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정보 : (1784))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복식정보
+
[[File:Dae 1.jpg|400px|서대]]
|명칭 = 서대
+
|시대 = 조선후기
+
|분류 = 허리띠
+
|크기 = .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그림 출처 = 설유경(2011) 「고려시대 과대(銙帶)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3.
+
|image = 서대1-국립중앙박물관 소장.jpg
+
}}
+
  
*서대(犀帶)는 정1품과 종1품의 백관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복|상복(常服)]], [[시복|시복(時服)]]에 착용하였다.
+
*(위의 그림)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50년대 서대 유물이다.<ref>도보선(2006) 조선시대 품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73.</ref>
  
*서대의 ′서()′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물소뿔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
+
*서대는 정1품과 종1품의 백관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복|상복(常服)]], [[시복|시복(時服)]]에 착용하였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36.</ref>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p. 136-143.</ref>
+
*서대의 ′서()′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2.</ref>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3.</ref>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gallery>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파일:보양관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보양관]] <br>[[단령|흑단령]]에 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시복착용자(담홍포)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문무관]] <br>[[단령|담홍단령]]에 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내시2-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및 기타관원 <br>서대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gallery>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과 [[문무관]], [[내시]] 및 기타 관원이 서대를 착용하고 있다.
+
== 관련 지식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 관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대상 문서
!노드||관계||노드
+
! 설명
 
|-
 
|-
|[[보양관]] <br>[[문무관]] <br>[[내시]]||~을 착용한다||서대
+
|인물
 +
|[[원자보양관]], [[시복 착용 문무관]], [[내시]]
 +
|품대 착용자
 
|-
 
|-
|서대||~의 구성이다||[[상복]], [[시복]]
 
 
|-
 
|-
|서대||~와 함께 착용한다||
+
|복장
*(관모) <br>[[사모]] <br><br>
+
|[[상복]], [[시복]]
*(상의) <br>[[단령]] <br><br>
+
|품대 착용자의 차림새
*[[흉배]] <br><br>
+
*(신) <br>[[협금화]] <br>[[흑피화]] <br><br>
+
 
|-
 
|-
|서대||~에 그려져 있다||[[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서대||~에 규정되어 있다||[[경국대전]] <br>[[속대전]]
+
|복식
 +
|[[사모]], [[단령]], [[직령]], [[흉배]], [[삽금대]], [[소금대]], [[삽은대]], [[소은대]], [[흑각대]], [[협금화]], [[흑피화]]
 +
|품대 착용자의 복식 구성
 +
|-
 +
|-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
 +
|-
 +
|문헌
 +
|[[경국대전]], [[속대전]]
 +
|문무관의 복식을 규정하였다.
 
|-
 
|-
 
|}
 
|}
 +
  
 
----
 
----
Writer: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title=김현승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
Writer: [[김현승]]
 
----
 
----
 
<references/>
 
<references/>
 +
 +
[[Digerati Wiki]]

2016년 5월 23일 (월) 05:20 판

서대

  • (위의 그림)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50년대 서대 유물이다.[1]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3]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4]


관련 지식

관계 대상 문서 설명
인물 원자보양관, 시복 착용 문무관, 내시 품대 착용자
복장 상복, 시복 품대 착용자의 차림새
복식 사모, 단령, 직령, 흉배, 삽금대, 소금대, 삽은대, 소은대, 흑각대, 협금화, 흑피화 품대 착용자의 복식 구성
회화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문헌 경국대전, 속대전 문무관의 복식을 규정하였다.



Writer: 김현승


  1. 도보선(2006) 조선시대 품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73.
  2. 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36.
  3. 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2.
  4. 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3.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