 무오년(1378)에 우리 태조 고황제(高皇帝)와 최영(崔瑩), 양백연(楊伯淵)이 승천부(昇天府)에서 왜병(倭兵)을 크게 격파하였다.
 
○ 고려 우왕 4년 무오년(1378)에 우리 태조 고황제(高皇帝)와 최영(崔瑩), 양백연(楊伯淵)이 승천부(昇天府)에서 왜병(倭兵)을 크게 격파하였다.
○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이 이곳을 건너면서 시를 지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바람 물결 모질어 막지도 못하는데(遮莫風濤
 
惡), 호기를 부리는 손과도 같지 않네(無如客興豪). 파란 하늘은 작은 돌에 기대 있고(靑天欹片石), 하이얀 저 눈은 봄 옷을 씻는구나
 
(白雪洒春袍). 고래악어 보고서는 크게 한 번 웃어주고(一笑看鯨鱷), 술내오라 명하고서 노래를 부르네(長歌命酒醪). 외로운 배 아무리 실
 
세했다 하지만(孤槎縱失勢), 저 높은 하늘을 해치지는 못하네(未害上天高).”
 
○ 포음(圃陰) 김창집(金昌緝)의 시는 다음과 같다. “마니산을 나막신 신고 가고(摩山收蠟屐) 승천포 가에서 고기를 낚는구나.(昇浦上
 
漁舠) 지는 해에 초루가 작아보이니(落日華譙小) 봄바람에 푸른 바다 높구나.(春風碧海高) 배 지나니 악어가 놀라고(揚帆驚怒鱷) 배 멈
 
추니 높은 파도 밀려오네.(散帙信飛濤) 집안의 경계를 범할지라도(縱犯垂堂戒) 내 길에서 스스로 호기 부리네.(吾行也自豪)”
 
  
312) 송해면 당산리 당산 동쪽에 있던 포구이다. 고려 때 개경으로 건너가는 나루터였다.
+
○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이 이곳을 건너면서 시를 지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
遮莫風濤惡 (차막풍도악)    바람 물결 모질어 막지도 못하는데, <br />無如客興豪 (무여객흥호)    호기를 부리는 손과도 같지 않네. <br />靑天欹片石 (청천의편석)    파란 하늘은 작은 돌에 기대 있고, <br />白雪洒春袍 (백설세춘포)    하이얀 저 눈은 봄 옷을 씻는구나. <br />一笑看鯨鱷 (일소간경악)    고래악어 보고서는 크게 한 번 웃어주고, <br />長歌命酒醪 (장가명주료)    술내오라 명하고서 노래를 부르네. <br />孤槎縱失勢 (고차종실세)    외로운 배 아무리 실세했다 하지만, <br />未害上天高 (미해상천고)    저 높은 하늘을 해치지는 못하네.<br />
 +
 
 +
 
 +
○ 포음(圃陰) 김창집(金昌緝)의 시는 다음과 같다.
 +
 
 +
摩山收蠟屐 (마산수랍극) 마니산을 나막신 신고 가고 <br />昇浦上漁舠 (승포상어도) 승천포 가에서 고기를 낚는구나. <br />落日華譙小 (락일화초소)지는 해에 초루가 작아보이니 <br />春風碧海高 (춘풍벽해고) 봄바람에 푸른 바다 높구나. <br />揚帆驚怒鱷 (양범경노악) 배 지나니 악어가 놀라고<br />散帙信飛濤 (산질신비도) 배 멈추니 높은 파도 밀려오네. <br />縱犯垂堂戒 (종범수당계) 집안의 경계를 범할지라도<br />吾行也自豪 (오행야자호) 내 길에서 스스로 호기 부리네. <br />
 +
 
 +
==참고==
 +
* 승천포(昇天浦) : 송해면 당산리 당산 동쪽에 있던 포구이다. 고려 때 개경으로 건너가는 나루터였다.

2019년 5월 24일 (금) 23:42 판

昇天浦口問歸 (승천포구문귀)     승천포 나루에서 돌아가는 배 물어보니, 
或指開城或漢 (혹지개성혹한) 어떤 것은 개성이요 어떤 것은 한강을 가리키네.
念昔高皇麾二將 (념석고황휘이장) 옛적에 태조께서 두 장수 거느리고,
倭氛掃盡此津 (왜분소진차진) 왜구를 소탕한 곳이 바로 이 나룻가네.

○ 고려 우왕 4년 무오년(1378)에 우리 태조 고황제(高皇帝)와 최영(崔瑩), 양백연(楊伯淵)이 승천부(昇天府)에서 왜병(倭兵)을 크게 격파하였다.

○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이 이곳을 건너면서 시를 지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遮莫風濤惡 (차막풍도악)     바람 물결 모질어 막지도 못하는데, 
無如客興豪 (무여객흥호) 호기를 부리는 손과도 같지 않네.
靑天欹片石 (청천의편석) 파란 하늘은 작은 돌에 기대 있고,
白雪洒春袍 (백설세춘포) 하이얀 저 눈은 봄 옷을 씻는구나.
一笑看鯨鱷 (일소간경악) 고래악어 보고서는 크게 한 번 웃어주고,
長歌命酒醪 (장가명주료) 술내오라 명하고서 노래를 부르네.
孤槎縱失勢 (고차종실세) 외로운 배 아무리 실세했다 하지만,
未害上天高 (미해상천고) 저 높은 하늘을 해치지는 못하네.


○ 포음(圃陰) 김창집(金昌緝)의 시는 다음과 같다.

摩山收蠟屐 (마산수랍극) 마니산을 나막신 신고 가고 
昇浦上漁舠 (승포상어도) 승천포 가에서 고기를 낚는구나.
落日華譙小 (락일화초소)지는 해에 초루가 작아보이니
春風碧海高 (춘풍벽해고) 봄바람에 푸른 바다 높구나.
揚帆驚怒鱷 (양범경노악) 배 지나니 악어가 놀라고
散帙信飛濤 (산질신비도) 배 멈추니 높은 파도 밀려오네.
縱犯垂堂戒 (종범수당계) 집안의 경계를 범할지라도
吾行也自豪 (오행야자호) 내 길에서 스스로 호기 부리네.

참고

  • 승천포(昇天浦) : 송해면 당산리 당산 동쪽에 있던 포구이다. 고려 때 개경으로 건너가는 나루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