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음악활동'''== | =='''음악활동'''== | ||
+ | 그의 아들 김용만의 회고록에 의하면 '아버지를 생각할 때, 늘 가장 먼저 떠로르는 것은 언제나 일에 열중히 계시던 모습이다'<ref> 국립국악원,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991, 79쪽</ref>라며 아버지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그는 먹고 잘때를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일에 열중하면서 지냈다고 한다. 일에 대한 그의 열정은 국악계에 많은 업적을 남기는데에 기여하였다. 여러가지 업적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창작국악의 문을 열었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은 국악창작곡의 효시가 되는 작품이다.<ref> 이능화의 한시에 김기수가 곡을 붙인 곡으로 1939년에 작곡하였다. 이 곡은 이왕직에서 일본기원 2600년이 되는 1900년 행사에 사용할 창작곡을 공모전에서 당선된 작품이다. 이러한 이유로 김기수의 다른 작품인 <세우영> 혹은 <고향소>를 창작국악곡의 효시로 보자는 의견도 있다. 이수정, 황화만년지곡 연구, 『온지논총』제45집, 2006, 235쪽</ref> 그리고 그가 작곡한 <정백혼>이라는 작품은 국악관현악곡으로 이 곡을 통해서 국악관현악에 지휘봉이 처음 도입되었고,<ref>김우진,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한국음악사학보』제47집, 2011, 62쪽</ref> 현재까지도 국악관현악에 지휘를 한다. 그 외에 그가 작곡한 곡수는 약 510곡,<ref>서한범, 죽헌 김기수론,『한국음악사학보』제17집, 1996, 56쪽</ref>정도이다. 또 다른 업적으로는 악보편찬이다. 당시 연주되던 정악, 민속악을 오선보 혹은 정간보로 채보하였다. 그가 편찬한 국악교재들은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등으로 국악사양성소의 정규교재로 사용되었다,<ref>김우진,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한국음악사학보』제47집, 2011, 56쪽</ref> 그가 작업한 악보에는 시김해 부호 통일 등 실제음악에 더 가까워졌는데, 이전에 구전심수로 배웠던 국악교육이 악보를 통한 국악교육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단소연주가 필수로 음악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렇게 단소가 교육현장에서 많이 불릴 수 있도록 한 사람도 그였다. 그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교육용 단소 등을 제작하여 규격과 음악을 통일하였고, 저렴한 생산비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국악원에 그의 동상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친일파 동상 논란에 휩싸였다. 그가 미쓰야마 테쓰조(光山哲三)로 창씨개명을 하였고, 일본 천황 탄신을 기념하는 곡인 <황화만년지곡>을 지었다는 이유때문인데, 결국 국립국악원에서는 김기수의 친일행적을 동상에 기록하는 것<ref>[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372958§ion=sc2]국립국악원, 친일파 동상 논란에 "재검토 중"</ref>으로 이 논란의 결론을 지었다. | ||
+ | |||
+ | |||
새것을 찾으려거든 전통을 더 깊이 파라(대학예술원 프로필_ | 새것을 찾으려거든 전통을 더 깊이 파라(대학예술원 프로필_ | ||
2017년 6월 26일 (월) 18:52 판
개요
김기수(金琪洙, 죽헌(竹軒), 光山哲三, 1917.11.22~1986.10.21)는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국악인이다.
기본 정보
- 이름 = 김기수(金琪洙)
- 아호 = 죽헌(竹軒)
- 전공 = 대금
- 출생지 = 서울시
- 출생-사망 = 1917-1986
음악활동
그의 아들 김용만의 회고록에 의하면 '아버지를 생각할 때, 늘 가장 먼저 떠로르는 것은 언제나 일에 열중히 계시던 모습이다'[1]라며 아버지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그는 먹고 잘때를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일에 열중하면서 지냈다고 한다. 일에 대한 그의 열정은 국악계에 많은 업적을 남기는데에 기여하였다. 여러가지 업적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창작국악의 문을 열었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은 국악창작곡의 효시가 되는 작품이다.[2] 그리고 그가 작곡한 <정백혼>이라는 작품은 국악관현악곡으로 이 곡을 통해서 국악관현악에 지휘봉이 처음 도입되었고,[3] 현재까지도 국악관현악에 지휘를 한다. 그 외에 그가 작곡한 곡수는 약 510곡,[4]정도이다. 또 다른 업적으로는 악보편찬이다. 당시 연주되던 정악, 민속악을 오선보 혹은 정간보로 채보하였다. 그가 편찬한 국악교재들은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등으로 국악사양성소의 정규교재로 사용되었다,[5] 그가 작업한 악보에는 시김해 부호 통일 등 실제음악에 더 가까워졌는데, 이전에 구전심수로 배웠던 국악교육이 악보를 통한 국악교육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단소연주가 필수로 음악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렇게 단소가 교육현장에서 많이 불릴 수 있도록 한 사람도 그였다. 그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교육용 단소 등을 제작하여 규격과 음악을 통일하였고, 저렴한 생산비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국악원에 그의 동상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친일파 동상 논란에 휩싸였다. 그가 미쓰야마 테쓰조(光山哲三)로 창씨개명을 하였고, 일본 천황 탄신을 기념하는 곡인 <황화만년지곡>을 지었다는 이유때문인데, 결국 국립국악원에서는 김기수의 친일행적을 동상에 기록하는 것[6]으로 이 논란의 결론을 지었다.
새것을 찾으려거든 전통을 더 깊이 파라(대학예술원 프로필_
주요경력
- 1941년 이왕직아아부원 양성소 제4기 입학
- 1936년 이왕직아악부 아악수
- 1951년 국립국악원 예술사
- 1953년 국립국악원 장악과장
- 1962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보유자
-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보유자
- 1973년 국립국악원 원장
- 1977년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장
- 198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주요작품 및 저서
- 작품 1939년 황화만년지곡
- 작품 1941년 세우영
- 작품 1944년 고향소
- 작품 1953년 회서양
- 작품 1962년 새나라
- 작품 1983년 초롱
- 저서 1958년 《악전첫걸음》
- 저서 1958년 《한국민요오십곡집》
- 저서 1961년 《대금교본》
- 저서 1963년 《단소교본》
- 저서 1967년 《고가신조》
- 저서 1958년 《한국음악》
- 저서 1971년 《월하정가선》
- 저서 1972년 《국악입문》
- 저서 1973년 《국악전집》
- 저서 1976년 《속고가신조》
- 저서 1991년 《단소율보》
- 저서 1994년 《가야금정악》
참고문헌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