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 강훈혁 기말 계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과제 결과물)
 
(같은 사용자에 의한 2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주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
==개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사업계획서==
+
==사업계획서: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개요===
 
===사업 개요===
*사업 목적과 기간, 예산 및 계약 방법을 간략히 명시
+
*사업명: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사업 주요 내용===
 
===사업 주요 내용===
 
*행주산성을 중심으로 한 권역<ref>고양사이버역사박물관에서 지정한 권역을 따름.[http://www.goyang.go.kr/ghistory/siegeHaengjuAndHanRiverside.do 링크]</ref>의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
 
*행주산성을 중심으로 한 권역<ref>고양사이버역사박물관에서 지정한 권역을 따름.[http://www.goyang.go.kr/ghistory/siegeHaengjuAndHanRiverside.do 링크]</ref>의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50%"
 +
!style="width:5%"|No||style="width:40%"| 조사 대상 || 지정
 +
|-
 +
| 1 || 고양 행주산성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d%96%89%ec%a3%b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13&ccbaAsno=00560000&ccbaCtcd=31&ccbaCpno=133310056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사적 제56호]
 +
|-
 +
| 2 || 고양 행주성당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d%96%89%ec%a3%b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79&ccbaAsno=04550000&ccbaCtcd=31&ccbaCpno=441310455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국가등록문화재 제455호]
 +
|-
 +
| 3 || 고양 행주수위관측소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d%96%89%ec%a3%b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79&ccbaAsno=05990000&ccbaCtcd=31&ccbaCpno=441310599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국가등록문화재 제599호]
 +
|-
 +
| 4 || 행주대첩비(구비)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d%96%89%ec%a3%b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21&ccbaAsno=00740000&ccbaCtcd=31&ccbaCpno=211310074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4호]
 +
|-
 +
| 5 || 고양 강매 석교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a%b0%95%eb%a7%a4&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21&ccbaAsno=03620000&ccbaCtcd=31&ccbaCpno=211310362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2호]
 +
|-
 +
| 6 || 행주서원지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d%96%89%ec%a3%b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31&ccbaAsno=00710000&ccbaCtcd=31&ccbaCpno=341310071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1호]
 +
|-
 +
| 7 || 유형장군묘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searchCondition=%ec%9c%a0%ed%98%95&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31&ccbaKdcd=23&ccbaAsno=00500000&ccbaCtcd=31&ccbaCpno=2333100500000&ccbaCndt=&ccbaLcto=50&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pageNo=1_1_3_1 경기도 기념물 제50호]
 +
|-
 +
| 8 || 행주산성역사공원 || 비지정
 +
|-
 +
| 9 || 대첩기념관 || 비지정
 +
|-
 +
| 10 || 덕양정 || 비지정
 +
|-
 +
| 11 || 전사청 || 비지정
 +
|-
 +
| 12 || 충의정 || 비지정
 +
|-
 +
| 13 || 충훈정 || 비지정
 +
|-
 +
| 14 || 충장사 || 비지정
 +
|-
 +
| 15 || 행주나루터 || 비지정
 +
|}
 +
 +
*전수조사 및 현지답사 결과에 따라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추가 여부 검토
 
*기존 연구자료 및 조사 결과를 취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활용 방안 마련
 
*기존 연구자료 및 조사 결과를 취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활용 방안 마련
 
*행주산성 역사 스토리텔링을 위한 3D 콘텐츠 개발
 
*행주산성 역사 스토리텔링을 위한 3D 콘텐츠 개발
18번째 줄: 53번째 줄: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제안서==
+
 
 +
==제안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COVID-19 사태를 맞아 역사문화자원의 비대면 디지털 서비스 제공이 필요
+
*COVID-19 사태에 따른 역사문화자원의 비대면 디지털 서비스 제공 필요성 제시
 
*연구의 대략적인 목적과 활용 가능성 명시
 
*연구의 대략적인 목적과 활용 가능성 명시
  
 
===연구 내용===
 
===연구 내용===
 
*사업계획서의 사업 주요 내용 항목에 기반한 연구 내용 제시
 
*사업계획서의 사업 주요 내용 항목에 기반한 연구 내용 제시
 
===수행결과 산출 목표===
 
*수행결과 산출물의 목록과 내용, 예상 수량 제시(최종 보고서, 기타 보고서,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등)
 
  
 
===연구 방법===
 
===연구 방법===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2. 데이터베이스 구성
+
**2.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성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
 
 +
===수행결과 산출 목표===
 +
*수행결과 산출물의 목록과 내용, 예상 수량 제시(최종 보고서, 기타 보고서,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등)
  
 
===연구 기대 효과===
 
===연구 기대 효과===
 +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환경의 문화유산 콘텐츠로서의 의의
 +
*디지털 큐레이션을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지식정보의 즉각적 제공과 새로운 연구 가능성 창출 기대
 +
 +
==과제 결과물==
 +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계획서
 +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제안서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20년 12월 25일 (금) 19:17 기준 최신판

개요

  •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사업계획서: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개요

  • 사업명: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사업 주요 내용

  • 행주산성을 중심으로 한 권역[1]의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
No 조사 대상 지정
1 고양 행주산성 사적 제56호
2 고양 행주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455호
3 고양 행주수위관측소 국가등록문화재 제599호
4 행주대첩비(구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4호
5 고양 강매 석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2호
6 행주서원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1호
7 유형장군묘 경기도 기념물 제50호
8 행주산성역사공원 비지정
9 대첩기념관 비지정
10 덕양정 비지정
11 전사청 비지정
12 충의정 비지정
13 충훈정 비지정
14 충장사 비지정
15 행주나루터 비지정
  • 전수조사 및 현지답사 결과에 따라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추가 여부 검토
  • 기존 연구자료 및 조사 결과를 취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활용 방안 마련
  • 행주산성 역사 스토리텔링을 위한 3D 콘텐츠 개발

사업 지침

  • 사업 일정과 연구 수행 과정의 세부 지침들을 명시

결과 제출

  •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제안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 COVID-19 사태에 따른 역사문화자원의 비대면 디지털 서비스 제공 필요성 제시
  • 연구의 대략적인 목적과 활용 가능성 명시

연구 내용

  • 사업계획서의 사업 주요 내용 항목에 기반한 연구 내용 제시

연구 방법

  •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 2.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성
    •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수행결과 산출 목표

  • 수행결과 산출물의 목록과 내용, 예상 수량 제시(최종 보고서, 기타 보고서,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등)

연구 기대 효과

  •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환경의 문화유산 콘텐츠로서의 의의
  • 디지털 큐레이션을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지식정보의 즉각적 제공과 새로운 연구 가능성 창출 기대

과제 결과물

  •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계획서
  •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제안서

주석

  1. 고양사이버역사박물관에서 지정한 권역을 따름.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