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령공주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ref>[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303 <출처>: 네이버영화]</ref
 
==기본정보==
 
==기본정보==
  
46번째 줄: 47번째 줄:
  
 
북방계 신화의 내용은 원령공주에 나오는 사슴신과 연관이 깊다. 북방계 신화에는 사슴에 대한 이야기 많은데, 영화 속에서는 사슴신이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최고신으로 등장한다. 또한 어린아이의 영혼 같이 하얗고 작은 "고다마"들은, 인간 영혼이 벌거벗은 아이 모습으로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샤먼의 부름을 받고 세상으로 나온다는 신화적 관념을 연상시킨다. 늑대의 딸이라는 설정은 원령공주에게 샤먼이라는 성격을 부여하고, 버림받은 아기라는 설정은 영웅성을 지시한다. 들개족의 전사이며 그들의 중간 지도자(흰 들개 두 마리가 언제나 그녀를 호위한다)이기도 한 원령공주는 그들에 의해 양육되고 동물신들과 대화하는 점에서 샤먼의 모습을 충분히 보이고 있다. 게다가 북방계 시베리아 신화 체계에서, 흰 개를 타고 달리는 행위는 명계를 통과하는 샤먼의 천상여행이나 지하여행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러한 영혼여행의 모티프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에서 많이 발견되는 전형적인 이야기이며 이 때 타고 다니는 말이나 개는 명계를 여행하는 샤먼의 동행자이다. 원령공주가 착용하는 가면은 두말할 것도 없는 샤먼의 표식이다. 마법사나 사제가 동물을 상징하는 의상을 입고 동물로 변장하는 까닭은 스스로를 초인간적 상태로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어떤 토템을 상징하는 가면을 쓰는 것은 곧 그 토템이 됨을 의미한다. 이는 신화적 형상의 구현이며 초인간적인 영적 존재를 표상하는 것이다. 이런 여러 요인들은 원령공주가 샤먼, 즉 자연과 여러 신들의 대리자 역할을 부여받은 어린 여사제임을 알려준다.
 
북방계 신화의 내용은 원령공주에 나오는 사슴신과 연관이 깊다. 북방계 신화에는 사슴에 대한 이야기 많은데, 영화 속에서는 사슴신이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최고신으로 등장한다. 또한 어린아이의 영혼 같이 하얗고 작은 "고다마"들은, 인간 영혼이 벌거벗은 아이 모습으로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샤먼의 부름을 받고 세상으로 나온다는 신화적 관념을 연상시킨다. 늑대의 딸이라는 설정은 원령공주에게 샤먼이라는 성격을 부여하고, 버림받은 아기라는 설정은 영웅성을 지시한다. 들개족의 전사이며 그들의 중간 지도자(흰 들개 두 마리가 언제나 그녀를 호위한다)이기도 한 원령공주는 그들에 의해 양육되고 동물신들과 대화하는 점에서 샤먼의 모습을 충분히 보이고 있다. 게다가 북방계 시베리아 신화 체계에서, 흰 개를 타고 달리는 행위는 명계를 통과하는 샤먼의 천상여행이나 지하여행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러한 영혼여행의 모티프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에서 많이 발견되는 전형적인 이야기이며 이 때 타고 다니는 말이나 개는 명계를 여행하는 샤먼의 동행자이다. 원령공주가 착용하는 가면은 두말할 것도 없는 샤먼의 표식이다. 마법사나 사제가 동물을 상징하는 의상을 입고 동물로 변장하는 까닭은 스스로를 초인간적 상태로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어떤 토템을 상징하는 가면을 쓰는 것은 곧 그 토템이 됨을 의미한다. 이는 신화적 형상의 구현이며 초인간적인 영적 존재를 표상하는 것이다. 이런 여러 요인들은 원령공주가 샤먼, 즉 자연과 여러 신들의 대리자 역할을 부여받은 어린 여사제임을 알려준다.
 +
 +
==참고사이트==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303| 네이버 영화]]
 +
 +
==각주==
 +
<references/>
  
 
==기여==
 
==기여==

2017년 6월 20일 (화) 21:49 판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