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尊)"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차이 없음)

2017년 3월 5일 (일) 10:21 기준 최신판

희준(犧尊)[1]
상준(象尊)[2]
착준(著尊)[3]
호준(壺尊)[4]
산뢰(山罍)[5]


메타데이터

  • Project: 종묘
  • Label: 물품
  • 유형: 제기
  • 한자: 尊
  • Writer: 서소리


내용

준(尊)은 신께 올리는 각종의 술을 담아두는 제기로 준소상에 진설된다.


  1. 희준(犧尊)

희준(犧尊)은 소 모양의 술을 담는 제기이다.

『석전의』
희준의 무게는 9근 10냥이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치 1푼, 아가리의 지름은 2치 4푼, 머리에서 다리까지의 높이는 8치 2푼이다. 귀의 높이는 2치 1푼 5리(釐), 귀의 너비는 8푼 5리이다. 깊이는 3치 7푼이다.
『예서』
희준과 상준(象尊)은 주나라의 준이다. 소는 큰 희생(犧牲)이고 소기름 향내는 봄에 알맞으며, 코끼리는 큰 짐승이고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니, 이것이 선왕이 봄의 사 제사와 여름의 약 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


  1. 상준(象尊)

상준(象尊)은 코끼리 모양의 술을 담는 제기이다.

『석전의』
상준의 무게는 10근이다. 발까지 합한 높이는 6치 8푼, 아가리의 지름은 1치 8푼이다. 귀의 너비는 1치 2푼, 귀의 길이는 1치 9푼이다. 깊이는 4치 9푼이다. 나머지는 희준에 대한 해설에 보인다.


  1. 착준(著尊)

착준(著尊)은 양(陽)이 내려와 땅에 붙는 것을 형상화한 제기이다.

『석전의』
착준의 무게는 4근 7냥이다. 높이는 8치 4푼 5리, 아가리의 지름은 4치 3푼, 복판의 지름은 6치 2푼, 깊이는 8치 3푼이다.
『예서』
착으로는 양(陽)이 내려와 땅에 붙는 것을 형상하고, 호(壺)로는 음(陰)이 주위를 둘러싸 만물을 간직하는 것을 형상하니, 이것이 선왕이 가을의 상 제사와 겨울의 증 제사에 사용했던 까닭이다.


  1. 호준(壺尊)

호준(壺尊)은 음(陰)이 주위를 둘러싸 만물을 간직하는 것을 형상화한 제기이다.

『석전의』
호준의 무게는 4근 1냥 2전(錢)이다. 높이는 8치 4푼, 아가리의 지름은 4치 5푼, 복판의 지름은 6치, 깊이는 7치 1푼이다. 나머지는 착준에 대한 해설에 보인다.


  1. 산뢰(山罍)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라고도 하며,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제기이다.

『석전의』
산뢰는 산준(山尊)이다. 새겨서 그려 산과 구름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뇌(罍)라고 한 것은, 구름과 우레가 널리 베풀어지는 것이 임금의 덕이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는 것과 같음을 취하여 상징한 것이다. 산뢰는 하후씨(夏后氏 우(禹) 임금)의 준이다.
『주례도』
산과 구름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하나는 현주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


관련항목


웹자원

조선왕조실록사전, "착준(著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5

조선왕조실록사전, "호준(壺尊)",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8

조선왕조실록사전, "산뢰(山罍)",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53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희준(犧尊)",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2&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상준(象尊)",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3&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착준(著尊)",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4&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호준(壺尊)",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5&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산뢰(山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6&cid=49381&categoryId=49381

종묘제례, "희준(犧尊)", "상준(象尊)", "착준(著尊)", "호준(壺尊)",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06.asp

종묘제례, "산뢰(山罍)",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07.asp


출처

  1.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2.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3.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4.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5.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6.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7.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8.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9.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10.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