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종(編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판 1개) |
|
(차이 없음)
|
2017년 3월 5일 (일) 10:22 기준 최신판
관련자료
- 아악기의 한 가지. 두 층으로 된 걸이에 12율로 조율된 구리종을 한 단에 여덟 개씩 두 단으로 매달아 각퇴(角槌)로 두드려서 소리를 냄. [1]
- 대성아악(大晟雅樂)[2] 에서 등가(登歌), 헌가(軒架)
- 종묘의궤(宗廟儀軌)[3] 에서 등가(登歌), 헌가(軒架)
- 악학궤범(樂學軌範)[4] 에서 등가(登歌), 헌가(軒架)
문헌
- 이미지자료
종묘의궤 도설 | 악학궤범 도설 |
---|---|
- 문헌내용
《종묘의궤(宗廟儀軌)》[5]의 원문내용 |
---|
*원문[6]
주:時用. 文獻通考云小胥凡懸鐘磬半爲堵 全爲肆註云鐘磬編縣之二八十六 枚而在一虡謂之堵鐘一堵磬一堵 謂之肆今大晟樂宗前代制亦用十 六枚以十二枚爲正鐘四枚爲淸鐘 焉 ○周禮圖云禮書鐘植者爲虡橫 者爲簨簨之上有崇牙虡之上設業 業之上樹羽而有端有璧翣鐘虡飾 以羸屬若厚脣弇口出目短耳大胸 耀後大體短肘聲大而宏則於鐘宜是也
|
*번역[7]
주:현재 사용한다. 《문헌통고(文獻通考)》[8] 〈소서(小胥)〉에 “대체로 종과 경(磬)을 다는 것은, 반(半)을 도(堵)라고 하고 전부를 사(肆)라고 한다.” 하였는데, 주에 이르기를, “종과 경을 엮어서 달 때, 두 층에 각각 8매(枚)씩 16매를 한 틀〔簴〕에 단 것을 도라고 하고, 종 1도와 경 1도를 사라고 한다.” 하였다. 지금의 대성악(大晟樂)이 전대의 제도를 근본으로 하여 역시 16매를 쓰는데, 12매는 정성(正聲)의 종이고, 4매는 청성(淸聲)의 종이다. 《주례도(周禮圖)》 [9] 《예서(禮書)》[10]에, “종을 다는 틀의 세로로 세운 것을 거(簴)라고 하고, 가로로 댄 것을 순(簨)이라고 한다. 순 위에 숭아(崇牙)를 두고, 거 위에 업(業)을 설치한다. 업 위에 깃〔羽〕을 꽂고, 양쪽 끝에 벽삽(璧翣)을 둔다. 종을 다는 틀은 맹수〔臝〕 따위로 장식하니, 두꺼운 입술에 꽉 다문 입, 튀어나온 눈에 짧은 귀, 큰 가슴에 화려한 꽁무니, 큰 몸체에 짧은 목과 같은 모습이다. 그 소리가 크고 웅장하니, 종에 알맞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
참고
- ↑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 ↑ 한계레음악대사전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 ↑ 한국고전종합db
- ↑ 고전용어사전
- ↑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
- ↑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
링크
writer : 조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