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미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시각자료)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4번째 줄: 34번째 줄:
 
||[[파일: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png|700px]]<br/>'''안세권 作, 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 2005~2007(시리즈)'''   
 
||[[파일: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png|700px]]<br/>'''안세권 作, 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 2005~2007(시리즈)'''   
 
|}
 
|}
 +
*[https://www.news1.kr/articles/?3516653 서울시립미술관 전시 사례]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505794 성곡미술관 전시 사례]
 +
*[http://www.segye.com/newsView/20140304005211?OutUrl=naver 백남준아트센터 전시 사례]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파일:서울 필름 스티커.png|600px]]<br/>'''이재욱 作, 서울 필름 스티커'''
 
||[[파일:서울 필름 스티커.png|600px]]<br/>'''이재욱 作, 서울 필름 스티커'''
41번째 줄: 45번째 줄:
 
||[[파일:천호대로-01.png|300px]]<br/>'''국대호 作, 천호대로-01'''     
 
||[[파일:천호대로-01.png|300px]]<br/>'''국대호 作, 천호대로-01'''     
 
|}
 
|}
 
 
<ref>[http://gmoma.ggcf.kr/archives/artworks/collection 이미지 출처.]</ref>
 
<ref>[http://gmoma.ggcf.kr/archives/artworks/collection 이미지 출처.]</ref>
  
 +
경기도미술관의 전시와 소장품에서 느껴지는 특징 중 하나는 예술의 대상이 매우 익숙하고 친근하다는 점이다. 창작자, 크리에이터만이 발견할 수 있는 특수한 영감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 언제든 마주칠 수 있는 것, 늘 가까이 두고 사는 것을 재발견하는 것이라는 인상이 역력하며 그것을 독특한 기법으로 표현해낸 작품을 다수 관람할 수 있다. 공식 홈페이지의 목록에 따르면 미디어, 설치, 입체, 평면이라는 클래스로 분류되는 해당 미술관의 소장품은 326점이다.
  
 
*[http://gmoma.ggcf.kr/archives/artworks/collection 경기도미술관 소장품]
 
*[http://gmoma.ggcf.kr/archives/artworks/collection 경기도미술관 소장품]

2020년 4월 7일 (화) 13:25 기준 최신판

경기도미술관()
대표명칭 경기도미술관
유형 미술관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268
관련단체 경기문화재단



정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268에 위치한 도립 미술관. 2006년에 개관하여 현대 미술품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및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내용

연혁

  • 1997년 3월 13일, 경기도미술관 건립 추진계획 수립.
  • 2006년 10월 25일, 경기도미술관 개관.
  • 2008년 3월 1일, 경기문화재단으로 통합 운영.
  • 2009년 10월 29일, 부설 경기창작센터 개관.
  • 2013년 7월 31일, 어린이 전용 복합 공간 '어린이 꿈★틀' 개관.

주요 전시

현대 미술에 주목하여 관객에게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실천적이고 관객 참여적인 전시를 다수 수행해왔다. 예술이 고원하고 철학적인 영역이기보다는 평범한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요소들을 관찰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임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게 드러난다.

위치

시각자료

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png
안세권 作, 서울, 뉴타운 풍경, 월곡동의 빛 2005~2007(시리즈)
서울 필름 스티커.png
이재욱 作, 서울 필름 스티커
더 나잇.png
권기동 作, 더 나잇(The Night)
천호대로-01.png
국대호 作, 천호대로-01

[2]

경기도미술관의 전시와 소장품에서 느껴지는 특징 중 하나는 예술의 대상이 매우 익숙하고 친근하다는 점이다. 창작자, 크리에이터만이 발견할 수 있는 특수한 영감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 언제든 마주칠 수 있는 것, 늘 가까이 두고 사는 것을 재발견하는 것이라는 인상이 역력하며 그것을 독특한 기법으로 표현해낸 작품을 다수 관람할 수 있다. 공식 홈페이지의 목록에 따르면 미디어, 설치, 입체, 평면이라는 클래스로 분류되는 해당 미술관의 소장품은 326점이다.

바깥고리

참고문헌

주석

  1. 이미지 출처 1, 2.
  2. 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