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와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파일:101.png]]
+
|style="text-align:right" | [[파일:101.png | 40px]]
 
|-
 
|-
 
|style="text-align:right" | [http://www.xuanflute.com 김현]<br/>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style="text-align:right" | [http://www.xuanflute.com 김현]<br/>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2022년 3월 11일 (금) 02:56 판

인문지식 스토리텔링 플랫폼

스토리텔링 플랫폼이란?

※ 스토리텔링 플랫폼:
  • 스토리텔링의 재료가 될 지식 정보 데이터, 디지털 어셋 및 그것을 활용한 창작물의 개방적인 유통 환경
  •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프로슈밍(Prosuming) 환경: 소비자(Consumer)는 이 플랫폼 상에서 공공사업에 의해 구축된 기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신의 디지털 스토리를 만들면서, 이를 위해 새로운 지식을 발굴하고 디지털 어셋을 제작하는 생산자(Producer)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

인문지식 스토리텔링 플랫폼의 구도

스토리텔링플랫폼.jpg

인문지식 스토리텔링 플랫폼의 고객과 활용 환경

고객(소비자, Audience)은 누구인가? .....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

※ 디지털 원어민(Digital Natives):
  • 어렸을 때부터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자라온 세대. ‘컴퓨터, 휴대폰 및 소셜 미디어와 같은 장치와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정보와 자극을 빠르고 편안하게 소비할 수 있는 사람들.
  • ‘단일 대상에 대해 집중하는 시간’이 이전 세대보다 현저하게 짧다는 특징을 보이며, ‘디지털 게임’, ‘유투브 영상’처럼 즉각적인 만족이나 보상을 얻을 수 있는 형태의 콘텐츠를 선호.

활용방법은? ...... 디지털 큐레이션 / 디지털 스토리텔링

※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
  • 대상 사물이나 자료를 독립적으로 해설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물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관한 지식을 디지털 데이터로 연계하여 이야기 속에서 대상물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기반의 전시 기획 방법.
  • 데이터베이스 속의 정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정, 확장 하는 것이 가능.
※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디지털 어셋(텍스트, 이미지, 영상, 3D 모델 등)을 가지고,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행위.
  • 디지털 원어민은 ‘의미있는’ 데이터의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키워가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방법으로 세상에 대해 공부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지식 세계를 구축.

어떠한 환경에서? ...... 메타버스(Metaverse)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메타버스(Metaverse):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체험하며, 교류하고, 발전시켜 갈 수 있는 가상 세계
  • 메타버스(Metaverse)가 가상세계에 관한 기존 개념들(VR, AR, MR 등)과 차별화되는 부분은 그 세계가 ‘공급자’→‘소비자’의 단방향 세계가 아니라 ‘체험하고 교류하고 생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 Producer+Consumer)들에 의해 진화하는 쌍방향 세계’ 또는 ‘그러한 세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열린 가능성의 공간(플랫폼)’이라는 점.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Semantic Data Archive):
  • 대상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니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지식 데이터 아카이브
  • 문화재, 인물, 장소, 사건, 문헌, 개념 등의 데이터를 개별 정보요소로 파악하기보다는 그것이 어떠한 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에 있는지를 명시적으로 보임으로써 그 요소와 맥락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함.
  •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는 메타버스가 실제적인 스토리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필수 요건

궁극적 활용 .....인공지능과 협업하는 스토리텔링

※ 인문지식 빅데이터와 인공지능(Big Data & AI):
  • 인문지식의 디지털 큐레이션은 인간의 언어로 표현되어 온 인간의 지식을 명시적인 데이터로 기술하여, 새로운 소통과 융합의 길을 여는 것
  • ‘인간의 이야기’를 담은 ‘스몰 데이터’(Small Data)를 생산하며, 이 작은 이야기들이 서로 이어져서 ‘빅 데이터’(Big Data)가 될 수 있게 하는 개방적 소통 플랫폼을 운영
  • 개개의 ‘스몰 데이터’(Small Data)는 온라인상의 개방적 협업 공간에서 의미의 연결고리를 좇아 서로 묶이게 되고, 자동적으로 방대한 규모의 인문지식 ‘빅 데이터’를 형성
  • 이렇게 만들어지는 ‘빅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가 됨으로써 인문지식의 확장과 새로운 발견에 기여

메타버스

메타버스의 계층적 구도

메타버스.jpg

계층 내용
우주
Universe
  • 다양한 주제, 목적을 가진 가상의 세계가 그 안에서 생성, 진화, 소멸하는 가상의 우주(Meta Universe)
월드/랜드/이벤트
World/Land/Event
  • 특정한 주제를 표방하거나 목적을 가지고, 그것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들이 참여, 상호 교류, 창조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상 공간.
  • 서로 연결된 1개 이상의 장소(Site) 또는 방(Room)으로 구성된다.
사이트/룸
Site/Room
  • 메타버스의 세계에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의 가상 공간. - - 사용자들의 아바타가 이곳을 방문하여 서로 교류하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곳. (학습, 공연, 상품의 매매와 구매 등).
  • 사이트/룸은 월드의 창작자뿐 아니라 참여자도 만들 수 있으며 (플랫폼에 따라 기여 수준 상이) 3D 배경 공간 안에서 다양한 3D 조형물이나 2D 이미지, 웹자원 링크를 게시하는 방법으로 룸을 디자인하여 월드 안에 개설할 수 있다.
씬(장면)
Scene
  • 사이트(Site) 또는 룸(Room)의 배경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장면(Scene).
  • 다양한 3D, 2D 콘텐츠를 게시하여, 거리, 마을, 도시 등의 열린 공간이나 교실, 세미나실, 박물관 전시실, 콘서트 홀과 같은 실내 공간을 연출하고, 여러 유저들이 이것을 재사용할 수 있게(Reusable) 만들어 놓은 패키지이다.
어셋
Asset
  • 월드(World) 창작자 또는 참여자들이 씬(Scene)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안에 등록해 놓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 3D 모델을 비롯하여, 2D 이미지, 동영상, 웹 상의 어셋을 불러올 수 있는 링크(URL) 등.

인문지식 플랫폼 개발자의 역할

  • 씬(Scene)과 어셋(Asset)을 활용하여 사이트(Site)나 룸(Room)을 만들고, 나아가 새로운 월드(World)를 만들거나 이벤트(Event)를 열어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것은 이 플랫폼의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일.
  • 플랫폼 개발자의 역할은 그같은 사용자 활동이 용이하게 촉진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콘텐츠 부품(또는 반제품)을 ‘메타버스 씬’이나 재사용가능한 ‘디지털 어셋’의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란?

  • 역사•문화 유적지의 건물, 조형물 박물관의 유물, 미술관•기념관의 전시 작품 등 물리적인 대상의 형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할 뿐 아니라, 그 유물이나 유적에 관한 민담, 설화, 학술적인 지식, 그 지식 정보 속에 포함된 인물, 장소, 사건, 문헌 등이 모두 온라인 상에서 상호 참조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큐레이션 기반의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Encyclopedic Archive):
  • 아카이브 콜렉션의 디지털 데이터와 그 유물들의 사회적·문화적 문맥을 알려 주는 백과사전적 지식의 요소들을 다양한 관계성에 따라 상호 연결함으로써, ‘유물과 해석’, ‘지식과 증거’를 함께 탐색할 수 있게 한 정보 시스템

※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구현 예시: 목포시 근대문화유산 - 동본원사 목포별원

시맨틱데이터.jpg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현 방법

  • ‘아카이브’의 ‘실물’과 ‘백과사전’의 ‘지식’을 디지털 환경에서 하나로 융합한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백과사전적 아카이브)’는 유관한 자료와 정보를 데이터 네트워크 형태로 데이터화 하는 ‘시맨틱 데이이터베이스’로 구현.
※ 시맨틱 데이터베이스(Semantic Database) 구현 방법:
  • 대상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니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표시
  • 온톨로지(Ontology) 설계의 의해 대상 객체(Object)의 범주(Class)를 정하고, 범주에 따라 객체의 속성(Attribute)을 기술하며,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Relation)를 RDF(Resorce Description Framework)형식 구문으로 정의
※ RDF(Resorce Description Framework):
  • 월드 와이드 웹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모델. 두 객체의 식별자와 그것들의 관계를 정의하는 어휘로 구성.
  • RDF는 웹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문서 사이의 관계뿐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사물, 또는 추상적인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 단, RDF문에서는 객체가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로 표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객체의 이름은 항상 URI 형식으로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