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html> <center> <h1>양장기능사</h1> </center> <br/> <h2>1. 기본정보</h2> <br/> Ⅰ-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br/> Ⅰ-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
 
13번째 줄: 13번째 줄:
 
<br/>
 
<br/>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102.pdf"><font color="blue"><u>Ⅱ. 디지털 인문학의 과제</u></font></a><br/>
 
  
  Ⅱ-1.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오해<br/>
+
<h2>2. 자격정보</h2>  
  Ⅱ-2. 디지털 인문학은 새로운 인문학인가?<br/>
+
<font color="orange">
+
  Ⅱ-3. 디지털 인문학의 과제<br/>
+
</font>
+
 
<br/>
 
<br/>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103.pdf"><font color="blue"><u>Ⅲ.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목표와 방법</u></font></a><br/>
+
 
<font color="orange">
+
  Ⅰ-1. 자격 개요<br/>
  Ⅲ-1.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목표<br/>
+
  ① 오늘날 제품의 다양화, 가격의 저렴화, 개성화, 패션화를 추구하는 여성의류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성의류를 설계, 제단, 봉제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양장기능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br/>
  Ⅲ-2.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방법<br/>
+
  ② 양장기능사(패턴)과 양장기능사(봉제) 종목이 2012년부터 양장기능사로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다.<br/>
</font>
+
 
<br/>
 
<br/>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104.pdf"><font color="blue"><u>Ⅳ.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첫걸음: 위키 콘텐츠 제작</u></font></a><br/>
 
<font color="orange">
 
  Ⅳ-1. 위키 소프트웨어의 특징<br/>
 
</font>
 
  Ⅳ-2. 위키 소프트웨어의 활용 사례<br/>
 
<font color="orange">
 
  Ⅳ-3. 위키 콘텐츠 편찬 방법<br/>
 
</font>
 
  Ⅳ-4. 위키 문서 작성 방법<br/>
 
<br/>
 
<h2>제2편 인문정보학: 디지털 인문학을 위한 정보 기술</h2>
 
<br/>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201.pdf"><font color="blue"><u>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u></font></a><br/>
 
<font color="orange">
 
  Ⅰ-1. 디지털 인문학과 인문정보학<br/>
 
  Ⅰ-2. 인문정보학이 추구하는 것<br/>
 
  Ⅰ-3. 인문정보학의 연구 주제<br/>
 
</font>
 
 
<br/>
 
<br/>
 +
 +
  Ⅰ-2. 주요 업무<br/>
 +
  ① 양장기능사는 주어진 디자인과 제시된 치수에 맞게 패턴제작을 하고, 마킹 및 재단을 하며, 손바느질 및 재봉기를 이용하여 여성복을 제작한다.<br/>
 +
  ② 단추구멍 제작, 단추달기, 끝손질 하기 및 다림질 작업도 수행한다. <br/>
 +
 +
3. 시험정보
 +
 +
[네이버 지식백과] 양장기능사 (자격증 사전, SH 직업연구소)
 +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202.pdf"><font color="blue"><u>Ⅱ. 디지털 텍스트</u></font></a><br/>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202.pdf"><font color="blue"><u>Ⅱ. 디지털 텍스트</u></font></a><br/>
 
<font color="orange">
 
<font color="orange">

2016년 12월 19일 (월) 10:22 판

양장기능사


1. 기본정보


Ⅰ-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Ⅰ-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Ⅰ-3. 응시자격 : 제한 없음
Ⅰ-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Ⅰ-1. 자격 개요
① 오늘날 제품의 다양화, 가격의 저렴화, 개성화, 패션화를 추구하는 여성의류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성의류를 설계, 제단, 봉제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양장기능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② 양장기능사(패턴)과 양장기능사(봉제) 종목이 2012년부터 양장기능사로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다.


Ⅰ-2. 주요 업무
① 양장기능사는 주어진 디자인과 제시된 치수에 맞게 패턴제작을 하고, 마킹 및 재단을 하며, 손바느질 및 재봉기를 이용하여 여성복을 제작한다.
② 단추구멍 제작, 단추달기, 끝손질 하기 및 다림질 작업도 수행한다.
3. 시험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양장기능사 (자격증 사전, SH 직업연구소) Ⅱ. 디지털 텍스트
Ⅱ-1. 디지털 텍스트와 하이퍼링크
Ⅱ-2. 하이퍼텍스트 기술의 발전
Ⅱ-3. 하이퍼텍스트 구현 기술
Ⅱ-4. HTML
Ⅱ-5. XML

Ⅲ. 시각적 인문학
Ⅲ-1. 가상현실과 시각적 스토리텔링
Ⅲ-2. 데이터의 시각화
Ⅲ-3. 하이퍼미디어와 인문지식

Ⅳ. 인문지식 시맨틱 웹
Ⅳ-1. 시맨틱 웹이란?
Ⅳ-2. RDF
Ⅳ-3. 온톨로지
Ⅳ-4. 시맨틱 웹과 인문지식

Ⅴ. 디지털 아카이브
Ⅴ-1. 디지털 아카이브란?
Ⅴ-2. 개방과 공유: 디지털 아카이브의 새로운 패러다임
Ⅴ-3.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문지식 네트워크
Ⅴ-4.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제3편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제논의


Ⅰ. 세계의 디지털 인문학 동향
Ⅰ-1. 미국의 ‘디지털 인문학 선언'
Ⅰ-2. 프랑스의 ‘디지털 인문학 선언’
Ⅰ-3. 해외 디지털 인문학 동향
Ⅰ-4. 미국의 디지털 인문학 육성 시책

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Ⅱ-2. 문화콘텐츠학의 새로운 포지셔닝
Ⅱ-3.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전략
Ⅱ-4. 한국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Ⅲ.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장
Ⅲ-1. 전통문화 교육과 디지털인문학
Ⅲ-2. 영미문학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
Ⅲ-3. 지역문화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