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 4보루 등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김지선) |
(→관련 문서)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김지선 | + | {{사물 정보 |
+ | |대표명칭 = 아차산 4보루 등자<ref>아래 사진출처: [http://nambaone.tistory.com/148 tistory nambaONE]</ref> | ||
+ | |시대 = [[삼국시대]] | ||
+ | |발견지 = [[아차산 4보루]] | ||
+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
+ | |사진 = 4보루등자.jpg | ||
+ | }} | ||
+ | =='''개관'''== | ||
+ | 등자는 기마병이 말에 탈 때, 말을 걸어서 오르기 편하게 한 고안이며, 안장과 함께 균형감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도구이다. 특히 삭을 사용하는 갑주무사의 경우 등자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철기병의 등장과 마구(馬具)의 등장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아차산 4보루 등자'''는 [[삼국시대]] 말기의 형태로 당나라와 [[통일신라]]시대에도 이런 형식이 기본적인 형태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특징은 발이 닿는 부분이 [[삼국시대]] 중기의 것에 비하여 블록렌즈 모양으로 넓고 편평하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29&index_id=cp02290640&content_id=cp022906400001&search_left_menu=3 아차산 4보루 등자, 문화콘텐츠닷컴]</ref>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와 [[아차산 4보루 재갈]],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 ||
+ | [[아차산 4보루]]에서는 말 재갈과 경판 및 등자 등의 마구가 출토되어 고구려뿐만 아니라 삼국 시대 마구의 편년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아차산 보루에도 기병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
+ | |||
+ | 함께 발견된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아차산 4보루 등자]]와 [[아차산 4보루 재갈]], 그리고 그 발견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각 보루에 주둔하고 있는 고구려의 지휘관급들 정도는 말을 타고 산에 올랐음을 시사한다. | ||
+ | |||
+ | =='''지도'''== | ||
+ | <googlemap width="510" height="300" lat="37.567437" lon="127.102635" type="hybrid"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54614, 127.102911, [[아차산성]] | ||
+ | 37.571795, 127.103617, [[아차산]] | ||
+ | </googlemap> | ||
+ | |||
+ | =='''클래스'''== | ||
+ | * 사물 | ||
+ | |||
+ | =='''관련 문서'''==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 4보루]]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고구려]]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 4보루 재갈]] | ||
+ | |- | ||
+ |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 ||
+ | |}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등자재갈.jpg|아차산 4보루에서 출토된 등자와 재갈<ref>사진출처: 최종택, 「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209쪽.</ref>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기여'''== | ||
+ | *[[김지선]]: 처음 작성 | ||
+ | |||
+ | [[분류:아차산성]] | ||
+ | [[분류:김지선]] | ||
+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
+ | [[분류:사물]] |
2016년 6월 26일 (일) 12:10 기준 최신판
아차산 4보루 등자[1] | |
---|---|
시대 | 삼국시대 |
발견지 | 아차산 4보루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개관
등자는 기마병이 말에 탈 때, 말을 걸어서 오르기 편하게 한 고안이며, 안장과 함께 균형감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도구이다. 특히 삭을 사용하는 갑주무사의 경우 등자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철기병의 등장과 마구(馬具)의 등장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아차산 4보루 등자는 삼국시대 말기의 형태로 당나라와 통일신라시대에도 이런 형식이 기본적인 형태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특징은 발이 닿는 부분이 삼국시대 중기의 것에 비하여 블록렌즈 모양으로 넓고 편평하다.[2]
아차산 4보루 등자와 아차산 4보루 재갈,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아차산 4보루에서는 말 재갈과 경판 및 등자 등의 마구가 출토되어 고구려뿐만 아니라 삼국 시대 마구의 편년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아차산 보루에도 기병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함께 발견된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아차산 4보루 등자와 아차산 4보루 재갈, 그리고 그 발견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각 보루에 주둔하고 있는 고구려의 지휘관급들 정도는 말을 타고 산에 올랐음을 시사한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 아차산 4보루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 | 고구려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와 관련된다 | 아차산 4보루 재갈 |
아차산 4보루 등자 | A는 B와 관련된다 |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
갤러리
아차산 4보루에서 출토된 등자와 재갈[3]
주석
- ↑ 아래 사진출처: tistory nambaONE
- ↑ 아차산 4보루 등자, 문화콘텐츠닷컴
- ↑ 사진출처: 최종택, 「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209쪽.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