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지선 콘텐츠 제작노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노드)
6번째 줄: 6번째 줄: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언어가 있는 곳이면 욕이 존재한다. 그러한 욕이 처음 나온 상황과 배경, 그리고 욕으로 고착화되어 사용되는 과정과, 현재 사용되는 상황을 보면, 그 나라의 정서와 역사, 문화적 맥락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욕문화에 대한 고찰은 한국의 내외국민, 그리고 외국인에게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라 기대된다.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언어가 있는 곳이면 욕이 존재한다. 그러한 욕이 처음 나온 상황과 배경, 그리고 욕으로 고착화되어 사용되는 과정과, 현재 사용되는 상황을 보면, 그 나라의 정서와 역사, 문화적 맥락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욕문화에 대한 고찰은 한국의 내외국민, 그리고 외국인에게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라 기대된다.
 
==주요노드==
 
==주요노드==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노드 || 범주 || 비고
 +
|-
 +
| 용모나 행실에 관련된 욕 || 언어 ||
 +
|-
 +
| 형벌에 관련된 욕 || 언어 ||
 +
|-
 +
| 질병에 관련된 욕|| 언어 || 
 +
|-
 +
| 출신성분에 관련된 욕 || 언어 || 
 +
|-
 +
| 미인박명 || 문화 || 
 +
|-
 +
| 미신 || 문화 || 
 +
|-
 +
| 소설 || 문화 || 
 +
|-
 +
| 민속극 || 문화 || 
 +
|-
 +
| 민요 || 문화 ||
 +
|-
 +
| 욕쟁이 할머니 || 문화/인물 || 
 +
|-
 +
| 핼머니 || 문화 || 
 +
|-
 +
| 영화 || 문화 ||
 +
|-
 +
| 저주 || 문화 ||
 +
|-
 +
| 애칭 || 문화 ||
 +
|-
 +
| 능욕  || 문화 ||     
 +
|}
 +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
 
==참고자료==

2019년 5월 8일 (수) 15:15 판

주제

한국의 욕문화

한국의 욕문화에 대해 알아본다.

전 세계 어디를 가도, 언어가 있는 곳이면 욕이 존재한다. 그러한 욕이 처음 나온 상황과 배경, 그리고 욕으로 고착화되어 사용되는 과정과, 현재 사용되는 상황을 보면, 그 나라의 정서와 역사, 문화적 맥락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욕문화에 대한 고찰은 한국의 내외국민, 그리고 외국인에게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라 기대된다.

주요노드

노드 범주 비고
용모나 행실에 관련된 욕 언어
형벌에 관련된 욕 언어
질병에 관련된 욕 언어
출신성분에 관련된 욕 언어
미인박명 문화
미신 문화
소설 문화
민속극 문화
민요 문화
욕쟁이 할머니 문화/인물
핼머니 문화
영화 문화
저주 문화
애칭 문화
능욕 문화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