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양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명의 사용자에 의한 1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옥양목'''==
|대표명칭 = 옥양목
+
::옥양목(玉洋木, calico)은 생금건(生金巾)으로도 불렸으며, 당시에는 당목(唐木), 양목(洋木), 때로는 광목(廣木)으로도 불리었다.<ref>兪水敬,「韓國女性洋裝의 變遷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86쪽;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재인용. </ref>  옥처럼 하얀 서양옷감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평직의 면직물로 대부분 영국 맨체스터에서 생산된 공장제 공업제품이었다. 영국산 옥양목은 재래면직물인 무명에 비하여 얇고, 흰색의 빛을 띠어 외관상 맵시가 있어 양반들이 개항이전부터 청 상인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개항이후 사용이 증가하였다.<ref> 박진경,「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수입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10쪽.</ref> 보통 26~28번수 내외의 가는 실로 짜며 1필의 중량은 보통 10파운드 내외며, 폭은 38인치, 길이는 38야드다.<ref>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ref>
|지정번호 =  
+
|지정명칭 = 옥양목(玉洋木)
+
|영문명칭 =
+
|주소 =
+
|위도 =
+
|경도 =
+
|사진 = Soswaewon03.jpg
+
}}
+
  
==문화유산 해설문==
+
::현재는 금건에 풀을 먹이고 윤기 가공을 한 것을 옥양목으로 보고 있다.<ref> http://fashion-guide.jp/fiber-fabric/calico.html 金巾. 검색일: 2019.10.27.</ref>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우리나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37 선비]의 고고한 품성과 절의가 풍기는 아름다움이 있다.
+
::개항이전부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영국산 면직물을 양목이라고 하였는데 광목모다 촘촘하고 표면이 희고 매끈하고 고와서 '옥'이라는 단어를 앞에 붙여 옥양목이라고 하며, 중국을 통해 들어와서 '당목(唐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광목보다 고운것을 당목, 당목보다 더 고운 면직물을 옥양목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근대 저고리 유물에서 안감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내옥양목은 옥양목보다 조직이 조금 성글고 두께가 얇은 것을 말한다.<ref>박경자,김진아, 「경운박물관 소장 개항기 이후 직물에 관한 연구」, 『근대직물100년』, 경운박물관, 2013, 218쪽</ref>
  
[[양산보|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조성한 것으로 스승인 [[조광조|조광조(趙光祖)]]가 유배를 당하여 죽게 되자 출세의 뜻을 버리고 이곳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
::[[평직]]의 면직물이다.
  
소쇄원이라는 이름은 [[양산보]]의 호(號)인 소쇄옹(瀟灑翁)에서 비롯되었으며,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ref>출처: '담양 소쇄원' 문화재 안내판</ref>
+
::[[『궁중발기』]]에서는 봉디, 바디, 바지, [[두렁이]], [[행전]], [[한삼]], 고의, 단속것, 대자, [[족건]], 쥬의 등의 물목에 옥양목이 사용되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관련 항목==
+
{{재료정보
 +
|사진= 옥양목.jpg
 +
|사진출처=[http://www.emuseum.go.kr e뮤지엄]
 +
|대표명칭= 옥양목
 +
|한자표기= 玉洋木
 +
|이칭별칭= 생금건(生金巾), 당목(唐木), 양목(洋木)
 +
|구분= 근대 면직물
 +
|소재= 목화
 +
}}
  
{|class="wikitable"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파일:옥양목치마 1940-50년대.jpg|'''옥양목 치마'''<br>  경기여자고등학교, 『근대직물100년』,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3, 19쪽.
|-
+
파일:옥양목저고리 1940년대.jpg|'''옥양목 저고리'''<br> 경기여자고등학교, 『근대직물100년』,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3, 18쪽.
|담양 소쇄원 || 부속 건조물 || [[소쇄원_제월당|제월당(霽月堂)]], [[소쇄원_광풍각|광풍각(光風閣)]], [[소쇄원_오곡문|오곡문(五曲門)]], [[소쇄원_애양단|애양단(愛陽壇)]], [[소쇄원_대봉대|대봉대(待鳳臺)]]
+
|-
+
|담양 소쇄원 || 관련 인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2186&cid=40942&categoryId=39201 양산보(梁山甫)], [[양자징|양자징(梁子澄)]], [[김인후|김인후(金麟厚)]], [[송순|송순(宋純)]]
+
|-
+
|담양 소쇄원 || 관련 공간 || [[식영정|식영정(息影亭)]], [[필암서원|필암서원(筆巖書院)]]
+
|}
+
 
+
==건조물 배치도==
+
 
+
[[파일:Soswaewon05.jpg|700px|소쇄원 경내 건조물 배치도]]
+
 
+
==위치==
+
 
+
<includeonly>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5.184307&longi=127.012159" frameborder="0" ></iframe>
+
</includeonly>
+
 
+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5.184307" lon="127.012159"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5.184307, 127.012159, [[담양 소쇄원]]
+
</googlemap>
+
 
+
==Virtual Pavilion==
+
 
+
<html>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4-6/site09/site0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명승]]
 
[[분류:담양군 문화유산]]
 
  
  
{{온톨로지/문화유산 해설}}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분류:object]] [[분류:object-직물]]
 +
[[분류:복콘2020-object-직물]]
 +
[[분류:근대면직물]]
 +
[[분류:편나영]]

2020년 12월 14일 (월) 20:33 기준 최신판

옥양목

옥양목(玉洋木, calico)은 생금건(生金巾)으로도 불렸으며, 당시에는 당목(唐木), 양목(洋木), 때로는 광목(廣木)으로도 불리었다.[1] 옥처럼 하얀 서양옷감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평직의 면직물로 대부분 영국 맨체스터에서 생산된 공장제 공업제품이었다. 영국산 옥양목은 재래면직물인 무명에 비하여 얇고, 흰색의 빛을 띠어 외관상 맵시가 있어 양반들이 개항이전부터 청 상인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개항이후 사용이 증가하였다.[2] 보통 26~28번수 내외의 가는 실로 짜며 1필의 중량은 보통 10파운드 내외며, 폭은 38인치, 길이는 38야드다.[3]
현재는 금건에 풀을 먹이고 윤기 가공을 한 것을 옥양목으로 보고 있다.[4]
개항이전부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영국산 면직물을 양목이라고 하였는데 광목모다 촘촘하고 표면이 희고 매끈하고 고와서 '옥'이라는 단어를 앞에 붙여 옥양목이라고 하며, 중국을 통해 들어와서 '당목(唐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광목보다 고운것을 당목, 당목보다 더 고운 면직물을 옥양목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근대 저고리 유물에서 안감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내옥양목은 옥양목보다 조직이 조금 성글고 두께가 얇은 것을 말한다.[5]
평직의 면직물이다.
『궁중발기』에서는 봉디, 바디, 바지, 두렁이, 행전, 한삼, 고의, 단속것, 대자, 족건, 쥬의 등의 물목에 옥양목이 사용되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옥양목
(玉洋木)
대표명칭 옥양목
한자표기 玉洋木
이칭별칭 생금건(生金巾), 당목(唐木), 양목(洋木)
구분 근대 면직물
소재 목화



주석

  1. 兪水敬,「韓國女性洋裝의 變遷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86쪽;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재인용.
  2. 박진경,「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수입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10쪽.
  3.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4. http://fashion-guide.jp/fiber-fabric/calico.html 金巾. 검색일: 2019.10.27.
  5. 박경자,김진아, 「경운박물관 소장 개항기 이후 직물에 관한 연구」, 『근대직물100년』, 경운박물관, 2013, 2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