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혁 콘텐츠 제작노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자료)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6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주제== | ==주제== | ||
− | + | [[백석과 '나타샤'와 시(詩)]] | |
==주요 노드== | ==주요 노드== | ||
− | * | + | ===최종 노드=== |
− | * | + | *[[백석과 '나타샤'와 시(詩)]]'''<font color=red>(스토리 기사)</font>''' |
− | *자야 | + | *[[백석]] |
− | * | + | *[[자야]] |
− | * | + | *[[란]] |
− | *통영 | + | *[[길상사]] |
− | * | + | *'[[통영]]' |
− | ( | + | *'[[흰 바람벽이 있어]]' |
+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 | *[[백석 시어 사전]] | ||
+ | 10개 예정(변경가능) | ||
− | ==인물== | + | ===인물=== |
− | *백석 | + | *[[백석]] |
− | *란 | + | *[[란]] |
− | *자야 | + | *[[자야]] |
− | *신현중 | + | *[[신현중]] |
*신순정 | *신순정 | ||
− | |||
− | |||
− | |||
− | |||
− | ==관련 작품== | + | ===장소=== |
+ | *[[통영]] | ||
+ | *명정골 | ||
+ | *[[충렬사]] | ||
+ | *[[길상사]] | ||
+ | *대원각 | ||
+ | |||
+ | ===사건=== | ||
+ | *[[신현중과 란의 결혼]] | ||
+ | *(자야의 대원각 시주) | ||
+ | |||
+ | |||
+ | ===관련 작품=== | ||
+ | *'[[통영2]]' | ||
+ | *'[[흰 바람벽이 있어]]' | ||
+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 | *'[[내 사랑 백석]]' | ||
+ | |||
+ | =='나타샤'와 관련된 작품== | ||
*'란'과 관련된 작품 | *'란'과 관련된 작품 | ||
− | **통영(統營) 2 | + | **'''통영(統營) 2''' |
−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 **삼호(三湖)―물닭의 소리 | +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miusa&logNo=150173342432&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물닭의 소리] |
− | **남향(南鄕)―물닭의 소리 4 | + | ***삼호(三湖)―물닭의 소리 1 |
− | **야우소회(夜雨小懷)-물닭의 소리 5 | + | ***남향(南鄕)―물닭의 소리 4 |
− | **흰 바람벽이 있어 | + | ***야우소회(夜雨小懷)-물닭의 소리 5 |
+ | **'''흰 바람벽이 있어''' | ||
*'자야'와 관련된 작품 | *'자야'와 관련된 작품 | ||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 |||
+ | |||
+ | |||
+ | (안도현 '백석평전' 참조) | ||
+ | |||
+ | ===전문=== | ||
+ | *란과 관련된 시 | ||
+ | #[[통영(統營) 2]] | ||
+ | <poem> | ||
+ | 구마산(舊馬山)의 선창에선 좋아하는 사람이 울며 나리는 배에 올라서 오는 물길이 반날 | ||
+ | 갓 나는 고당은 가깝기도 하다 | ||
+ | |||
+ | 바람맛도 짭짤한 물맛도 짭짤한 | ||
+ | |||
+ | 전복에 해삼에 도미 가재미의 생선이 좋고 | ||
+ | 파래에 아개미에 호루기의 젓갈이 좋고 | ||
+ | |||
+ | 새벽녘의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 ||
+ | 밤새껏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울고 | ||
+ | |||
+ |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이다 | ||
+ | |||
+ | 집집이 아이만한 피도 안 간 대구를 말리는 곳 | ||
+ | 황화장사 영감이 일본말을 잘도 하는 곳 | ||
+ | 처녀들은 모두 어장주(漁場主)한테 시집을 가고 싶어한다는 곳 | ||
+ | |||
+ | 산 너머로 가는 길 돌각담에 갸웃하는 처녀는 금(錦)이라는 이 같고 내가 들은 마산(馬山) 객주(客主)집의 어린 딸은 [[란|난(蘭)]]이라는 이 같고 | ||
+ | |||
+ | 난(蘭)이라는 이는 명정(明井)골에 산다든데 | ||
+ | [[명정골|명정(明井)골]]은 산을 넘어 동백(冬栢)나무 푸르른 감로(甘露)같은 물이 솟는 명정(明井)샘이 있는 마을인데 | ||
+ | 샘터엔 오구작작 물을 긷는 처녀며 새악시들 가운데 내가 좋아하는 그이가 있을 것만 같고 | ||
+ | 내가 좋아하는 그이는 푸른 가지 붉게붉게 동백꽃 피는 철엔 타관 시집을 갈 것만 같은데 | ||
+ | 긴 토시 끼고 큰머리 얹고 오불고불 넘엣거리로 가는 여인은 평안도(平安道)서 오신 듯한데 동백(冬栢)꽃 피는 철이 그 언제요 | ||
+ | |||
+ | [[충렬사|옛 장수 모신 낡은 사당]]의 돌층계에 주저앉어서 나는 이 저녁 울 듯 울 듯 한산도(閑山島) 바다에 뱃사공이 되어가며 | ||
+ | 녕 낮은 집 담 낮은 집 마당만 높은 집에서 열나흘 달을 업고 손방아만 찧는 [[란|내 사람]]을 생각한다 | ||
+ | </poem> | ||
+ | |||
+ | |||
+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
+ | |||
+ | <pre> | ||
+ | 밖은 봄철날 따디기의 누굿하니 푹석한 밤이다 | ||
+ | 거리에는 사람두 많이 나서 흥성흥성 할 것이다 | ||
+ | 어쩐지 이 사람들과 친하니 싸다니고 싶은 밤이다 | ||
+ | |||
+ | 그렇건만 나는 하이얀 자리 우에서 마른 팔뚝의 | ||
+ | 샛파란 핏대를 바라보며 나는 가난한 아버지를 가진 것과 | ||
+ | 내가 오래 그려오던 처녀가 시집을 간 것과 | ||
+ | 그렇게도 살틀하든 동무가 나를 버린 일을 생각한다 | ||
+ | |||
+ | 또 내가 아는 그 몸이 성하고 돈도 있는 사람들이 | ||
+ | 즐거이 술을 먹으려 다닐 것과 | ||
+ | 내 손에는 신간서(新刊書) 하나도 없는 것과 | ||
+ | 그리고 그 '아서라 세상사(世上事)'라도 들을 | ||
+ | 유성기*도 없는 것을 생각한다 | ||
+ | |||
+ | 그리고 이러한 생각이 내 눈가를 내 가슴가를 | ||
+ | 뜨겁게 하는 것도 생각한다 | ||
+ | |||
+ | *유성기: 축음기 | ||
+ | </pre> | ||
+ | |||
+ | #[[흰 바람벽이 있어]] | ||
+ | <pre> | ||
+ |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 ||
+ | 이 흰 바람벽에 | ||
+ | 희미한 십오 촉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 ||
+ | 때글은 다 낡은 무명 샤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 ||
+ |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 ||
+ | 그런데 이것은 또 어언 일인가 | ||
+ | 이 흰 바람벽에 | ||
+ |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 ||
+ |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 ||
+ | 이렇게 시러퍼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물에 손은 담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 ||
+ |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 ||
+ |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 ||
+ | 어늬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 ||
+ | 그의 지아비와 마조 앉어 대구국을 끓여 놓고 저녁을 먹는다 | ||
+ |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 ||
+ |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늬 사이엔가 | ||
+ | 이 흰 바람벽엔 | ||
+ |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 ||
+ |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
+ | -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태어났다 | ||
+ | 그리고 이 세상을 살어가는데 | ||
+ |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 찬다 | ||
+ |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 ||
+ |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
+ | - 하눌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 ||
+ |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 ||
+ |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 ||
+ | 그리고 또 '프랑시쓰 잼' 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 ||
+ | |||
+ | </pre> | ||
+ | |||
+ | *자야와 관련된 시 | ||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
+ | <pre> | ||
+ | 가난한 내가 | ||
+ |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 ||
+ |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 ||
+ |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 ||
+ | 눈은 푹푹 날리고 | ||
+ |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 ||
+ |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 ||
+ | 나타샤와 나는 | ||
+ |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 ||
+ |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 ||
+ | 눈은 푹푹 나리고 | ||
+ |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 ||
+ |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 ||
+ |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 ||
+ |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 ||
+ |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 ||
+ | 눈은 푹푹 나리고 | ||
+ |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 ||
+ |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 ||
+ | </pre> | ||
==이야기 관계망== | ==이야기 관계망== |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 ||
파일: 유재혁이야기관계망1.jpg |version1 | 파일: 유재혁이야기관계망1.jpg |version1 | ||
− | 파일: 백석의나타샤1.jpg | + | 파일: 백석의나타샤1.jpg|version2 |
+ | 파일: 유재혁기말과제계획.jpg|아이디어 정리사항 | ||
</gallery> | </gallery> | ||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
+ | {{NetworkGraph | title=백석의나타샤.lst}} | ||
+ | (오류발생)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책 | ||
+ | [[파일: 백석평전.jpg|200px|thumb|left|[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96980 '백석평전']-안도현]] | ||
+ | [[파일: 내사랑백석.jpg|200px|thumb|left|[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7305 '내 사랑 백석']-김영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문잡지 | ||
+ | -정일근의 문학에세이 백석, 통영, 그리고 시인의 사랑(정일근) | ||
− | + | -시인 백석과 통영시가 있는 문학 기행(이성모) | |
− | |||
[[분류: 2019-1 디지털인문학입문(서울)]] | [[분류: 2019-1 디지털인문학입문(서울)]] |
2019년 6월 24일 (월) 17:53 기준 최신판
목차
주제
주요 노드
최종 노드
- 백석과 '나타샤'와 시(詩)(스토리 기사)
- 백석
- 자야
- 란
- 길상사
- '통영'
- '흰 바람벽이 있어'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시어 사전
10개 예정(변경가능)
인물
장소
사건
- 신현중과 란의 결혼
- (자야의 대원각 시주)
관련 작품
- '통영2'
- '흰 바람벽이 있어'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내 사랑 백석'
'나타샤'와 관련된 작품
- '란'과 관련된 작품
- 통영(統營) 2
- 내가 생각하는 것은
- 물닭의 소리
- 삼호(三湖)―물닭의 소리 1
- 남향(南鄕)―물닭의 소리 4
- 야우소회(夜雨小懷)-물닭의 소리 5
- 흰 바람벽이 있어
- '자야'와 관련된 작품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안도현 '백석평전' 참조)
전문
- 란과 관련된 시
구마산(舊馬山)의 선창에선 좋아하는 사람이 울며 나리는 배에 올라서 오는 물길이 반날
갓 나는 고당은 가깝기도 하다
바람맛도 짭짤한 물맛도 짭짤한
전복에 해삼에 도미 가재미의 생선이 좋고
파래에 아개미에 호루기의 젓갈이 좋고
새벽녘의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밤새껏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울고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이다
집집이 아이만한 피도 안 간 대구를 말리는 곳
황화장사 영감이 일본말을 잘도 하는 곳
처녀들은 모두 어장주(漁場主)한테 시집을 가고 싶어한다는 곳
산 너머로 가는 길 돌각담에 갸웃하는 처녀는 금(錦)이라는 이 같고 내가 들은 마산(馬山) 객주(客主)집의 어린 딸은 난(蘭)이라는 이 같고
난(蘭)이라는 이는 명정(明井)골에 산다든데
명정(明井)골은 산을 넘어 동백(冬栢)나무 푸르른 감로(甘露)같은 물이 솟는 명정(明井)샘이 있는 마을인데
샘터엔 오구작작 물을 긷는 처녀며 새악시들 가운데 내가 좋아하는 그이가 있을 것만 같고
내가 좋아하는 그이는 푸른 가지 붉게붉게 동백꽃 피는 철엔 타관 시집을 갈 것만 같은데
긴 토시 끼고 큰머리 얹고 오불고불 넘엣거리로 가는 여인은 평안도(平安道)서 오신 듯한데 동백(冬栢)꽃 피는 철이 그 언제요
옛 장수 모신 낡은 사당의 돌층계에 주저앉어서 나는 이 저녁 울 듯 울 듯 한산도(閑山島) 바다에 뱃사공이 되어가며
녕 낮은 집 담 낮은 집 마당만 높은 집에서 열나흘 달을 업고 손방아만 찧는 내 사람을 생각한다
밖은 봄철날 따디기의 누굿하니 푹석한 밤이다 거리에는 사람두 많이 나서 흥성흥성 할 것이다 어쩐지 이 사람들과 친하니 싸다니고 싶은 밤이다 그렇건만 나는 하이얀 자리 우에서 마른 팔뚝의 샛파란 핏대를 바라보며 나는 가난한 아버지를 가진 것과 내가 오래 그려오던 처녀가 시집을 간 것과 그렇게도 살틀하든 동무가 나를 버린 일을 생각한다 또 내가 아는 그 몸이 성하고 돈도 있는 사람들이 즐거이 술을 먹으려 다닐 것과 내 손에는 신간서(新刊書) 하나도 없는 것과 그리고 그 '아서라 세상사(世上事)'라도 들을 유성기*도 없는 것을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이 내 눈가를 내 가슴가를 뜨겁게 하는 것도 생각한다 *유성기: 축음기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 촉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 샤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러퍼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물에 손은 담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늬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조 앉어 대구국을 끓여 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늬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어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 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하눌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쓰 잼' 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 자야와 관련된 시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이야기 관계망
네트워크 그래프
(오류발생)
참고자료
- 책
- 전문잡지
-정일근의 문학에세이 백석, 통영, 그리고 시인의 사랑(정일근)
-시인 백석과 통영시가 있는 문학 기행(이성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