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왼쪽 그림)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2 「가례 관복도설(嘉禮 官服圖說)」의 원유관 도식이다. | * (왼쪽 그림)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2 「가례 관복도설(嘉禮 官服圖說)」의 원유관 도식이다. | ||
− | * (오른쪽 그림) 중요민속문화재 제274호 의왕 원유관(義王 遠遊冠)<ref>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40000,21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 | * (오른쪽 그림) 중요민속문화재 제274호 의왕 원유관(義王 遠遊冠)<ref>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40000,21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 조선시대 왕이나 세자가 가례(嘉禮) 때 조복의 용도로 강사포(絳紗袍)와 함께 착용하는 관모이다. | * 조선시대 왕이나 세자가 가례(嘉禮) 때 조복의 용도로 강사포(絳紗袍)와 함께 착용하는 관모이다. | ||
* 검정색 비단[羅]을 소재로 만들며, 아홉개의 량(梁)으로 장식한다. 하나의 양에는 황색, 창색, 백색, 주색, 흑색의 옥을 앞뒤 9개씩 총 18개로 장식하였다. | * 검정색 비단[羅]을 소재로 만들며, 아홉개의 량(梁)으로 장식한다. 하나의 양에는 황색, 창색, 백색, 주색, 흑색의 옥을 앞뒤 9개씩 총 18개로 장식하였다. |
2016년 7월 20일 (수) 06:20 기준 최신판
- (왼쪽 그림)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권2 「가례 관복도설(嘉禮 官服圖說)」의 원유관 도식이다.
- (오른쪽 그림) 중요민속문화재 제274호 의왕 원유관(義王 遠遊冠)[1]
- 조선시대 왕이나 세자가 가례(嘉禮) 때 조복의 용도로 강사포(絳紗袍)와 함께 착용하는 관모이다.
- 검정색 비단[羅]을 소재로 만들며, 아홉개의 량(梁)으로 장식한다. 하나의 양에는 황색, 창색, 백색, 주색, 흑색의 옥을 앞뒤 9개씩 총 18개로 장식하였다.
- 원유관은 중국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고려 말 공민왕이 명(明) 태조로부터 7량의 원유관을 받아 처음 사용하게 되었다.
- 9량의 원유관은 1438년(세종 20) 명으로부터 새로 받으면서 사용하게 되었다.
- ↑ 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