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육궁(六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90. 강화부내 심부윤(沈府尹*)
 
沈府尹來按此城심 부윤이 부임해와 강화성을 다스리며,
 
迎儒昔日大開黌선비를 모셔다가 학교를 열었었네.
 
千秋尙有文翁化오랜 세월 지났어도 선생 교화 남았으니,
 
處處相聞講讀聲책 읽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리네.
 
○ 강화부의 옛날 습속은 궁벽하고 누추하여 일찍이 강학(講學)할
 
줄을 몰랐다. 고려 때에 심덕부(沈德符)가 강화부의 부윤이 되면서
 
크게 횡당(黌堂) 즉, 학교를 크게 열고 스승을 모셨으며, 마을의 자
 
제들을 모아 시·서·예·의를 가르쳐서 울연(蔚然)하게도 문옹(文
 
翁)이 촉나라를 교화시킨 풍속이 있었으니, 한 고을의 학문이 지금까
 
지 빛이 난다.
 
==기행지도==
 
<googlemap lat="37.649507" lon="126.524359" type= "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47316, 126.487190, [[강화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1003-15
+
<big>六宮昔日倣京'''師''' (<small>六宮昔日倣京'''師'''</small>)     육궁은 옛적의 서울을 본떴는데,<br />空逐飛灰但有'''基''' (<small>空逐飛灰但有'''基'''</small>)     무너지고 먼지 날려 그 터만 남아있네.<br />到此行人皆指點 (<small>到此行人皆指點</small>)     지나가는 행인들이 그 지점을 가리킬 뿐,<br />飛花殘草幾多'''時''' (<small>飛花殘草幾多'''時'''</small>)    꽃 날리고 풀 시든 세월 몇 차례나 지났는가.<br />
() 37.647308, 126.525496, [[237.굴곶포(屈串浦)]] 현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 일명 '구리포'
+
  
 +
</big>
 +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5769&cid=41826&categoryId=41826 내수사(內需司)]는 동문 안쪽에 있었다.
 +
 +
○ 명혜궁(明惠宮)은 내수사 동쪽에 있었는데 뒤에는 육상궁(毓祥宮)이다.
 +
 +
○ 어의궁(於義宮)은 내수사 북쪽에 있었다.
 +
 +
○ 용동궁(龍洞宮)은 내수사 남쪽 건너편에 있었다.
 +
 +
○ 명례궁(明禮宮)은 용동궁 남쪽에 있었다.
 +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359&cid=49352&categoryId=49352 수진궁(壽進宮)]은 군기고 서쪽에 있었다. 병인양요 때 모두 폐허되었다.
 +
 +
 +
==기행지도==
 +
<googlemap width="800" height="570" lat="37.755627" lon="126.488011" type= "normal"  zoom="14.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000000
 
3#000000
  
  
(M)[[250.사복포(司僕浦)]] 현 불은면 덕성리
+
 
(N)[[251.능촌동(陵村洞)]] 현 불은면 덕성리
+
(M) 37.753860, 126.478324, [[64. 명륜당(明倫堂)]] 현 향교길 강화군 강화읍 강화향교
(O) 37.677455, 126.496196, [[252.능촌(陵村)]] 현 불은면 두운리 1482 능촌입구
+
(N) 37.754014, 126.478194, [[65. 강당(講堂) 안연재(安燕齋)]] 현 강화읍 관청리 936-3
(P) 37.687287, 126.501630, [[253.고잔동(高盞洞)]] 현 불은면 고능리 710-4
+
(O) 37.755553, 126.482822, [[66. 북문(北門)]] 강화산성북문 강화읍 국화리 산3
(Q) 37.688276, 126.501549, [[254.지천(芝川)]] 현 불은면 고릉리 (고잔마을 지레)
+
(P) 37.763184, 126.484513, [[67. 여제단(厲祭壇)]]?? 강화읍 대산리 1195
(R) 37.692192, 126.495413, [[255.곶내동(串內洞)]] 현 불은면 고릉리 고능로262번길(아침가리마을)
+
(Q) 37.759656, 126.476231, [[68. 당주동(唐州洞)]] 현 강화군 송해면 당골길
(S) 37.683937, 126.491910, [[256.두두미(斗頭尾)]]현 불은면 두운리 712-2(두두미마을)
+
 
</googlemap>
+
(R) 37.755592, 126.486896, [[69. 북장대(北將臺)]] 현 강화읍 대산리 북산공원
 +
(S) 37.760032, 126.486663, [[70. 북장춘목(北場春牧)]] 현 강화읍 대월로277번길,북산(송악)의북쪽 우마장,강화10경
 +
(T) 37.755495, 126.487113, [[71. 기우청단(祈雨晴壇)]] 고려산 화산 마니악 송악산 혈구산 갑곶진중 여기는 송악
 +
(U) 37.754340, 126.484252, [[72. 행궁 궁아제단(宮娥祭壇)]] 현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부의 관아북쪽 송악산)
 +
(V) 37.755006, 126.484252, [[73. 척천정(尺天亭)]] 현 강화읍 관청리(행궁의 북쪽)
 +
(W) , [[74. 장녕전(長寧殿)]] 현
 +
(X) , [[75. 세심재(洗心齋)]] 현
 +
(Y) , [[76. 연초헌(燕超軒)]] 현
 +
(Z) 37.754223, 126.489997, [[77. 규장외각(奎章外閣)]] 현 강화읍 관청리 산32(??)(행궁의 동쪽)
 +
() 37.752387, 126.485997, [[78. 상아(上衙)]] 현 강화읍 관청리 강화유수부동헌
 +
() , [[79. 객사(客舍)]] 현
 +
() , [[80. 민풍시(民風詩)]] 현
 +
() , [[81. 도과(道科)]] 현
 +
() , [[82. 공도회(公都會)]]
 +
() , [[83. 이아(貳衙)]] 현
 +
() , [[84. 중영(中營)]] 현
 +
() 37.747652, 126.476736, [[85. 진무영(鎭撫營) 열무당(閱武堂)]] 현 연무당 옛터
 +
() 37.748305, 126.484933, [[86. 선원비각(仙源碑閣)]] 현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3 선원김상용순절비
 +
() 37.747529, 126.483159, [[87. 시장(市場)]] 현 강화읍 신문리 1003-6(시장??)
 +
() 37.747903, 126.485195, [[88. 용흥궁(龍興宮)]] 강화읍 관청리 441
 +
() 37.746572, 126.488306, [[89. 육궁(六宮)]] 현 강화읍 관청리 148-5 (동문안쪽??)
 +
() , [[90. 부내 심부윤(沈府尹*)]] 현
 +
() , [[91. 부내 최판서(崔判書*)]] 현
 +
() , [[92. 부내 김효자(金孝子*)]] 현
 +
() , [[93. 성황단(城隍壇)]] 현
 +
() 37.751875, 126.485356, [[94. 고려궁지(高麗宮址)]] 현 강화읍 북문길 42 강화 고려궁지
 +
() 37.749639, 126.491383, [[95. 동문(東門)]] 현 강화읍 관청리 49 동문로
 +
() 37.754337, 126.473381, [[96. 강화부성(江華府城*)]] 현 강화산성 강화읍 국화리
  
  
  
 +
</googlemap>
  
 
==인물==
 
==인물==
 
*  
 
*  
 
==참고==
 
==참고==

2019년 5월 15일 (수) 09:12 기준 최신판

六宮昔日倣京 (六宮昔日倣京)     육궁은 옛적의 서울을 본떴는데,
空逐飛灰但有 (空逐飛灰但有) 무너지고 먼지 날려 그 터만 남아있네.
到此行人皆指點 (到此行人皆指點) 지나가는 행인들이 그 지점을 가리킬 뿐,
飛花殘草幾多 (飛花殘草幾多) 꽃 날리고 풀 시든 세월 몇 차례나 지났는가.

내수사(內需司)는 동문 안쪽에 있었다.

○ 명혜궁(明惠宮)은 내수사 동쪽에 있었는데 뒤에는 육상궁(毓祥宮)이다.

○ 어의궁(於義宮)은 내수사 북쪽에 있었다.

○ 용동궁(龍洞宮)은 내수사 남쪽 건너편에 있었다.

○ 명례궁(明禮宮)은 용동궁 남쪽에 있었다.

수진궁(壽進宮)은 군기고 서쪽에 있었다. 병인양요 때 모두 폐허되었다.


기행지도

인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