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가로서의 정몽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과거의 삼장(초장∙중장∙종장)에서 연이어 장원을 차지하여 이름을 떨치고, 당대 최고의 학자 이색의 문하에서 [[정도전]] 등과 수학했다. 1362년 예문관의 검열로 관직에 첫발을 내디뎠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367년 성균관 박사, 1375년 성균관 대사성에 올랐다. 성균관 박사로 유교 경전을 강의하던 당시 고려에 들어온 경서는 [[주자집주]]밖에 없었는데, 정몽주의 강의를 듣던 사람들 가운데 그의 유창한 해석에 의심을 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들어온 경전이 정몽주의 강의 내용과 일치하자, 사람들이 그의 높은 학식에 탄복했다는 일화가 고려사에 전한다. | 과거의 삼장(초장∙중장∙종장)에서 연이어 장원을 차지하여 이름을 떨치고, 당대 최고의 학자 이색의 문하에서 [[정도전]] 등과 수학했다. 1362년 예문관의 검열로 관직에 첫발을 내디뎠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367년 성균관 박사, 1375년 성균관 대사성에 올랐다. 성균관 박사로 유교 경전을 강의하던 당시 고려에 들어온 경서는 [[주자집주]]밖에 없었는데, 정몽주의 강의를 듣던 사람들 가운데 그의 유창한 해석에 의심을 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들어온 경전이 정몽주의 강의 내용과 일치하자, 사람들이 그의 높은 학식에 탄복했다는 일화가 고려사에 전한다. | ||
− | == | + | ===스승 이색=== |
− | 스승 | + | 스승 [[이색]]은 정몽주에 대해 “학문에서 어느 누구보다 부지런했고, 가장 뛰어났으며, 그의 논설은 어떤 말이든지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칭찬하면서 그를 우리나라 성리학의 창시자로 평가했다. |
− | ==성리학의 창시자== | + | ===벗이자, 적이었던 정도전=== |
+ | 다섯 살 아래의 후배였던 [[정도전]]도 “여러 생도가 각기 학업을 연수하여 사람마다 이견이 있었는데, 선생은 그 물음에 따라 명확히 설명하되 털끝만큼도 차이가 나지 않았다.”라며 존경의 마음을 표했다. 정몽주는 이후 [[정도전]]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마음을 같이한 벗 (同心友)’의 맹세를 나누었으나, 역사의 선택은 그들을 서로에게 칼끝을 겨누는 적으로 만들어버리고 만다. | ||
+ | |||
+ | ===성리학의 창시자=== | ||
[[고려 현종|현종]]이후로 [[유교]]가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았으나 유목민족이 중국을 지배하고 [[고려 고종|고종]] 이후로는 [[몽골]]의 침략을 받으면서 다시 [[불교]]가 호국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그는 [[불교]]를 허구적인 환상(극락)으로 사람들을 혹세무민하는 존재라고 보고 [[유교]]([[성리학]])의 진흥과 장려를 위한 노력을 하였다. 당시 풍속에 불교의 예법을 숭상하는 것을 비판하고 일반 사대부로 하여금 〈주자가례 朱子家禮〉에 의거해서 가묘(家廟)를 세우고 5대조까지 제사지내도록 의무화 하였으며, [[성균관]]의 유생 수를 늘리고 개성에 5부학당(五部學堂)을 추가로 설립하여 교육진흥을 꾀했다. [[성균관]]과 5부 학당을 통해 그는 성리학 이념을 보급시키는 한편으로 지역에도 향교와 서당과 서원을 적극 장려, 향교, 서원, 서당 등을 통해 성리학 이념의 보급에 주력하였다. | [[고려 현종|현종]]이후로 [[유교]]가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았으나 유목민족이 중국을 지배하고 [[고려 고종|고종]] 이후로는 [[몽골]]의 침략을 받으면서 다시 [[불교]]가 호국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그는 [[불교]]를 허구적인 환상(극락)으로 사람들을 혹세무민하는 존재라고 보고 [[유교]]([[성리학]])의 진흥과 장려를 위한 노력을 하였다. 당시 풍속에 불교의 예법을 숭상하는 것을 비판하고 일반 사대부로 하여금 〈주자가례 朱子家禮〉에 의거해서 가묘(家廟)를 세우고 5대조까지 제사지내도록 의무화 하였으며, [[성균관]]의 유생 수를 늘리고 개성에 5부학당(五部學堂)을 추가로 설립하여 교육진흥을 꾀했다. [[성균관]]과 5부 학당을 통해 그는 성리학 이념을 보급시키는 한편으로 지역에도 향교와 서당과 서원을 적극 장려, 향교, 서원, 서당 등을 통해 성리학 이념의 보급에 주력하였다. | ||
− | ==정몽주의 제자== | + | ===정몽주의 제자=== |
그의 제자들 중 [[길재]], [[이숭인]] 등은 향리에 내려가 지역사회에 성리학을 보급시켰고, 이들이 향촌의 지식인으로 성장하여 [[조선 세조|세조]] 때부터 관직에 진출하게 된다. [[조선 세조|세조]] 때 [[김종직]]이 관직에 진출한 이후 [[조선 성종|성종]] 때는 [[훈구파]]에 필적하는 정치적 파벌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은 [[조선 연산군|연산군]] 때의 [[갑자사화]]로 희생되나 [[중종 반정]] 이후 조정을 장악하게 된다. [[조선 중종|중종]] 때의 [[기묘사화]]에는 일부 사림이 [[훈구파]]와 야합하여 신진 [[사림파]]를 축출하기도 했으나, [[조선 중종|중종]] 말기에 가서는 조정을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 그의 제자들 중 [[길재]], [[이숭인]] 등은 향리에 내려가 지역사회에 성리학을 보급시켰고, 이들이 향촌의 지식인으로 성장하여 [[조선 세조|세조]] 때부터 관직에 진출하게 된다. [[조선 세조|세조]] 때 [[김종직]]이 관직에 진출한 이후 [[조선 성종|성종]] 때는 [[훈구파]]에 필적하는 정치적 파벌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은 [[조선 연산군|연산군]] 때의 [[갑자사화]]로 희생되나 [[중종 반정]] 이후 조정을 장악하게 된다. [[조선 중종|중종]] 때의 [[기묘사화]]에는 일부 사림이 [[훈구파]]와 야합하여 신진 [[사림파]]를 축출하기도 했으나, [[조선 중종|중종]] 말기에 가서는 조정을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 ||
[[이색]]의 문인으로, [[정도전]]과 동문수학하였으나 역성혁명과 온건개혁을 놓고 갈라서게 되었다. 학문상으로 [[조선 세종|세종대왕]]은 그의 손제자가 된다. 정몽주의 제자는 [[길재]], [[이숭인]], [[권우 (1363년)|권우]] 등으로 [[권우 (1363년)|권우]]는 후에 [[세종대왕]]의 스승이 되었고, [[길재]]는 [[김숙자 (1389년)|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사림파]]의 태두를 형성하였다. | [[이색]]의 문인으로, [[정도전]]과 동문수학하였으나 역성혁명과 온건개혁을 놓고 갈라서게 되었다. 학문상으로 [[조선 세종|세종대왕]]은 그의 손제자가 된다. 정몽주의 제자는 [[길재]], [[이숭인]], [[권우 (1363년)|권우]] 등으로 [[권우 (1363년)|권우]]는 후에 [[세종대왕]]의 스승이 되었고, [[길재]]는 [[김숙자 (1389년)|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사림파]]의 태두를 형성하였다. | ||
+ | ==참고자료== | ||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2744 네이버캐스트-정몽주]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AA%BD%EC%A3%BC 위키피디아-정몽주] | ||
+ | |||
+ | ==정몽주-교육 관련 카테고리== | ||
* [[성리학]] | * [[성리학]] | ||
+ | * [[정도전]] | ||
+ | * [[이색]] |
2016년 5월 20일 (금) 22:07 기준 최신판
목차
교육가로서의 정몽주
교육가로서의 시작
과거의 삼장(초장∙중장∙종장)에서 연이어 장원을 차지하여 이름을 떨치고, 당대 최고의 학자 이색의 문하에서 정도전 등과 수학했다. 1362년 예문관의 검열로 관직에 첫발을 내디뎠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367년 성균관 박사, 1375년 성균관 대사성에 올랐다. 성균관 박사로 유교 경전을 강의하던 당시 고려에 들어온 경서는 주자집주밖에 없었는데, 정몽주의 강의를 듣던 사람들 가운데 그의 유창한 해석에 의심을 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들어온 경전이 정몽주의 강의 내용과 일치하자, 사람들이 그의 높은 학식에 탄복했다는 일화가 고려사에 전한다.
스승 이색
스승 이색은 정몽주에 대해 “학문에서 어느 누구보다 부지런했고, 가장 뛰어났으며, 그의 논설은 어떤 말이든지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칭찬하면서 그를 우리나라 성리학의 창시자로 평가했다.
벗이자, 적이었던 정도전
다섯 살 아래의 후배였던 정도전도 “여러 생도가 각기 학업을 연수하여 사람마다 이견이 있었는데, 선생은 그 물음에 따라 명확히 설명하되 털끝만큼도 차이가 나지 않았다.”라며 존경의 마음을 표했다. 정몽주는 이후 정도전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마음을 같이한 벗 (同心友)’의 맹세를 나누었으나, 역사의 선택은 그들을 서로에게 칼끝을 겨누는 적으로 만들어버리고 만다.
성리학의 창시자
현종이후로 유교가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았으나 유목민족이 중국을 지배하고 고종 이후로는 몽골의 침략을 받으면서 다시 불교가 호국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그는 불교를 허구적인 환상(극락)으로 사람들을 혹세무민하는 존재라고 보고 유교(성리학)의 진흥과 장려를 위한 노력을 하였다. 당시 풍속에 불교의 예법을 숭상하는 것을 비판하고 일반 사대부로 하여금 〈주자가례 朱子家禮〉에 의거해서 가묘(家廟)를 세우고 5대조까지 제사지내도록 의무화 하였으며, 성균관의 유생 수를 늘리고 개성에 5부학당(五部學堂)을 추가로 설립하여 교육진흥을 꾀했다. 성균관과 5부 학당을 통해 그는 성리학 이념을 보급시키는 한편으로 지역에도 향교와 서당과 서원을 적극 장려, 향교, 서원, 서당 등을 통해 성리학 이념의 보급에 주력하였다.
정몽주의 제자
그의 제자들 중 길재, 이숭인 등은 향리에 내려가 지역사회에 성리학을 보급시켰고, 이들이 향촌의 지식인으로 성장하여 세조 때부터 관직에 진출하게 된다. 세조 때 김종직이 관직에 진출한 이후 성종 때는 훈구파에 필적하는 정치적 파벌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은 연산군 때의 갑자사화로 희생되나 중종 반정 이후 조정을 장악하게 된다. 중종 때의 기묘사화에는 일부 사림이 훈구파와 야합하여 신진 사림파를 축출하기도 했으나, 중종 말기에 가서는 조정을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이색의 문인으로, 정도전과 동문수학하였으나 역성혁명과 온건개혁을 놓고 갈라서게 되었다. 학문상으로 세종대왕은 그의 손제자가 된다. 정몽주의 제자는 길재, 이숭인, 권우 등으로 권우는 후에 세종대왕의 스승이 되었고, 길재는 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사림파의 태두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