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관련 정보 : (1784)) |
Skypink002 (토론)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File:Dae 1.jpg|400px|서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그림)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50년대 서대 유물이다.<ref>도보선(2006) 조선시대 품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73.</ref> |
− | * | + | *서대는 정1품과 종1품의 백관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상복|상복(常服)]], [[시복|시복(時服)]]에 착용하였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36.</ref> |
− | * | +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2.</ref> |
+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ref>이은주(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 143.</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 지식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 관계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대상 문서 |
− | ! | + | ! 설명 |
|- | |- | ||
− | |[[ | + | |인물 |
+ | |[[원자보양관]], [[시복 착용 문무관]], [[내시]] | ||
+ | |품대 착용자 | ||
|- | |- | ||
− | |||
|- | |- | ||
− | | | + | |복장 |
− | + | |[[상복]], [[시복]] | |
− | + | |품대 착용자의 차림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복식 |
+ | |[[사모]], [[단령]], [[직령]], [[흉배]], [[삽금대]], [[소금대]], [[삽은대]], [[소은대]], [[흑각대]], [[협금화]], [[흑피화]] | ||
+ | |품대 착용자의 복식 구성 | ||
+ | |- | ||
+ | |- | ||
+ | |회화 | ||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
+ | |- | ||
+ | |- | ||
+ | |문헌 | ||
+ | |[[경국대전]], [[속대전]] | ||
+ | |문무관의 복식을 규정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riter: [[김현승]]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Digerati Wiki]] |
2016년 5월 23일 (월) 05:20 판
- (위의 그림)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850년대 서대 유물이다.[1]
- 서대의 ′서(犀)′는 띠돈 재료인 물소뿔을 말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아니었으므로 중국을 통하여 남방의 것을 수입하는 형식으로 조달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귀한 재료였다.[3]
- 서각(犀角)은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데, 대체로 세 종류의 무늬로 나타난다. 중앙에 포도송이처럼 묘사되는 형태, 중앙에 검게 응집되어 번진 형태, 띠돈 아래쪽으로 무늬가 치우쳐 있는 형태가 있다.[4]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인물 | 원자보양관, 시복 착용 문무관, 내시 | 품대 착용자 |
복장 | 상복, 시복 | 품대 착용자의 차림새 |
복식 | 사모, 단령, 직령, 흉배, 삽금대, 소금대, 삽은대, 소은대, 흑각대, 협금화, 흑피화 | 품대 착용자의 복식 구성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문헌 | 경국대전, 속대전 | 문무관의 복식을 규정하였다. |
Writer: 김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