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on, John W."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본 정보)
 
(2명의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선교사편지 인물정보
 
{{선교사편지 인물정보
 +
|이미지=ml_person_Heron.jpg
 +
|이미지출처= "[http://koreanchristianity.cdh.ucla.edu/biographies/missionaries/ 『Missonaries』]",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UCLA Online Archive Korean Christionity</sup></online></html>
 
|식별자=
 
|식별자=
 
|대표명=존 윌리엄 헤론<br/>John William Heron
 
|대표명=존 윌리엄 헤론<br/>John William Heron
23번째 줄: 25번째 줄:
 
|아버지=
 
|아버지=
 
|어머니=
 
|어머니=
|배우자=[[Underwood, Lillias H.]]
+
|배우자=헤리엇 엘리자베스 깁슨
|자녀=[[Underwood, Horace H.(원한경)]]
+
|자녀=
|손자=[[Underwood, Horace H.(원한광)]]
+
|손자=
 
|필드수=
 
|필드수=
 
}}
 
}}
 
==기본 정보==
 
==기본 정보==
 +
 +
* 존 헤론(John W. Heron, 1856년 6월 15일 ~ 1890년 7월 26일)은 미국 장로교 해외선교부가 한국선교사에 처음 임명한 의료선교사이다. [[Allen, Horace N.|알렌]]과 [[Underwood, Horace G.(원두우)|언더우드]]의 선교사 임명은 헤론보다 늦었으나 그들이 먼저 한국에 도착했다. 테네시주의 메리빌 대학 의학과, 테네시 대학교 의과대학, 그리고 1883년 뉴욕 대학교 의과대학에 들어가 정식 의사자격시험에 합격하였다. 존스보로에서 만난 깁슨 의사의 딸인 [[Heron, Harriet G.|해리엇]]과 결혼 후 바로 미국을 출발하여 1885년 6월 20일 조선의 제물포에 도착하였고, 제중원에서 알렌, 언더우드와 함께 일헸다. 1887년 알렌의 후임으로 제 2대 제중원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그의 제안으로 조선성교서회(후일 대한예수교서회)가 시작되었다. 그는 왕후 민 씨 일가 중 한 명의 언청이 수술에 성공하여 왕실의 신뢰를 얻었다. 의료활동 중 전염성 이질에 걸려 1890년 7월 26일 사망 후 양화진에 묻힌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가 되었다.
  
 
==상세 정보==
 
==상세 정보==
  
1858년 영국 더비셔주에서 태어나, 1870년 5월 가족들과 함께 미국 테네시주의 녹스벌로 이주하였다. 테네시주의 메리빌 대학 의학과를 졸업하고, 그 이후 테네시 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1883년 뉴욕 대학교 의과대학에 들어가, 블랙웰 아일랜드 병원에서 실습하면서 정식 의사자격시험에 합격하였다.
+
*알렌이 기다리던 의사로, 병원에서도 받아들이기로 하였으며 정부에서도 원하고 있었다고 언급된다. <br/>「[[Letter From Underwood To Ellinwood (18850419)|언더우드가 엘린우드에게 보낸 편지(1885년 4월 19일)]]」.
 
+
1885년 4월 23일 아칸소 존즈버러에서 동업하던 사람의 딸인 해리엇 엘리자베스 깁슨과 결혼하였다. 같은 해 5월 1일 미국에서 조선을 항해 떠났고, 미국 장로교 최초 선교사로 정식 임명되었다.
+
 
+
그리고 일본으로 들어가 이수정을 만나 조선말을 배우고 풍속을 익히고, 같은 해 6월 20일 다른 선교사들과 함께 조선 제물포(지금의 인천)에 도착하였다. 6월 21일 한성부(지금의 서울)에 들어갔고, 다음 날인 호러스 뉴턴 앨런 집을 방문하였다. 고종의 주치의까지 지내며, 1887년 9월 호러스 뉴턴 앨런이 외교관으로 직업을 바꿔 미국에 들어갔고, 후임 2대 제중원 원장을 취임하였다.
+
 
+
1890년 7월 26일 제중원 원장으로 의료 활동을 하다가 전염성 이질로 사망하였다. 같은 해 7월 29일 시신은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양화진에 묻혔다.
+
 
+
묘비에는 "하나님의 아들이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자신을 주셨다"라고 쓰여 있다.
+
 
+
 
+
 
+
 
+
 
[[분류:선교사편지]] [[분류:선교사편지_인물]]
 
[[분류:선교사편지]] [[분류:선교사편지_인물]]

2019년 4월 12일 (금) 22:47 기준 최신판

인물 데이터 목록으로 돌아가기


존 윌리엄 헤론
John William Heron
"『Missonaries』", UCLA Online Archive Korean Christionity
한글명 존 윌리엄 헤론
영문명 John William Heron
한자명 蕙論
성별 남자
생년 1856년
몰년 1890년
소속 장로교
직업 의사, 선교사
내한 연도 1885년
출신지 미국
출신학교 뉴욕대학교
배우자 헤리엇 엘리자베스 깁슨


기본 정보

  • 존 헤론(John W. Heron, 1856년 6월 15일 ~ 1890년 7월 26일)은 미국 장로교 해외선교부가 한국선교사에 처음 임명한 의료선교사이다. 알렌언더우드의 선교사 임명은 헤론보다 늦었으나 그들이 먼저 한국에 도착했다. 테네시주의 메리빌 대학 의학과, 테네시 대학교 의과대학, 그리고 1883년 뉴욕 대학교 의과대학에 들어가 정식 의사자격시험에 합격하였다. 존스보로에서 만난 깁슨 의사의 딸인 해리엇과 결혼 후 바로 미국을 출발하여 1885년 6월 20일 조선의 제물포에 도착하였고, 제중원에서 알렌, 언더우드와 함께 일헸다. 1887년 알렌의 후임으로 제 2대 제중원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그의 제안으로 조선성교서회(후일 대한예수교서회)가 시작되었다. 그는 왕후 민 씨 일가 중 한 명의 언청이 수술에 성공하여 왕실의 신뢰를 얻었다. 의료활동 중 전염성 이질에 걸려 1890년 7월 26일 사망 후 양화진에 묻힌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가 되었다.

상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