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임 전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 3번째 줄: | ||
김상임(金商壬)은 1850년 5월 20일, 서사리 교항동에서 태어났다. 경주 김 씨의 후손으로 11세 때 동몽과에 응시해 수석합격하고, 38세가 되는 1887년 강화부 승부 초시(初試)에 등과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894년 10월, 김상임은 45세의 나이에 [[존스(G.H.Jones, 趙元時)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났다. 김초시는 이승환 모자에 대한 존스 선교사의 사려 깊은 행동을 본 이후 한문성경을 전해받고 읽은 가운데, 자신이 찾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9900 정감록]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01 십승지지]란 주요 비결이 바로 성경의 ‘십자가지도’임을 깨닫고 개종을 결심한다.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3년 동안 세상은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었고, 국운이 쇠함에 따라 백성들의 인심도 흉흉해지고 피난민도 늘었다. 1894년 정월, 동학란에 이어 2월에는 김옥균이 살해당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청일 두 나라 군함이 수원 앞바다에서 맞붙었다. 1895년에는 민비 시해사건이, 그 다음해인 1896년 병신년에는 고종 임금이 러시아 공관에 끌려가는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때 글 좀 읽는다 하는 이들부터 귀동냥으로 얻어 들은 이들까지 정감록의 십승지지를 찾으려 애썼다. 김초시도 그 중 한 사람이었는데, 한문성경 첫 글귀에서 그 답을 찾았던 것이다. <ref> 출처: [복음의 못자리가 된 김초시 일가. 기독뉴스지저스타임즈. 2010.01.09]</ref> | 김상임(金商壬)은 1850년 5월 20일, 서사리 교항동에서 태어났다. 경주 김 씨의 후손으로 11세 때 동몽과에 응시해 수석합격하고, 38세가 되는 1887년 강화부 승부 초시(初試)에 등과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894년 10월, 김상임은 45세의 나이에 [[존스(G.H.Jones, 趙元時)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났다. 김초시는 이승환 모자에 대한 존스 선교사의 사려 깊은 행동을 본 이후 한문성경을 전해받고 읽은 가운데, 자신이 찾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9900 정감록]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01 십승지지]란 주요 비결이 바로 성경의 ‘십자가지도’임을 깨닫고 개종을 결심한다.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3년 동안 세상은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었고, 국운이 쇠함에 따라 백성들의 인심도 흉흉해지고 피난민도 늘었다. 1894년 정월, 동학란에 이어 2월에는 김옥균이 살해당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청일 두 나라 군함이 수원 앞바다에서 맞붙었다. 1895년에는 민비 시해사건이, 그 다음해인 1896년 병신년에는 고종 임금이 러시아 공관에 끌려가는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때 글 좀 읽는다 하는 이들부터 귀동냥으로 얻어 들은 이들까지 정감록의 십승지지를 찾으려 애썼다. 김초시도 그 중 한 사람이었는데, 한문성경 첫 글귀에서 그 답을 찾았던 것이다. <ref> 출처: [복음의 못자리가 된 김초시 일가. 기독뉴스지저스타임즈. 2010.01.09]</ref> | ||
− | 1899년에 존스 목사가 인천 우각동에 한국 최초의 신학회를 개설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기범, 김창식, 최병헝, 이명숙 등과 함께 지방 전도사 8명중 한 사람으로 신학회에 적을 두고 강의를 들었다. 이때의 강사진은 노보을(魯普乙, W.A.Noble), 조원시(존스), 서원보, 아펜젤러 등 미국인 선교사들 이었다. 여기서 김상임 전도사는 한국 최초의 신학과정 이수자가 된 것이다. 또 1900년에 평양에 신학회가 개설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경일, 박능일, 권신일 등 강화인 5명을 데리고 2년급 전도사 과정을 이수했다. 김상임 전도사에 인도되어 결신 입교한 강화인들 중 박능일, 김봉일을 중심한 지도급 인사들이 모여 "주안에서 하나되어 복음을 전파하자"는 뜻에서 이름 끝자를 모두 한 일(一)자를 넣어 개명하고 서로 의형제를 결의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동참한 이들은 권신일, 종순일, 주선일, 허진일, 최족일, 박현일, 황도일, 제씨 등이며, 김봉일은 자기의 두 아들에게까지 은일, 환일로 개명시켜 놓았다. 이들 전도인들의 모임을 외지에서는 초대교회의 '강화 오 걸일:五 傑一'이라 칭하지만 실은 '오 걸일'이 아닌 '십 걸일:十 傑一'이 넘는 인원이 동참했고 그후 一자로 개명 결신한 분은 60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거의가 직접 간접으로 김상임 전도사를 통해 결신한 분들로 강화지역은 물론 서울, 경기 전 지역에 걸쳐 개척 전도인으로 크게 활약함으로서 초대 한국 개신교의 초석들이 되었다. 1900년 전후만 해도 한국 개신교가 복음의 거점을 확보한 곳이라고는 아직 10여곳에 불과했다. 또 이 무렵에는 예수교인에 대한 박해와 조소가 극심한 때였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 10여명의 십자가 군병들이 자진해서 대오를 짜고 나서는 기적같은 현상이 이곳 강화에서 이루어 졌다. 여하튼 그후 이들 <십 걸일>들은 주안에서 결의형제하고 나서 복음 전파를 행동으로 옮겼다. <ref> 출처: 강화교산교회 [http://www.anytimebus.kr/main/gmb_board_view.php?page=1&no=1&search=&page_no=1&category_no=&admin_page=&site_Number=1&GM=&sm_no=&search_option=&PHPSESSID=e04e1d7b06be3dec093b66509d16822c]</ref> | + | 1899년에 존스 목사가 인천 우각동에 한국 최초의 신학회를 개설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기범, 김창식, 최병헝, 이명숙 등과 함께 지방 전도사 8명중 한 사람으로 신학회에 적을 두고 강의를 들었다. 이때의 강사진은 노보을(魯普乙, W.A.Noble), 조원시(존스), 서원보, 아펜젤러 등 미국인 선교사들 이었다. 여기서 김상임 전도사는 한국 최초의 신학과정 이수자가 된 것이다. 또 1900년에 평양에 신학회가 개설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경일, 박능일, 권신일 등 강화인 5명을 데리고 2년급 전도사 과정을 이수했다. 김상임 전도사에 인도되어 결신 입교한 강화인들 중 박능일, 김봉일을 중심한 지도급 인사들이 모여 "주안에서 하나되어 복음을 전파하자"는 뜻에서 이름 끝자를 모두 한 일(一)자를 넣어 개명하고 서로 의형제를 결의하기에 이르렀다. {{글씨 색|white|black|검은 배경에 하얀색 글씨}} 여기에 동참한 이들은 권신일, 종순일, 주선일, 허진일, 최족일, 박현일, 황도일, 제씨 등이며, 김봉일은 자기의 두 아들에게까지 은일, 환일로 개명시켜 놓았다. 이들 전도인들의 모임을 외지에서는 초대교회의 '강화 오 걸일:五 傑一'이라 칭하지만 실은 '오 걸일'이 아닌 '십 걸일:十 傑一'이 넘는 인원이 동참했고 그후 一자로 개명 결신한 분은 60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거의가 직접 간접으로 김상임 전도사를 통해 결신한 분들로 강화지역은 물론 서울, 경기 전 지역에 걸쳐 개척 전도인으로 크게 활약함으로서 초대 한국 개신교의 초석들이 되었다. 1900년 전후만 해도 한국 개신교가 복음의 거점을 확보한 곳이라고는 아직 10여곳에 불과했다. 또 이 무렵에는 예수교인에 대한 박해와 조소가 극심한 때였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 10여명의 십자가 군병들이 자진해서 대오를 짜고 나서는 기적같은 현상이 이곳 강화에서 이루어 졌다. 여하튼 그후 이들 <십 걸일>들은 주안에서 결의형제하고 나서 복음 전파를 행동으로 옮겼다. <ref> 출처: 강화교산교회 [http://www.anytimebus.kr/main/gmb_board_view.php?page=1&no=1&search=&page_no=1&category_no=&admin_page=&site_Number=1&GM=&sm_no=&search_option=&PHPSESSID=e04e1d7b06be3dec093b66509d16822c]</ref> |
1902년 4월 김기범, 김창식 목사에 이어 감리회의 한국인 3대 목사후보가 됐으나, 목사안수를 몇 달 앞두고 전염병이 창궐한 마을의 심방을 갔다가 감염돼 55세를 일기로 소천한다. 이후 교산교회 성도들은 김상임을 강화의 바울로 부르며 그의 신앙의 길을 따르며, 연이어 [[홍의교회]](1896)를 거쳐 고부교회(1897) 상도교회(1899) 등 강화 전 지역의 교회개척을 위해 헌신하며 강화 어머니교회의 역할을 감당하게 됐다. 김상임의 개종은 개신교를 부녀자와 천민들이나 믿는 종교로 여기고 천시하던 주민들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되었다. 교산교회는 기존 서민층과 가세한 양반층이 어우러진 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강화지역 지도급 인사들이 연이어 개종해 강화 전역으로 복음을 확장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김상임 전도사는 [[교산교회]] 2대 담임자로 사역을 하고, 그의 장남 김홍제 전도사는 4대 담임자로, 그의 차남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강화중앙교회]] 3대 담임자로 목회를 하였다. | 1902년 4월 김기범, 김창식 목사에 이어 감리회의 한국인 3대 목사후보가 됐으나, 목사안수를 몇 달 앞두고 전염병이 창궐한 마을의 심방을 갔다가 감염돼 55세를 일기로 소천한다. 이후 교산교회 성도들은 김상임을 강화의 바울로 부르며 그의 신앙의 길을 따르며, 연이어 [[홍의교회]](1896)를 거쳐 고부교회(1897) 상도교회(1899) 등 강화 전 지역의 교회개척을 위해 헌신하며 강화 어머니교회의 역할을 감당하게 됐다. 김상임의 개종은 개신교를 부녀자와 천민들이나 믿는 종교로 여기고 천시하던 주민들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되었다. 교산교회는 기존 서민층과 가세한 양반층이 어우러진 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강화지역 지도급 인사들이 연이어 개종해 강화 전역으로 복음을 확장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김상임 전도사는 [[교산교회]] 2대 담임자로 사역을 하고, 그의 장남 김홍제 전도사는 4대 담임자로, 그의 차남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강화중앙교회]] 3대 담임자로 목회를 하였다. |
2019년 6월 20일 (목) 23:44 판
김상임(金商壬)은 1850년 5월 20일, 서사리 교항동에서 태어났다. 경주 김 씨의 후손으로 11세 때 동몽과에 응시해 수석합격하고, 38세가 되는 1887년 강화부 승부 초시(初試)에 등과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894년 10월, 김상임은 45세의 나이에 존스(G.H.Jones, 趙元時) 목사에게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으로 거듭났다. 김초시는 이승환 모자에 대한 존스 선교사의 사려 깊은 행동을 본 이후 한문성경을 전해받고 읽은 가운데, 자신이 찾던 정감록의 십승지지란 주요 비결이 바로 성경의 ‘십자가지도’임을 깨닫고 개종을 결심한다.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3년 동안 세상은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었고, 국운이 쇠함에 따라 백성들의 인심도 흉흉해지고 피난민도 늘었다. 1894년 정월, 동학란에 이어 2월에는 김옥균이 살해당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청일 두 나라 군함이 수원 앞바다에서 맞붙었다. 1895년에는 민비 시해사건이, 그 다음해인 1896년 병신년에는 고종 임금이 러시아 공관에 끌려가는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때 글 좀 읽는다 하는 이들부터 귀동냥으로 얻어 들은 이들까지 정감록의 십승지지를 찾으려 애썼다. 김초시도 그 중 한 사람이었는데, 한문성경 첫 글귀에서 그 답을 찾았던 것이다. [1]
1899년에 존스 목사가 인천 우각동에 한국 최초의 신학회를 개설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기범, 김창식, 최병헝, 이명숙 등과 함께 지방 전도사 8명중 한 사람으로 신학회에 적을 두고 강의를 들었다. 이때의 강사진은 노보을(魯普乙, W.A.Noble), 조원시(존스), 서원보, 아펜젤러 등 미국인 선교사들 이었다. 여기서 김상임 전도사는 한국 최초의 신학과정 이수자가 된 것이다. 또 1900년에 평양에 신학회가 개설되자 김상임 전도사는 김경일, 박능일, 권신일 등 강화인 5명을 데리고 2년급 전도사 과정을 이수했다. 김상임 전도사에 인도되어 결신 입교한 강화인들 중 박능일, 김봉일을 중심한 지도급 인사들이 모여 "주안에서 하나되어 복음을 전파하자"는 뜻에서 이름 끝자를 모두 한 일(一)자를 넣어 개명하고 서로 의형제를 결의하기에 이르렀다. 틀:글씨 색 여기에 동참한 이들은 권신일, 종순일, 주선일, 허진일, 최족일, 박현일, 황도일, 제씨 등이며, 김봉일은 자기의 두 아들에게까지 은일, 환일로 개명시켜 놓았다. 이들 전도인들의 모임을 외지에서는 초대교회의 '강화 오 걸일:五 傑一'이라 칭하지만 실은 '오 걸일'이 아닌 '십 걸일:十 傑一'이 넘는 인원이 동참했고 그후 一자로 개명 결신한 분은 60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거의가 직접 간접으로 김상임 전도사를 통해 결신한 분들로 강화지역은 물론 서울, 경기 전 지역에 걸쳐 개척 전도인으로 크게 활약함으로서 초대 한국 개신교의 초석들이 되었다. 1900년 전후만 해도 한국 개신교가 복음의 거점을 확보한 곳이라고는 아직 10여곳에 불과했다. 또 이 무렵에는 예수교인에 대한 박해와 조소가 극심한 때였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 10여명의 십자가 군병들이 자진해서 대오를 짜고 나서는 기적같은 현상이 이곳 강화에서 이루어 졌다. 여하튼 그후 이들 <십 걸일>들은 주안에서 결의형제하고 나서 복음 전파를 행동으로 옮겼다. [2]
1902년 4월 김기범, 김창식 목사에 이어 감리회의 한국인 3대 목사후보가 됐으나, 목사안수를 몇 달 앞두고 전염병이 창궐한 마을의 심방을 갔다가 감염돼 55세를 일기로 소천한다. 이후 교산교회 성도들은 김상임을 강화의 바울로 부르며 그의 신앙의 길을 따르며, 연이어 홍의교회(1896)를 거쳐 고부교회(1897) 상도교회(1899) 등 강화 전 지역의 교회개척을 위해 헌신하며 강화 어머니교회의 역할을 감당하게 됐다. 김상임의 개종은 개신교를 부녀자와 천민들이나 믿는 종교로 여기고 천시하던 주민들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되었다. 교산교회는 기존 서민층과 가세한 양반층이 어우러진 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강화지역 지도급 인사들이 연이어 개종해 강화 전역으로 복음을 확장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김상임 전도사는 교산교회 2대 담임자로 사역을 하고, 그의 장남 김홍제 전도사는 4대 담임자로, 그의 차남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강화중앙교회 3대 담임자로 목회를 하였다.
참고사이트
출처
기여
일자 | 역할 | 이름 | 전공 |
---|---|---|---|
2019.6. | 편집 | 최원재 | 교육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