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별감의 조건(皂巾)== 별감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별감이 착용한 조건의 형태는...)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조건(皂巾)은 검은색 건을 말한다. | ||
+ | |||
==별감의 조건(皂巾)== | ==별감의 조건(皂巾)== | ||
[[File:-.jpg|별감]] | [[File:-.jpg|별감]] | ||
11번째 줄: | 13번째 줄: |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시 [[별감]]의 건에 실제 사용된 색상은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시 [[별감]]의 건에 실제 사용된 색상은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
==갈도의 조건(皂巾)== | ==갈도의 조건(皂巾)== | ||
<gallery> | <gallery> | ||
− | 파일:문효세자보양청계병-갈도- | + | 파일:문효세자보양청계병-갈도-조건.jpg|갈도 조건<ref>그림 출처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
− | 파일:나장-조건 1-모당홍이상공평생도(1781)| | + | 파일:나장-조건 1-모당홍이상공평생도(1781).jpg|나장 조건<ref>그림 출처 : 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복식』 66(1), p. 7.</ref> <br><모당홍이상공 평생도>(1781) |
+ | 파일:나장-조건 2(앞)-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19세기 중순 제작 추정).jpg|나장 조건(앞)<ref>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ref> <br>(19세기 중순 제작 추정) <br>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 ||
+ | 파일:나장-조건 3(뒤)-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19세기 중순 제작 추정).jpg|나장 조건(뒤)<ref>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ref> <br>(19세기 중순 제작 추정) <br>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 ||
</gallery> | </gallery> | ||
−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시 [[갈도]]가 착용한 조건의 형태는 원추형의 형태다 | + |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시 [[갈도]]가 착용한 조건의 형태는 원추형의 형태다. |
− | + | ||
− | + | ||
*[[갈도]]는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갈도]]는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
− | * | + | *나장의 조건(皂巾)의 형태는 <모당홍이상공 평생도>(1781) 그림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
− | + |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나장의 조건으로 갈도의 조건 구성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ref>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ref> | |
+ | - 두꺼운 종이로 원추형의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검은색의 직물로 배접한다. | ||
+ | - 윗부분은 뿔처럼 뾰족하게 만들며 끝이 좁게 뚫려있고 앞면에 금속으로 만든 원판 2개를 장식한다. | ||
+ | - 갈도의 머리에 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양옆으로 끈을 단다. | ||
− | == 관련 | + | == 관련 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관계||대상 문서||설명 |
− | ! 관계 | + | |
− | + | ||
− | + | ||
|- | |- | ||
− | |인물 | + | |인물||[[별감]], [[갈도]]||조건을 착용하는 인물 |
− | |[[별감]], [[갈도]] | + | |
− | |조건을 착용하는 인물 | + | |
|- | |- | ||
− | |복식 | + | |복식||[[직령]], [[철릭]], [[반비의]], [[세조대]], [[혜]]||별감과 갈도가 조건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구성 |
− | |[[직령]], [[철릭]], [[반비의]], [[세조대]], [[혜]] | + | |
− | |별감과 | + | |
|- | |- | ||
+ | |회화||[[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보양청 상견례 행사도 그림. 별감과 갈도가 등장한다. | ||
|- | |- | ||
− | | | + | |문헌||[[경국대전]], [[속대전]]||별감과 나장의 복식 규정이 기록되어 있다. <br>(나장의 복식 규정으로 갈도의 복식을 추정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국대전]], [[속대전]] | + | |
− | |복식 | + | |
|- | |- | ||
|} | |} | ||
+ | ---- | ||
+ | Writer: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title=김현승 김현승] | ||
− | + |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2016년 11월 30일 (수) 16:47 기준 최신판
- 조건(皂巾)은 검은색 건을 말한다.
별감의 조건(皂巾)
- (위의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별감이 착용한 조건의 형태는 6각~8각형의 각이 진 형태로 보인다.[1]
- 조건(皂巾)은 검은색 건을 말한다.
- 『속대전(續大典)』에서 세자궁별감의 건은 조색을 사용하도록 하였다.[2]
-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세자궁별감의 건에 대한 규정이 청색이었다.[3]
갈도의 조건(皂巾)
갈도 조건[4]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나장 조건[5]
<모당홍이상공 평생도>(1781)나장 조건(앞)[6]
(19세기 중순 제작 추정)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나장 조건(뒤)[7]
(19세기 중순 제작 추정)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 나장의 조건(皂巾)의 형태는 <모당홍이상공 평생도>(1781) 그림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나장의 조건으로 갈도의 조건 구성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8]
- 두꺼운 종이로 원추형의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검은색의 직물로 배접한다.
- 윗부분은 뿔처럼 뾰족하게 만들며 끝이 좁게 뚫려있고 앞면에 금속으로 만든 원판 2개를 장식한다.
- 갈도의 머리에 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양옆으로 끈을 단다.
관련 정보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인물 | 별감, 갈도 | 조건을 착용하는 인물 |
복식 | 직령, 철릭, 반비의, 세조대, 혜 | 별감과 갈도가 조건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구성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행사도 그림. 별감과 갈도가 등장한다. |
문헌 | 경국대전, 속대전 | 별감과 나장의 복식 규정이 기록되어 있다. (나장의 복식 규정으로 갈도의 복식을 추정할 수 있다.) |
Writer: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 ↑ 그림 출처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 ↑ 『經國大典』 卷3 「禮典」 ′儀章′ : ″別監 ……【世子宮 則 靑巾】.″
- ↑ 그림 출처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그림 출처 : 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복식』 66(1), p. 7.
- ↑ 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
- ↑ 그림 출처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
- ↑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