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정보 : (1784))
(관련 정보 : (1784))
 
21번째 줄: 21번째 줄:
 
</gallery>
 
</gallery>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 [[내시]]흉배를 부착하였다.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 [[내시]] 및 기타관원이 흉배를 부착하였다.
 
*[[보양관]]의 [[상복]]에는 당상관의 흉배인 운학흉배를 부착하였다.  
 
*[[보양관]]의 [[상복]]에는 당상관의 흉배인 운학흉배를 부착하였다.  
 
*[[내시]]는 문관의 흉배제도를 따랐으며,<ref>조희영(2007) 조선시대 내시 복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84.</ref> 신분에 따라 운학흉배와 백한흉배를 부착하였다.
 
*[[내시]]는 문관의 흉배제도를 따랐으며,<ref>조희영(2007) 조선시대 내시 복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84.</ref> 신분에 따라 운학흉배와 백한흉배를 부착하였다.

2016년 12월 2일 (금) 22:24 기준 최신판


  • 흉배(胸背)는 단령의 가슴과 등에 붙였다. 신분에 따라 사용하는 무늬가 달랐다.
  • 『속대전(續大典)』에서 문관 당상관은 운학흉배(雲鶴胸背), 당하관은 백한흉배(白鷳胸背)로 명시하고 있다.[1]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관계 노드
보양관
내시
~을 착용한다 흉배
흉배 ~의 구성이다 상복
흉배 ~와 함께 착용한다
흉배 ~에 그려져 있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흉배 ~에 규정되어 있다 속대전

Writer: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1.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 ″堂上三品以上……胸背雲鶴. 堂下三品以下……胸背白鷳.″
  2. 조희영(2007) 조선시대 내시 복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