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ffett, Samuel 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버튼|인물 데이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선교사편지 인물정보 |이미지=ml_person_Moffet.jpg |이미지출처= "[https://bl...)
 
(기본 정보)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선교사편지 인물정보
 
{{선교사편지 인물정보
|이미지=ml_person_Moffet.jpg
+
|이미지=ml_person_Moffet.jpeg
 
|이미지출처= "[https://blog.naver.com/kiatspress/221201689341/『한국기독교 선교사 #8 마펫』]",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도서출판 KIATS</sup></online></html>
 
|이미지출처= "[https://blog.naver.com/kiatspress/221201689341/『한국기독교 선교사 #8 마펫』]",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도서출판 KIATS</sup></online></html>
 
|식별자=
 
|식별자=
 
|대표명=사무엘 마펫 <br/>Samuel Austin Moffet
 
|대표명=사무엘 마펫 <br/>Samuel Austin Moffet
|한글명=기일
+
|한글명=마포삼열, 마삼열
|영문명=James Scarth Gale
+
|영문명=Samuel Austin Moffet
|한자명=奇一
+
|한자명=馬布三悅
 
|가나명=
 
|가나명=
 
|이칭=
 
|이칭=
 
|성별=남자
 
|성별=남자
|생년=1863년
+
|생년=1864년
|몰년=1937년
+
|몰년=1939년
|소속=캐나다 장로교
+
|소속=장로교
|직업=선교사, 신학박사
+
|직업=선교사, 교육자
|내한 연도=1888년
+
|내한 연도=1890년
|출신지= 캐나다
+
|출신지= 미국
|출신학교=토론토 대학교  
+
|출신학교=하노버 대학교, 맥코믹 신학교
 
|할아버지=
 
|할아버지=
 
|할머니=
 
|할머니=
31번째 줄: 31번째 줄:
 
}}
 
}}
 
==기본 정보==
 
==기본 정보==
* 캐나다의 장로교 선교사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은 토론토 대학교를 졸업 후, 토론토 대학의 YMCA의 지원으로 1888년 25세에 조선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1889년 황해도 해주 지방과 경상도 지방에서 전도하며 대영성서공회에서 성경을 한글로 번역했고, 1890년 서울에 있는 예수교학당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891년 캐나다의 선교지원 중단으로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로 선교단체를 옮겼다. 1892년 성경번역에 참여, 마태복음서, 에베소서 등 신약 성서 중 일부를 번역했다. 1897년 최초의 「한영사전」을 간행하였으며  「신구약전서」와 「천로역정」을 번역, 발간하였으며 한국 고전에도 관심이 남달라 춘향전, 심청전, 구운몽 등을 번역·출간하기도 했다. 1928년 은퇴하기까지 40년간 한국에 머무는 동안 연동교회에서 27년간 목회하며 연동여학교('정신여학교'의 전신)와 예수교중학교('경신중학교'의 전신)를 세웠다.
+
* 새뮤얼 오스틴 마펫(Samuel Austin Moffett, 1864년 ~ 1939년)은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교육자다. 한국 이름은 마포삼열(馬布三悅)이다. 1890년 조선에 와 서울에서 활동하다가 1893년 이후에는 평양에서 선교활동에 종사하였다. 평양에서 22명의 전도사들에게 성서를 가르친 것으로 1901년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전신인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였고, 초대 교장에 취임, 근대교육에 힘을 쏟았다. 1918~1928년 숭실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의 교장을 역임하고, 평안도에 많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였다. 1912년 '105인 사건'으로 한국의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자, 매킨, 에비슨 선교사 등과 함께 이 사건이 날조이며 비인도적 고문 등이 자행되고 있음을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에게 항의하고 본국의 장로회본부에 이를 알려 국제여론을 환기시켰다. 1934년 일제의 탄압 때문에 활동할 수 없음을 깨닫고 1936년 미국으로 돌아갔다.
  
 
==상세 정보==
 
==상세 정보==
  
* 선교부에 필요한, 모여 든 사람들에게 성경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가진사람으로 언급된다. <br/>「[[Letter From Underwood To Ellinwood (18910227)|언더우드가 엘린우드에게 보낸 편지(1891년 2월 27일)]]」.
+
* 고아원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그 학교는 남학생들을 위한 학교로 바뀌어야 하며, 가능한 한 부분적 지원이 승인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음이 언급된다. <br/>「[[Letter From Underwood To Ellinwood (18910209)|언더우드가 엘린우드에게 보낸 편지(1891년 2월 9일)]]」.
 
[[분류:선교사편지]] [[분류:선교사편지_인물]]
 
[[분류:선교사편지]] [[분류:선교사편지_인물]]

2019년 5월 1일 (수) 14:47 기준 최신판

인물 데이터 목록으로 돌아가기


사무엘 마펫
Samuel Austin Moffet
"선교사 #8 마펫』", 도서출판 KIATS
한글명 마포삼열, 마삼열
영문명 Samuel Austin Moffet
한자명 馬布三悅
성별 남자
생년 1864년
몰년 1939년
소속 장로교
직업 선교사, 교육자
내한 연도 1890년
출신지 미국
출신학교 하노버 대학교, 맥코믹 신학교


기본 정보

  • 새뮤얼 오스틴 마펫(Samuel Austin Moffett, 1864년 ~ 1939년)은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교육자다. 한국 이름은 마포삼열(馬布三悅)이다. 1890년 조선에 와 서울에서 활동하다가 1893년 이후에는 평양에서 선교활동에 종사하였다. 평양에서 22명의 전도사들에게 성서를 가르친 것으로 1901년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전신인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였고, 초대 교장에 취임, 근대교육에 힘을 쏟았다. 1918~1928년 숭실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의 교장을 역임하고, 평안도에 많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였다. 1912년 '105인 사건'으로 한국의 애국지사들이 투옥되자, 매킨, 에비슨 선교사 등과 함께 이 사건이 날조이며 비인도적 고문 등이 자행되고 있음을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에게 항의하고 본국의 장로회본부에 이를 알려 국제여론을 환기시켰다. 1934년 일제의 탄압 때문에 활동할 수 없음을 깨닫고 1936년 미국으로 돌아갔다.

상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