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9-1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pre> #Links E09-1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천연정 h...)
 
18번째 줄: 18번째 줄:
 
==Synopsis==
 
==Synopsis==
 
한양도성의 연지인 동지, 서지, 남지 세 곳 모두 연꽃, 버드나무가 조화로운 아름다운 경관 요소로 꼽힌다. <ref>길지혜, 손용훈, 황기원,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34-1, 2016.</ref>  
 
한양도성의 연지인 동지, 서지, 남지 세 곳 모두 연꽃, 버드나무가 조화로운 아름다운 경관 요소로 꼽힌다. <ref>길지혜, 손용훈, 황기원,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34-1, 2016.</ref>  
연꽃에 대한 미의식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문집이나 양화소록 등 원예서를 통해 엿볼 수 있는데, 특히 연꽃을 감상하고 즐겼던 모습을 담은 그림을 통해 연꽃, 연못이 선비들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었는지 그림을 통해 볼 수 있다.  
+
연꽃에 대한 미의식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문집이나 양화소록 등 원예서를 통해 엿볼 수 있는데, 특히 연꽃을 감상하고 즐겼던 모습을 담은 그림을 통해 연꽃, 연못이 선비들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었는지 그림과 문헌을 통해 볼 수 있다.  
 +
 
 +
# 남지에서의 모임, 남지기로회와 이기룡 作 남지기로회도
 +
# 서지의 모습이 담긴 그림, 경기감영도
 +
# 가야금을 들으며 연꽃을 감상하다, 신윤복 作 청금상련
 +
# 정약용을 주축으로 한 시서모임인 '죽란시사'와 연꽃, 죽란시사첩 서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2022년 3월 24일 (목) 04:03 판

#Links
E09-1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천연정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경기감영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죽란시사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죽란시사첩_서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신윤복-청금상련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연못에 모인 선비들, 연꽃과 어울리다 - 그림으로 보는 선비들의 연못 모임

Synopsis

한양도성의 연지인 동지, 서지, 남지 세 곳 모두 연꽃, 버드나무가 조화로운 아름다운 경관 요소로 꼽힌다. [1] 연꽃에 대한 미의식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문집이나 양화소록 등 원예서를 통해 엿볼 수 있는데, 특히 연꽃을 감상하고 즐겼던 모습을 담은 그림을 통해 연꽃, 연못이 선비들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었는지 그림과 문헌을 통해 볼 수 있다.

  1. 남지에서의 모임, 남지기로회와 이기룡 作 남지기로회도
  2. 서지의 모습이 담긴 그림, 경기감영도
  3. 가야금을 들으며 연꽃을 감상하다, 신윤복 作 청금상련
  4. 정약용을 주축으로 한 시서모임인 '죽란시사'와 연꽃, 죽란시사첩 서

Storytelling Network


출처

  1. 길지혜, 손용훈, 황기원,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34-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