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3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Synopsis)
 
(2명의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pre>
 
<pre>
 
#Links
 
#Links
E0-301A 협률사           hasContextualElement
 
E0-301A 봉상시           hasContextualElement
 
E0-301A 가로등            hasContextualElement
 
E0-301A 한양의_전차_개통  hasContextualElement
 
 
E0-301A 이채연           hasContextualElement
 
E0-301A 이채연           hasContextualElement
 
E0-301A 한성도시개조사업  hasContextualElement
 
E0-301A 한성도시개조사업  hasContextualElement
E0-301A 어극40년칭경예식  hasContextualElement
 
E0-301A 명월관           hasContextualElement
 
E0-301A 에디슨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pre>
 
</pre>
 
+
{{clickable button | [[S0-301.Story]]}}
 
==Theme==
 
==Theme==
1900년대 초 한양 밤문화의 형성
+
Episode 1: 한양 밤문화 형성의 단초가 되는 한성판윤 이채윤이 시작한 한성도시개조사업
  
 
==Synopsis==
 
==Synopsis==
협률사는 고종의 어극40년칭경례식을 위해 봉상시 안에 설치되었던 희대(무대공간)가 이곳에서 공연했던 연희단체인 협률사와 같은 이름으로 극장으로 운영됨. 이곳은 우리나라 최초의 실내극장.
+
한양 도심에 생긴 최초의 실내 극장 협률사와 협률사로 인한 극장 문화 및 밤문화는 한성판윤 이채윤이 시작한 한성도시개조사업으로 다져진 도시 기반을 배경으로 성장했다.  
문화 형성은 한양 도심부의 기반 시설 위에서 성장한 것이다. <br/>
+
<br/>
+
<에피소드1>먼저, 한양 밤문화의 형성은 한성판윤인 이채윤이 185년 9월부터 본격적인 도시개조 사업을 시행 한것부터 시작된다. 1899년 5월에 서대문과 청량리 구간 전차가 개통되고, 같은 해 12월 종로에서 남대문, 남대문에서 용산 사이의 확장 개통과 1900년 7월 경인철도, 경성에서 용산 확장 개통된다. 그리고 1900년 4월 10일에 처음으로 전차 정거장과 매표소 주변을 밝히기 위해 가로등 3개를 설치한다. 1901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전등 영업이 시작 되면서, 진고개 일본인 상점가에는 600개의 민간 전등이 가설된다.<br/>
+
<에피소드2> 협률사 뿐만 아니라 활동사진소의 밤 늦은 영업의 배경이 되고, 밤 문화 형성은 1904년 오픈한 명월관으로 꽃을 피운다. 협률사에서 밤 공연 감상을 하고, 명월관에서 새벽까지 풍류를 즐기는 문화가 자리잡게 된다. 협률사는 상류층만 향유하던 궁중 및 기생 연희 문화를 입장료만 내면 볼 수 있어 대중들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끌게 된다. <br/>
+
<에피소드3>결국 풍기문란을 걱정하던 당시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협률사를 중심으로 한 실내 극장 협파론이 등장한다.<ref>우수진, 협률사와 극장적 공공성의 형성, 우수진, 근대문학연구, 2009</ref>
+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201A"></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301A"></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201A'">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301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Graph.py?account=edu&script=E0-201A.episode'">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0-301A.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html>
 
</html>
 
 
==주석==
 
<references/>
 

2022년 3월 31일 (목) 09:14 기준 최신판

#Links
E0-301A	이채연	          hasContextualElement
E0-301A	한성도시개조사업  hasContextualElement
#End

S0-301.Story

Theme

Episode 1: 한양 밤문화 형성의 단초가 되는 한성판윤 이채윤이 시작한 한성도시개조사업

Synopsis

한양 도심에 생긴 최초의 실내 극장 협률사와 협률사로 인한 극장 문화 및 밤문화는 한성판윤 이채윤이 시작한 한성도시개조사업으로 다져진 도시 기반을 배경으로 성장했다.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