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1 박현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및 자료)
(소개)
6번째 줄: 6번째 줄:
  
 
==소개==
 
==소개==
우리는 누구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br/>
+
잠들기 전 이불 속에서 듣던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는 참 재미있었습니다. <br/>
잠들기전 이불속에서 듣던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이제는 그렇게 들었던 따뜻한 이야기를 다시 누군가에게 전하고자 합니다. <br/>
+
옛이야기는 정말 재미있습니다. <br/>
 +
예전에 할머니의 입으로 들었던 그 재미진 이야기를 다시 누군가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br/>
  
  '''입을 통해 말로''',<br/>
+
  '''입'''을 통해 '''말'''로,<br/>
  '''책을 통해 글'''로, <br/>
+
  '''책'''을 통해 '''글'''로, <br/>
  '''컴퓨터를 통해 가상현실과 지리정보시스템기반의 디지털큐레이션'''으로. <br/>
+
  '''컴퓨터'''를 통해 '''가상현실과 지리정보시스템기반의 디지털큐레이션'''으로. <br/>
  
 
옛이야기를 통해 미래를 말하고자 합니다. <br/>
 
옛이야기를 통해 미래를 말하고자 합니다. <br/>
 
<br/>
 
<br/>
31개의 시군이 있는 경기도에는 그 역사와 규모 만큼 재미있는 옛이야기들(전설, 신화, 민담, 동화)과 역사적인 사건들과 인물들의 이야기가 무척 많습니다. <br/>
+
31개의 시군이 있는 경기도에는 재미있는 옛이야기들이 매우 많습니다.<br/>
이야기의 증거는 경기도의 각각의 유적지와 58개의 경기도의 공공박물관에서 확인할 수 있지요.  <br/>
+
이야기들의 증거는 경기도에 있는 곳곳의 유적지와 58개의 경기도의 공공박물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잘 만들어진 허구의 이야기보다는, <br/>
 
잘 만들어진 허구의 이야기보다는, <br/>
 
투박하더라도 실제 있었던 우리의 조상의 삶에 비교할 수 없는 큰 힘이 있습니다. <br/>
 
투박하더라도 실제 있었던 우리의 조상의 삶에 비교할 수 없는 큰 힘이 있습니다. <br/>
이 힘이 있는 이야기를 가상현실을 통한 유적지와 박물관의 유물로 엮어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br/>
+
이 힘이 있는 이야기를 가상현실을 통한 유적지 방문과 가상박물관의 유물로 엮어 입체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br/>
3D 지도를 보면서 열기구로 이동하며 각 지역의 이야기를 골라서 재미있게 읽어보세요.  <br/>
+
3D 지도를 통해 열기구로 이동하며, 각 지역의 이야기를 골라서 재미있게 읽어보세요.  <br/>
  
   '''지도'''와 '''가상현실'''을 통해서 그 지역과 '''유적'''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고, <br/>
+
   '''3D 지도'''와 '''가상현실''''''유적지'''를 방문해보고,<br/>
 
   '''이야기와 그림''' 를 보면서 관련 '''유물'''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br/>
 
   '''이야기와 그림''' 를 보면서 관련 '''유물'''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br/>
   특히, '''네트워크 그래프'''를 살펴보면서 관련된 이야기를 충분하게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br/>
+
   특히, '''네트워크 그래프'''를 살펴보면서 관련 지식을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br/>
 
   더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여 '''나만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길 바랍니다.
 
   더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여 '''나만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길 바랍니다.
  

2021년 6월 20일 (일) 00:12 판

멀티미디어 콘텐츠

3D 지도로 읽는 경기도 이야기

박현정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박사과정

소개

잠들기 전 이불 속에서 듣던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는 참 재미있었습니다.
옛이야기는 정말 재미있습니다.
예전에 할머니의 입으로 들었던 그 재미진 이야기를 다시 누군가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을 통해 로,
을 통해 로,
컴퓨터를 통해 가상현실과 지리정보시스템기반의 디지털큐레이션으로.

옛이야기를 통해 미래를 말하고자 합니다.

31개의 시군이 있는 경기도에는 재미있는 옛이야기들이 매우 많습니다.
그 이야기들의 증거는 경기도에 있는 곳곳의 유적지와 58개의 경기도의 공공박물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만들어진 허구의 이야기보다는,
투박하더라도 실제 있었던 우리의 조상의 삶에 비교할 수 없는 큰 힘이 있습니다.
이 힘이 있는 이야기를 가상현실을 통한 유적지 방문과 가상박물관의 유물로 엮어 입체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3D 지도를 통해 열기구로 이동하며, 각 지역의 이야기를 골라서 재미있게 읽어보세요.

 3D 지도가상현실유적지를 방문해보고,
이야기와 그림 를 보면서 관련 유물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네트워크 그래프를 살펴보면서 관련 지식을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여 나만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길 바랍니다.

지도로 읽는 옛이야기


지역별 이야기

story1. 투금탄

형제투금.png

story2. 독산성과 세마대

세마대시안.png

story3. 난세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이경석

이경석궤장.jpg

story4. 효자 최루백

최루백배경.png

참고문헌 및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