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 제4의 길을 찾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표지3.jpg|300px|right|한국교육 제4의 길을 찾다]]
 
[[파일:표지3.jpg|300px|right|한국교육 제4의 길을 찾다]]
 +
 +
==책 소개==
 +
 +
==목차==
 +
<pre>
 +
추천의 글 | 박노자(오슬로대 한국학 교수)
 +
머리글
 +
제1장 한국 교육 제1의 길, 민주주의 교육을 만나다
 +
해방공간의 교육, 흐린 물과 새로운 물이 섞이다
 +
새교육은 미국 직수입품인가?
 +
사회생활과는 친미 과목인가?
 +
정치가 망친 신학제 논쟁
 +
신라식 민주주의를 꿈꾸다
 +
민들레 곱게 핀 언덕길 넘어 탕크가 갑니다
 +
서적중심학교에서 생활중심학교로, 커리큘럼개조운동
 +
NEA양복감과 한글 간소화 파동
 +
소나무에 대나무를 접붙이다, 제1차 국가교육과정의 탄생
 +
교각살우의 망동, 교육자치제 폐지운동
 +
첫 여교감, 여교장
 +
존 듀이를 넘어서려던 욕망
 +
응답하라 1960
 +
학교 귀퉁이의 교사가 될 것인가, 사회 복판의 교사가 될 것인가?
 +
새교육의 경고
 +
한국 교육 제1의 길
 +
 +
제2장 한국 교육 제2의 길, 국가권력이 만든 두 개의 교육
 +
교육망국론 시대의 교육
 +
풍월을 읊는 가여운 당견
 +
치맛바람에 맞선 ‘7ㆍ15 어린이 해방’
 +
국가권력이 교육제도와 이념을 지배하다
 +
‘달세기’를 맞이하는 비과학적 태도
 +
‘노이로제 시대’의 교육, 그리운 사모아
 +
경제성장이 낳은 부작용, 교직이탈과 교직기피
 +
순화불능학생은 관계기관에 고발, 7ㆍ30 교육 쿠데타의 교훈
 +
스카이콩콩의 추억, 교육자율화의 시대
 +
두 개의 선언, 두 개의 교육
 +
유전합격 무전낙방, 예체능 입시비리
 +
교원임용고시, 27년 고통의 시작
 +
한국 교육 제2의 길
 +
 +
제3장 한국 교육 제3의 길, 시장이 지배하는 교육
 +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5ㆍ31교육개혁의 파고
 +
새천년의 시작, 학교붕괴, 그리고 조기유학 열풍
 +
공교육 붕괴의 부산물, 자사고의 명과 암
 +
3불정책은 시대착오적 유령인가?
 +
시험민국대통령 이명박의 선물, 일제고사
 +
한국 교육 제3의 길
 +
 +
제4장 한국 교육 제4의 길, 혁신학교의 꿈 문화국가
 +
대안학교를 넘어 혁신학교로
 +
S대학교는 폐교되어야
 +
문화국가를 위한 교육
 +
한국 교육 제4의 길
 +
</pre>
 +
 +
==출판사 서평==
 +
 +
===우리 교육은 왜 새로운 길을 걸어야 하는가?===
 +
 +
*한국 교육 70년의 발자취 속에서 찾아낸 미래교육의 길
 +
 +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 우리 교육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활자와 다릅니다. 지난 70년 우리 교육은 오직 대학입시를 위한 줄 세우기 교육이었습니다.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학벌주의 사회가 주는 온갖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서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이 정상화되기 어렵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다 알지만 벗어나지 못하는 교육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국가권력과 시장에 끌려다닌 우리 교육이 새로운 길을 가야 할 이유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자가 찾아낸 이유는 분명하고 방법은 간단명료합니다. 온갖 교육 특권을 폐지해 공공성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_박원순?서울특별시 시장
 +
 +
이 책은 한국 교육 70년의 발자취를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쾌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저자는 한국 교육이 제4의 길에서는 더 이상 경쟁적이고 이기적인 인간이 아니라 협력적이고 배려하는 인간을 길러야 하며, 학생의 경험과 관심이 존중받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과 현장의 자율성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을 많은 독자들이 읽으며 교육의 본질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 우리나라 교육의 장애물들을 함께 극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_형인이?인천 신현고등학교 교사판사 서평

2019년 3월 12일 (화) 07:00 판

한국교육 제4의 길을 찾다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박노자(오슬로대 한국학 교수) 
머리글 
제1장 한국 교육 제1의 길, 민주주의 교육을 만나다 
해방공간의 교육, 흐린 물과 새로운 물이 섞이다 
새교육은 미국 직수입품인가? 
사회생활과는 친미 과목인가? 
정치가 망친 신학제 논쟁 
신라식 민주주의를 꿈꾸다 
민들레 곱게 핀 언덕길 넘어 탕크가 갑니다 
서적중심학교에서 생활중심학교로, 커리큘럼개조운동 
NEA양복감과 한글 간소화 파동 
소나무에 대나무를 접붙이다, 제1차 국가교육과정의 탄생 
교각살우의 망동, 교육자치제 폐지운동 
첫 여교감, 여교장 
존 듀이를 넘어서려던 욕망 
응답하라 1960 
학교 귀퉁이의 교사가 될 것인가, 사회 복판의 교사가 될 것인가? 
새교육의 경고 
한국 교육 제1의 길 

제2장 한국 교육 제2의 길, 국가권력이 만든 두 개의 교육 
교육망국론 시대의 교육 
풍월을 읊는 가여운 당견 
치맛바람에 맞선 ‘7ㆍ15 어린이 해방’ 
국가권력이 교육제도와 이념을 지배하다 
‘달세기’를 맞이하는 비과학적 태도 
‘노이로제 시대’의 교육, 그리운 사모아 
경제성장이 낳은 부작용, 교직이탈과 교직기피 
순화불능학생은 관계기관에 고발, 7ㆍ30 교육 쿠데타의 교훈 
스카이콩콩의 추억, 교육자율화의 시대 
두 개의 선언, 두 개의 교육 
유전합격 무전낙방, 예체능 입시비리 
교원임용고시, 27년 고통의 시작 
한국 교육 제2의 길 

제3장 한국 교육 제3의 길, 시장이 지배하는 교육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5ㆍ31교육개혁의 파고 
새천년의 시작, 학교붕괴, 그리고 조기유학 열풍 
공교육 붕괴의 부산물, 자사고의 명과 암 
3불정책은 시대착오적 유령인가? 
시험민국대통령 이명박의 선물, 일제고사 
한국 교육 제3의 길 

제4장 한국 교육 제4의 길, 혁신학교의 꿈 문화국가 
대안학교를 넘어 혁신학교로 
S대학교는 폐교되어야 
문화국가를 위한 교육 
한국 교육 제4의 길 

출판사 서평

우리 교육은 왜 새로운 길을 걸어야 하는가?

  • 한국 교육 70년의 발자취 속에서 찾아낸 미래교육의 길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 우리 교육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활자와 다릅니다. 지난 70년 우리 교육은 오직 대학입시를 위한 줄 세우기 교육이었습니다.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학벌주의 사회가 주는 온갖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서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이 정상화되기 어렵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다 알지만 벗어나지 못하는 교육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국가권력과 시장에 끌려다닌 우리 교육이 새로운 길을 가야 할 이유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자가 찾아낸 이유는 분명하고 방법은 간단명료합니다. 온갖 교육 특권을 폐지해 공공성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_박원순?서울특별시 시장

이 책은 한국 교육 70년의 발자취를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쾌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저자는 한국 교육이 제4의 길에서는 더 이상 경쟁적이고 이기적인 인간이 아니라 협력적이고 배려하는 인간을 길러야 하며, 학생의 경험과 관심이 존중받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과 현장의 자율성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을 많은 독자들이 읽으며 교육의 본질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 우리나라 교육의 장애물들을 함께 극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_형인이?인천 신현고등학교 교사판사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