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0-801.stor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Episode 2: 돈 벌러 온 최초의 원어민 교사: 핼리팩스(Halifax, T. E.))
 
(같은 사용자에 의한 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7번째 줄: 37번째 줄:
  
 
==Synopsis==
 
==Synopsis==
'''최초의 원어민''' 영어 교사들은 무슨 이유로 언제 어떻게 이 땅에 발을 내딛었으며, 그들의 자질은 과연 어느 정도였을까? 다른 한편, 그들로부터 영어를 배운 우리 조상들은 누구였으며, 영어를 배우려 한 목적은 무엇이고, 그 결과로 어떠한 삶을 살게 되었을까? 힘(power)을 상징하는 지식이 '''한자'''에서 '''영어'''로 옮겨가기 시작했던 구한말 상황을 이 인물들을 통해 그려보자.
+
'''최초의 원어민''' 영어 교사들은 무슨 이유로 언제 어떻게 이 땅에 발을 내딛었으며, 그들의 자질은 과연 어느 정도였을까? 다른 한편, 그들로부터 영어를 배운 우리 조상들은 누구였으며, 영어를 배우려고 한 목적은 무엇이고, 그 결과로 어떠한 삶을 살게 되었을까? 힘(power)을 상징하는 지식이 '''한자'''에서 '''영어'''로 옮겨가기 시작했던 구한말 상황을 이 인물들을 통해 그려보자.
  
 
==Storyline==
 
==Storyline==
  
===[[E0-801A.episode | Episode 1: 고종의 노력과 근대학교]]===
+
===[[E0-801A.episode | Episode 1: 근대식 학교의 최초 영어선생은 원어민이 아니었다?]]===
  
===[[E0-801B.episode | Episode 2: 영신사와 동문학]]===
+
동문학의 영어교사는 중국인 '''오중현'''과 '''당소이'''로 '''묄렌도르프'''가 조선해관 설립을 위한 차관교섭과 해관원 선발을 위해 중국에 갔다가 1883년 4월 10일 귀국할 때 데려온 사람들이었다. 당소이는 1873년 13세의 나이로 미국에 가서 코네티컷 주 하트포드Hartford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에 입학했다. 1881년 중국으로 돌아온 뒤 1882년 12월 묄렌도르프의 조수가 되어 한국에 건너왔다.
  
===[[E0-801C.episode | Episode 3: 보빙사와 육영공원]]===
+
===[[E0-801B.episode | Episode 2: 돈 벌러 온 '''최초의 원어민 교사''': <span style="color:#0066cc">핼리팩스(''Halifax, T. E.'')</span>]]===
 +
1884년 10월 1일 묄렌도르프는 영국인 핼리팩스Thomas Edward Hallifax(奚來百士)에게 동문학의 책임을 맡겼다. 핼리팩스는 1842년 5월 영국에서 태어나 1871년 일본에서 역시 6년여를 전신사업을 감독하며 살았다. 하지만 1877년 일본에서 일이 없어지자 선원이 되어 태평양을 떠돌다가 2년 뒤인 1879년 일본으로 돌아와 도쿄에서 4년여를 영어선생으로 일했다.
 +
1883년 초 묄렌도르프는 핼리팩스에게 한국에 와서 전신사업을 하라고 요청했다. 그러자 핼리팩스는 일본인 아내와 어린 딸과 헤어져 홀로 한국에 왔다. 하지만 그때까지 한국은 아직 전신체제를 시행할만한 기반이 없었으므로 다른 서양인들과 마찬가지로 생계유지를 위한 직업을 찾았다. 그 과정에서 영어학교 동문학의 교장자리를 제안 받았던 것이다.
  
===[[E0-801D.episode | Episode 4: 최초의 원어민 교사 핼리팩스]]===
+
===[[E0-801C.episode | Episode 3: 대학을 졸업한 2~30대의 젊은 선교사들: <span style="color:#0066cc">헐버트<span style="color:#808080">(''Homer Bezaleel Hulbert'')</span></span>, <span style="color:#0066cc">길모어<span style="color:#808080">(''George William Gilmore'')</span></span>, <span style="color:#0066cc">벙커<span style="color:#808080">(''Dalzell Adelbert Bunker'')</span></span>]]===
 +
 
 +
===[[E0-801D.episode | Episode 4: 하루에 영어단어 200개씩 외운 <span style="color:#0066cc">장봉환</span>]]===
 +
 
 +
===[[E0-801E.episode | Episode 5: 찹쌀떡 행상에서 '''외부대신'''까진 오른 <span style="color:#0066cc">이하영</span>]]===
 +
 
 +
==참고사진==
 +
<gallery>
 +
파일:핼리팩스.jpg|핼리팩스
 +
파일:헐버트.jpg| 헐버트
 +
파일:길모어.jpg| 길모어
 +
파일:벙커.jpg| 벙커
 +
파일:장봉환.jpg| 장봉환
 +
파일:이하영.jpg|이하영
 +
</gallery>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2022년 5월 6일 (금) 09:01 기준 최신판


Theme

최초의 원어민 교사들과 영어로 출세한 조선인들

Synopsis

최초의 원어민 영어 교사들은 무슨 이유로 언제 어떻게 이 땅에 발을 내딛었으며, 그들의 자질은 과연 어느 정도였을까? 다른 한편, 그들로부터 영어를 배운 우리 조상들은 누구였으며, 영어를 배우려고 한 목적은 무엇이고, 그 결과로 어떠한 삶을 살게 되었을까? 힘(power)을 상징하는 지식이 한자에서 영어로 옮겨가기 시작했던 구한말 상황을 이 인물들을 통해 그려보자.

Storyline

Episode 1: 근대식 학교의 최초 영어선생은 원어민이 아니었다?

동문학의 영어교사는 중국인 오중현당소이묄렌도르프가 조선해관 설립을 위한 차관교섭과 해관원 선발을 위해 중국에 갔다가 1883년 4월 10일 귀국할 때 데려온 사람들이었다. 당소이는 1873년 13세의 나이로 미국에 가서 코네티컷 주 하트포드Hartford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에 입학했다. 1881년 중국으로 돌아온 뒤 1882년 12월 묄렌도르프의 조수가 되어 한국에 건너왔다.

Episode 2: 돈 벌러 온 최초의 원어민 교사: 핼리팩스(Halifax, T. E.)

1884년 10월 1일 묄렌도르프는 영국인 핼리팩스Thomas Edward Hallifax(奚來百士)에게 동문학의 책임을 맡겼다. 핼리팩스는 1842년 5월 영국에서 태어나 1871년 일본에서 역시 6년여를 전신사업을 감독하며 살았다. 하지만 1877년 일본에서 일이 없어지자 선원이 되어 태평양을 떠돌다가 2년 뒤인 1879년 일본으로 돌아와 도쿄에서 4년여를 영어선생으로 일했다. 1883년 초 묄렌도르프는 핼리팩스에게 한국에 와서 전신사업을 하라고 요청했다. 그러자 핼리팩스는 일본인 아내와 어린 딸과 헤어져 홀로 한국에 왔다. 하지만 그때까지 한국은 아직 전신체제를 시행할만한 기반이 없었으므로 다른 서양인들과 마찬가지로 생계유지를 위한 직업을 찾았다. 그 과정에서 영어학교 동문학의 교장자리를 제안 받았던 것이다.

Episode 3: 대학을 졸업한 2~30대의 젊은 선교사들: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길모어(George William Gilmore), 벙커(Dalzell Adelbert Bunker)

Episode 4: 하루에 영어단어 200개씩 외운 장봉환

Episode 5: 찹쌀떡 행상에서 외부대신까진 오른 이하영

참고사진

Storytelling Network


Metaverse 구현 예시

Virtual Classroom: 최초의 원어민 교사들과 영어로 출세한 조선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