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여)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6번째 줄: 6번째 줄:
 
|행정관청홈페이지 = [http://dong.ddm.go.kr/ 장안 제1동]<br/>[http://dong.ddm.go.kr/ 장안 제2동]
 
|행정관청홈페이지 = [http://dong.ddm.go.kr/ 장안 제1동]<br/>[http://dong.ddm.go.kr/ 장안 제2동]
 
|우편번호 = 02526
 
|우편번호 = 02526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7.538540" lon="127.082777"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사진 = 군자초교.jpg
37.5723505,127.0625988, [[장안동]]
+
37.5723505,127.0625988, [[marker]]
+
</googlemap>
+
 
}}
 
}}
 
 
==설명==
 
==설명==
 
[[서울특별시]]의 [[성동구]] [[송정동]]과 [[동대문구]]의 [[답십리|답십리동]] 사이에 있었던 평야이다. 장안동의 동명은 원래 동쪽으로 한내(漢川-중랑천의 옛이름)를 등지고 발달한 평야라 하여「장한벌」또는「장한평(長漢坪)」이라고 한데서 비롯 되었다는 설과 [[조선|조선시대]] 도성에서 사용하는 군마(軍馬)를 키우던 '목마장(牧馬場) 안쪽의 벌판'이란 뜻의 「마장안벌」로 부르던 것을 줄여「장안벌」「장안평」이라 하였는데 일제강점기 때 한자음「장안(長安)」으로 소리 옮김을 하였다는 설이 있다.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폐해가 있었으나 개화기에 농토로 개척되었다. 『조선지형도』에서 장안평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장안동, 지하철 5호선의 장한평역에서 지명을 엿볼 수 있다.<ref>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4024&cid=43740&categoryId=44178 장안평] [長安坪, Janganpyeong]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국토지리정보원)</ref>
 
[[서울특별시]]의 [[성동구]] [[송정동]]과 [[동대문구]]의 [[답십리|답십리동]] 사이에 있었던 평야이다. 장안동의 동명은 원래 동쪽으로 한내(漢川-중랑천의 옛이름)를 등지고 발달한 평야라 하여「장한벌」또는「장한평(長漢坪)」이라고 한데서 비롯 되었다는 설과 [[조선|조선시대]] 도성에서 사용하는 군마(軍馬)를 키우던 '목마장(牧馬場) 안쪽의 벌판'이란 뜻의 「마장안벌」로 부르던 것을 줄여「장안벌」「장안평」이라 하였는데 일제강점기 때 한자음「장안(長安)」으로 소리 옮김을 하였다는 설이 있다.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폐해가 있었으나 개화기에 농토로 개척되었다. 『조선지형도』에서 장안평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장안동, 지하철 5호선의 장한평역에서 지명을 엿볼 수 있다.<ref>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4024&cid=43740&categoryId=44178 장안평] [長安坪, Janganpyeong]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국토지리정보원)</ref>
 
장한평 지역이 현재의 장안동이 되기까지의 자세한 연혁과 유래는 [http://dong.ddm.go.kr/introduce/history?selDongCode=ja1 장안동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한평 지역이 현재의 장안동이 되기까지의 자세한 연혁과 유래는 [http://dong.ddm.go.kr/introduce/history?selDongCode=ja1 장안동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치==
+
==지도==
<imagemap>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7.5723505" lon="127.0625988" zoom="12"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파일:군자초교.jpg|섬네일|500x500픽셀|장한평 일대<ref>출처: 네이버 지도 [http://map.naver.com/index.nhn?query=7J6l7JWI7Y-J&enc=b64&tab=1 군자초교]</ref>
+
37.5723505,127.0625988, [[장안동]]
rect 20 20 1024 720 [http://map.naver.com/index.nhn?query=7J6l7JWI7Y-J&enc=b64&tab=1 군자초교]
+
</googlemap>
</imagemap>
+
  
 +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장한평 주변지역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장한평 기준 || 행정구역
+
 
|-
 
|-
|동쪽 || [[답십리]]
+
|장한평 ||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
 
|-
|서쪽 || [[중곡동]]
+
|장한평 || A는 B와 관련된다 || [[아차산]], [[아차산성]]
|-
+
|남쪽 || [[군자동]]
+
|-
+
|북쪽 || [[면목동]], [[전농동]]
+
 
|}
 
|}
 
==주변 시설==
 
*[http://www.smrt.co.kr 서울도시철도공사 본사]
 
*[http://env.seoul.go.kr/archives/4892 중랑물재생센터]
 
 
== 교육 ==
 
*[[은석초등학교]]
 
*[[서울장평초등학교]]
 
*[[장평중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 교통 ==
 
*장한평역 ([[서울특별시]] 5호선)
 
  
 
==주석==
 
==주석==
53번째 줄: 30번째 줄: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C%95%88%EB%8F%99 위키백과 '장안동'] 페이지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C%95%88%EB%8F%99 위키백과 '장안동'] 페이지 참조
  
[[분류:한국의 행정구역]][[분류:서울의 행정구역]]
+
==기여==
 +
*[[김누리]]: 처음 작성
 +
 
 +
[[분류:아차산성]][[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분류:한국의 행정구역]][[분류:서울의 행정구역]]

2016년 6월 9일 (목) 18:58 기준 최신판

설명

서울특별시성동구 송정동동대문구답십리동 사이에 있었던 평야이다. 장안동의 동명은 원래 동쪽으로 한내(漢川-중랑천의 옛이름)를 등지고 발달한 평야라 하여「장한벌」또는「장한평(長漢坪)」이라고 한데서 비롯 되었다는 설과 조선시대 도성에서 사용하는 군마(軍馬)를 키우던 '목마장(牧馬場) 안쪽의 벌판'이란 뜻의 「마장안벌」로 부르던 것을 줄여「장안벌」「장안평」이라 하였는데 일제강점기 때 한자음「장안(長安)」으로 소리 옮김을 하였다는 설이 있다.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폐해가 있었으나 개화기에 농토로 개척되었다. 『조선지형도』에서 장안평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장안동, 지하철 5호선의 장한평역에서 지명을 엿볼 수 있다.[1] 장한평 지역이 현재의 장안동이 되기까지의 자세한 연혁과 유래는 장안동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도

관련 항목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장한평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장한평 A는 B와 관련된다 아차산, 아차산성

주석

  1.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장안평 [長安坪, Janganpyeong]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국토지리정보원)

위키백과 '장안동' 페이지 참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