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김수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IMSOOHYEON (토론 | 기여) (ㅇㅇ) |
Clayart141 (토론 | 기여) (ㄹ)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10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서울공예박물관 == | == 서울공예박물관 == | ||
=== 서울공예박물관 === | === 서울공예박물관 === | ||
+ | ==== 공예 ==== | ||
<ref>서울공예박물관</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공예&ridx=0&tot=187 공예]란 실용적 가치와 미술적 가치를 가진 공작에 관한 기법 또는 조형예술을 뜻한다. 공예품은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제작되는 만큼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며, 사용하는 계층에 따라 품격의 차이가 생기고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를 달리한다. 또한, 시대 또는 지역에 따라 표현양식이나 제작기법에 차이가 생기고, 대외적인 교섭에 따라 외래양식의 수용·소화의 과정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공예작품에 사용된 재료는 금속·목칠·도토(陶土)가 주류를 이룬다. 이 밖에 유리○가죽○종이○실 따위도 더러 있지만 수는 많지 않고, 유리를 빼고는 중요성도 크지 않다. 우리 나라 공예품의 제작 목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종교적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과 일상생활 용구로 제작되는 것이다. 종교적 행사라 함은 고대사회의 원시종교의식에 사용하던 각종 의기들을 비롯하여, 삼국시대 이후 불교행사에 사용하던 각종 도구들이 이에 포함된다. | <ref>서울공예박물관</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공예&ridx=0&tot=187 공예]란 실용적 가치와 미술적 가치를 가진 공작에 관한 기법 또는 조형예술을 뜻한다. 공예품은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제작되는 만큼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며, 사용하는 계층에 따라 품격의 차이가 생기고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를 달리한다. 또한, 시대 또는 지역에 따라 표현양식이나 제작기법에 차이가 생기고, 대외적인 교섭에 따라 외래양식의 수용·소화의 과정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공예작품에 사용된 재료는 금속·목칠·도토(陶土)가 주류를 이룬다. 이 밖에 유리○가죽○종이○실 따위도 더러 있지만 수는 많지 않고, 유리를 빼고는 중요성도 크지 않다. 우리 나라 공예품의 제작 목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종교적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과 일상생활 용구로 제작되는 것이다. 종교적 행사라 함은 고대사회의 원시종교의식에 사용하던 각종 의기들을 비롯하여, 삼국시대 이후 불교행사에 사용하던 각종 도구들이 이에 포함된다. | ||
이러한 도구들은 모두 금속제품들이고 전체 공예작품에 비하면 많은 수가 아니다. 여기에 비하면 일상생활에 사용되던 용구들은 문화의 발달 정도나 시대적 성격에 따라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막대한 양이 제작되었고, 그들 하나하나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기호 또는 시대적인 풍속과 습관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우리 나라 공예품은 중국 공예품에서 느끼는 권위적이고 존대(尊大)한 점이나, 또는 일본 공예품에서 느끼는 가식적이고 기교적인 점이 없어 솔직하고 순박하며 순정적이라고 한다. 따라서 ‘무기교(無技巧)의 기교’니 ‘무계획의 계획’이니 하는 표현도 나오게 된다. | 이러한 도구들은 모두 금속제품들이고 전체 공예작품에 비하면 많은 수가 아니다. 여기에 비하면 일상생활에 사용되던 용구들은 문화의 발달 정도나 시대적 성격에 따라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막대한 양이 제작되었고, 그들 하나하나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기호 또는 시대적인 풍속과 습관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우리 나라 공예품은 중국 공예품에서 느끼는 권위적이고 존대(尊大)한 점이나, 또는 일본 공예품에서 느끼는 가식적이고 기교적인 점이 없어 솔직하고 순박하며 순정적이라고 한다. 따라서 ‘무기교(無技巧)의 기교’니 ‘무계획의 계획’이니 하는 표현도 나오게 된다. | ||
18번째 줄: | 19번째 줄: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 위치 | ||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175-2, 175-102번지 (현 풍문여고)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576736" lon="126.983365"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76736, 126.983365, [https://www.google.com/maps/place/%EF%BC%91%EF%BC%97%EF%BC%95%E2%88%92%EF%BC%92+Anguk-dong,+Jongno-gu,+Seoul/@37.5767348,126.9832294,20.75z/data=!4m5!3m4!1s0x357ca2c3a6632ca7:0xcbf84b57b4546d1f!8m2!3d37.5767345!4d126.9833623 서울공예박물관] | ||
+ | </googlemap> | ||
+ | |||
+ | |||
+ | <gallery> | ||
+ | 파일:지도입니다.png| | ||
+ | </gallery> | ||
+ | # 건물 구성 | ||
+ | * 설계: (주)[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8085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_이용호 | ||
+ | * 지역지구: 일반상업지역, 제 1종, 2종 일반주거지역, 학교용지 | ||
+ | *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박물관) | ||
+ | * 대지면적: 12,823.6m2 | ||
+ | * 건축면적: 3,614.38m2 | ||
+ | * 연면적: 10,627.77m2 | ||
+ | * 건폐율: 28.19% | ||
+ | * 용적률: 82.88% | ||
+ | * 규모: 지상 5층 | ||
+ | * 구조: 조적, 철근콘크리트, 철골+보강 | ||
+ | * 최고높이: 16m | ||
+ | * 주차대수: 106대 | ||
+ | * 외부마감: 석재, 청고벽돌, 로이복층유리 | ||
+ | * 프로젝트팀: 윤정준, 한승진, 신현수, 최시인 | ||
+ | * 발주처: 서울특별시 도시공간개선단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11234.png| | ||
+ | 파일:235235.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3sdfs.png| | ||
+ | 파일:Dfsfs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Sff5.png| | ||
+ | 파일:Sfdff6.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7wr2.png| | ||
+ | 파일:8sfsf.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Sfssa9.png| | ||
+ | 파일:1sfsa0.png| | ||
+ | <gallery> | ||
+ | 파일:1saff1.png| | ||
+ | 파일:Sdads1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7-1.png| | ||
+ | </gallery> | ||
+ | <ref>사진출처: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38-45.</ref> | ||
+ | 서울공예박물관은 공예 네트워크를 컨셉으로 하여 과한 디자인보다는 비움을 채우는‘공 | ||
+ | 유 플랫폼’을 건축물의 내외부에 제안하였다. 핵심이 되는 두 가지 디자인적 요소는 지형 | ||
+ | 의 복원(Redemption of Topography)과 씽크탱크 플랫폼(Craft Hut)이다. | ||
+ | 기존의 넓은 학교 운동장 영역 중 일부는 박석을 깔아, 종묘 정전의 월대를 연상케 하는 | ||
+ | 공간을 만들어 전통적 땅의 모습을 복원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는 광장으로 | ||
+ |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별궁의 돌담은 그 변형을 최소화하되, 대지 내 은행나무 | ||
+ | 동산과 아트플랫폼을 방문객들에게 열어줌으로써 끊겼던 도시의 흐름을 이어냈다. | ||
+ | 신축 건축물인 Craft Hut 또한 공간의 이용방식을 설계자가 한정 짓는 것이 아닌, 공예 | ||
+ | 박물관 이용자들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장치만을 제안하 | ||
+ | 였다. 낮에는 전시장과 연결되어 이용되고, 저녁에는 기증공예관의 카페와 연계해 늦게 | ||
+ | 까지 오픈되어 시민들과 작가가 만나 공감하고 토론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플랫폼으 | ||
+ | 로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ref>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41.</ref>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31번째 줄: | 106번째 줄: | ||
* 아카이브의 디지털화 | * 아카이브의 디지털화 | ||
그는 "아카이브는 작가 스케치, 도안, 작업 도구 등을 망라해 갖추고 디지털화해 공개할 것"이라며 "공예를 공부하는 후학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촘촘한 정보시스템을 완성하려고 한다"고 말했다.<ref>김 관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분류표에 공예라는 항목이 없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직 중에 공예 담당이 거의 없다"며 "일상적인 공예가 일상적이지 않은 활동으로 취급됐고, 제대로 된 대접도 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ref> | 그는 "아카이브는 작가 스케치, 도안, 작업 도구 등을 망라해 갖추고 디지털화해 공개할 것"이라며 "공예를 공부하는 후학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촘촘한 정보시스템을 완성하려고 한다"고 말했다.<ref>김 관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분류표에 공예라는 항목이 없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직 중에 공예 담당이 거의 없다"며 "일상적인 공예가 일상적이지 않은 활동으로 취급됐고, 제대로 된 대접도 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ref> | ||
+ | * 공예공방네트워크와 공예문화생태계 활성화 | ||
+ | (재)서울디자인재단 시민디자인연구소는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공예재료의 물성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공예연구소, 누구나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생활 공예를 위한 평생학습의 공예교실, 우수한 공예품을 감상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예전시실, 모든 작가에게 열려있는 공예장터, 각 지역의 공방을 연결하는 친절한 공예공방네트워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접한 북촌공예마을과 지역의 공예가들과 연계하여 공예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예문화마당으로 조성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변 지역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하나의 ‘모둠체’로서, 보다 창조적인 연구와 창작을 견인하고, 공예문화의 생활화, 세계화, 미래화를 위한 자료실로서의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구상하였다.<ref>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2</ref>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 ==== 국채보상운동 ==== | ||
+ |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국채를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기 위하여 전개된 국권회복운동이다. | ||
+ | 일본은 1894년 청일전쟁 당시부터 우리나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차관공여(借款供與)를 제기하여 두 차례에 걸쳐 각 30만 원과 3백만 원의 차관을 성립시켰다. 이러한 일본의 차관 공세는 1904년 제1차 한일협약 이후 더욱 노골화되었다. | ||
+ | 이때 일본이 우리나라에 차관 공세를 펴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첫째는 한국의 재정을 일본 재정에 완전히 예속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차관으로 식민지 건설을 위한 정지 작업(整地作業)을 하자는 것이었다. | ||
+ | * 역사적배경 | ||
+ | 제1차 한일협약 이후 우리나라에 재정 고문으로 부임한 메카타(目賀田種太郎)는 1906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1,150만 원의 차관을 도입하였다. | ||
+ | 제1차 차관은 1905년 1월 ‘폐정리자금채’라는 명목으로 해관세(海關稅)를 담보로 한 3백만 원이었다. 제2차 차관은 1905년 6월 우리 정부의 부채 정리와 재정 융통에 필요한 자금 명목으로 한국의 국고금을 담보로 2백만 원을 들여왔다. | ||
+ | 제3차 차관은 1905년 12월 우리나라의 토착 자본을 일본 자금에 예속시킬 목적으로 금융자금채 150만원을 들여왔다. 제4차 차관은 1906년 3월 기업자금채의 명목으로 5백만 원을 들여왔다. | ||
+ | 이러한 일본측의 차관 공세는 우리 정부와 민간의 경제적 독립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당시 우리나라의 토착 자본은 일본 차관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운동을 전개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 ||
+ | * 경과 | ||
+ |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29일(음력 1906년 12월 16일) 대구광문사(廣文社) 총회에서 광문사 | ||
+ | 부사장 서상돈이 <big>1,300만원</big><ref>당시의 대한제국은 1905년 통화단위를 원에서 환으로 바꿨다. 따라서 1907년의 국채는 1,300만환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이 | ||
+ | 해를 돕기 위해 원이라는 통화단위로 표기한다. 1,300만원을 현재 시세로 정확히 환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물가를 단순 비 | ||
+ | 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당시 한 달 담배 값이 20전, 신문 한 달 구독료가 30전, 주사 월급이 15원 정도였다고 하니 이를 | ||
+ | 기준으로 단순 환산해 보면, 1,300만원은 7천억 원에서 1조 3천억 원 정도가 된다.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 </ref>에 달하는 국채를 모든 국민이 의연금을 모아 갚자는 제안을 함으로써 | ||
+ | 촉발되었다. 서상돈은 당시 2천만 국민이 담배를 석 달 동안 끊어 모은 돈을 각 60전씩 내면 1,300 | ||
+ | 만원의 국채를 갚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서상돈의 제안에 광문사 사장 김광제가 즉각 호응하고 | ||
+ | 참석한 회원들이 돈을 기부한 결과 그 자리에서 2천여원의 의연금이 모집되었다. 이후 김광제, 서 | ||
+ | 상돈, 박혜령 등이 발기인이 되어 2월 21일(음력 1월 9일) 대구민의소에서 단연회 창립총회를 열었 | ||
+ | 고 국채보상취지서 를 발표하였다. 같은 날 북후정(北後亭)에서 대구군민대회를 개최해 국채보상 | ||
+ |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알렸다.<ref>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ref> | ||
+ | 당시의 광문사는 지식인과 민족 자산가로 구성되어, 주로 실학자들의 저술을 편찬하고 신학문을 도입하여 민족의 자강 의식을 고취하고 있던 출판사였다. | ||
+ | 또, 서상돈은 일찍이 독립협회 회원과 만민공동회 간부로서 자주독립 운동에 참여해 온 인사였다. 김광제ㆍ서상돈은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에 “국채 1천 3백만 원은 바로 우리 대한제국의 존망에 직결되는 것으로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인데, 국고로는 해결할 도리가 없으므로 2천만 인민들이 3개월 동안 흡연을 폐지하고 그 대금으로 국고를 갚아 국가의 위기를 구하자”고 발기 취지를 밝혔다. | ||
+ | # 1 | ||
+ | 취지문을 발표한 뒤 대동광문회(大同廣文會)주 01)는 민회소(民會所), 즉 단연회(斷煙會)를 설립하여 직접 모금 운동에 나섰다. 대동광문회의 국채보상운동 발기가 『대한매일신보』ㆍ『제국신문』ㆍ『만세보』ㆍ『황성신문』 등에 보도되자 각계각층의 광범한 호응이 일어났다. | ||
+ | 서울에서는 2월 22일김성희(金成喜) 등이 국채보상기성회(國債報償期成會)를 설립하고 취지서를 발표하였다. 기성회는 회칙까지 제정하여 본격적인 운동의 채비를 갖추었다. 또, 수전소(收錢所)는 서점ㆍ약국ㆍ대한매일신보사ㆍ잡지사 등으로 지정하였다. | ||
+ | 그 뒤 전국에서 ‘국채보상’의 이름을 붙인 20여 개에 달하는 국채보상운동단체가 창립되었다. | ||
+ | # 2 | ||
+ | 이들 단체의 운동은 국채 보상을 위한 계몽적 활동과 직접 모금 운동을 하는 실천적 활동으로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눌 수 있다. | ||
+ | 운동에는 문자 그대로 각계각층이 참여하였다. 고종도 단연의 뜻을 밝혔고, 이에 따라 고급 관료들도 한때 소극적이나마 모금 운동에 참여하였다.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민족 자본가와 지식인층이었다. | ||
+ | 상인들은 일본 차관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들이었기 때문에 인천ㆍ부산ㆍ원산ㆍ평양 등지에서 상업회의소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다. | ||
+ | 지식인들은 각종 단체ㆍ학회ㆍ학교ㆍ언론기관 등을 중심으로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운동에는 신지식인뿐만 아니라 유림(儒林)과 전ㆍ현직 하급관리들도 각 지방에서 상민층과 함께 적극 참여하였다. | ||
+ | 또, 이 운동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많은 부녀 층이 참여하여 각종 패물을 의연소(義捐所)에 보내 온 점이다. 그리고 노동자ㆍ인력거꾼ㆍ기생ㆍ백정 등 하층민들까지도 적극 참여하여 이 운동은 그야말로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되어 나갔다. | ||
+ | <gallery> | ||
+ | 파일:전개1.png| | ||
+ | 파일:전개2.png| | ||
+ | </gallery>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강원도 || 춘천군(3.26) 원주군(5.12) 추풍령(8.2) | ||
+ | |- | ||
+ | | 경상도 || 대구광문사(2.21) 동래부(3.10) 대구남일동(3.8) 국채보상경남찬성회(3.14) 국채보상경남상회(3.28) 창원, 마산항(3.29, 5.28) 청도군(4.4) 상주(4.9) 성주군(4.12) 의령군 덕곡서당(4.14) 부산항 죄천리(4.19) 경산군(4.28) 부산항 죄천리단연회(5.1) | ||
+ | 현풍군(5.14, 5.26) 용궁군(5.14) | ||
+ | |- | ||
+ | | 경기도 || 안성군 서리(3.29) 수원(3.29) 포천(5.28) 강화군 외주동(5.29) 장단 | ||
+ | |- | ||
+ | | 충청도 || 보은(4.3) 청주군(4.19) 옥천(3.8, 4.4) 단천군 남문(4.14) 한산(3.17) 금산군(3.19) 덕산(3.20) 영동군(3.23) 진천군(5.19) | ||
+ | 공주군(5.22) 제천, 호서협상회(5.19) | ||
+ | |- | ||
+ | | 전라도 || 국채보상의무소(전주·광주, 3.19) 진안 장수 양군(3.26) 군산항 객주상사(4.14) 장성군(5.2) 정읍(5.9) 제주군 신제면 상덕리(5.10) | ||
+ | 부안군(6.1) 무장(6.30) 완도(7.5) 광주(7.5)구례(7.13) 해남(7.30) 무주(7.30) 태인 | ||
+ | |- | ||
+ | | 황해도 || 수안(3.15) 재령군(3.28) 은진(4.27) 안악군(5.7, 5.11) 은률군(5.28) 옹진(7.9) 장연 | ||
+ | |- | ||
+ | | 함경도 || 함흥군(4.7) 함흥군 북면(4.19, 5.24) 함흥주 북면 상동(4.23) 원산항(5.24, 5.25) 흥원군(5.29) 영흥(6.28) 경성(7.16) | ||
+ | |- | ||
+ | | 평안도 || 국채보상서도의성회(2.28) 국채보상의연권고회(3.1) 평양(3.21, 4.17) 한북국채보상단성회(3.21) 국채보상관서동맹(3.31) | ||
+ | 정주군(4.11) 통진(4.11) 용천부(4.18) 중화군(4.20) 철산군(5.25, 5.30) 의주(6.26) 태헌(6.29) 영유(9.24) | ||
+ | |} | ||
+ | * 결과 | ||
+ | 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1907년 4월부터 12월까지였다. 특히, 6월∼8월에는 가장 많은 의연금이 모아졌다. 그러나 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운동주체역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1908년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 ||
+ | 운동을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꾸준히 추진해 간 중심체는 양기탁(梁起鐸)과 베델(Bethell, E.T.裵說)이 이끄는 대한매일신보사였다. 따라서, 이 운동은 사실 국권회복운동의 하나로서 전개되고 있는 셈이었고, 이에 일제는 갖은 방법을 다하여 방해, 탄압하려 들었다. | ||
+ | # 1 | ||
+ | 일제는 1907년 이후 베델을 국외로 추방하는 공작을 펴, 1908년 5월 3주(週)의 금고와 벌금형을 선고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7월통감부 당국은 “대한매일신보가 보관한 국채보상금을 베델ㆍ양기탁 두 사람이 마음대로 하여 3만원을 소비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양기탁을 구속해 버렸다. 이른바 일제는 ‘국채보상금소비사건(國債報償金消費事件)’을 조작한 것이다. | ||
+ | 통감부의 공작에 따라 전 국채보상지원금 총합 소장이었던 윤웅렬(尹雄烈)은 “보상금 중 삼만 원을 영국인 베델이 사취하였으므로 그 반환을 요청한다.”는 반환청구서를 제출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이를 근거로 운동의 지도자들에 대한 불신감을 민중들에게 심어 주고자 하였다. | ||
+ | 양기탁은 공판 결과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통감부의 공작으로 운동의 주체는 분열되어, 운동 자체가 암초에 부딪쳐 끝내는 종지부를 찍고 말았다. | ||
+ | * 의의 | ||
+ | 국채보상운동은 처음부터 순수한 애국 충정에서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서, 전국적인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 ||
+ | 때문에 일제의 방해ㆍ탄압 책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끝내 좌절되었던 것이다. 운동이 비록 좌절로 끝나긴 하였으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하나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ref>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채보상운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국채보상운동&ridx=0&tot=1334</ref> | ||
+ | * 국채보상금 처리회(회장 유길준)는 각도 대표자회의를 통해 [의연금으로 장차 교육사업을 하기로 결의]하고 이식을 늘리는 방법으로 한강변의 좋은 농토를 사들이던 중 1910년 8월 29일 한일 합방의 국치를 맞았고, 모집한 의연금은 그 후 한국 국민들의 민립대학 설립운동의 재정적 기초가 되었다. <ref>국채보상운동기념관 http://www.gukchae.com/Pages/gukchae_0203.aspx</ref> | ||
+ | |||
=== 운영 단체 === | === 운영 단체 === | ||
+ | * Official website: http://www.gukchae.com/Pages/Main.aspx | ||
+ | * 관리대표인: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상임대표 신동학 | ||
+ | <gallery> | ||
+ | 파일:조직.png|조직도 | ||
+ | |||
+ | </gallery> | ||
=== 기관 연혁 === | === 기관 연혁 === | ||
+ | 2011년 10월 5일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개관 | ||
+ | <gallery> | ||
+ | 파일:연1.png| | ||
+ | 파일:연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연3.png| | ||
+ | </gallery> | ||
+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지하2층, 지상2층(1,129.09㎡) -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영상실,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 회의실 등 | ||
+ | |||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5.869093" lon="128.601806"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5.869093, 128.601806, [https://www.google.com/maps/place/%EA%B5%AD%EC%B1%84%EB%B3%B4%EC%83%81%EC%9A%B4%EB%8F%99%EA%B8%B0%EB%85%90%EA%B4%80/@35.8690017,128.5995418,17z/data=!3m1!4b1!4m5!3m4!1s0x3565e38a6ed2d4c3:0x34fdbcc90b46d1bd!8m2!3d35.8689974!4d128.6017305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googlemap> | ||
+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 | * 국채보상운동기념물 | ||
+ | <gallery> | ||
+ | 파일:전d시.png| | ||
+ | 파일:전시2.png| | ||
+ | </gallery>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 | # 1.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 | ||
+ | <gallery> | ||
+ | 파일:1. 아카이브 구축.png| | ||
+ | </gallery> | ||
+ | # 2.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MOU체결 및 자료 기증 | ||
+ | <gallery> | ||
+ | 파일:2. MOU.png| | ||
+ | </gallery> | ||
+ | # 3. 국채보상운동 지역연구 학술대회<ref> | ||
+ | * | ||
+ |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전개양상 연구. 한상구 저. 인문연구(7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12. | ||
+ | * | ||
+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성산이씨 홍와고택」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 심상훈 저. 동아인문학 33, pp. 341-371. 동아인문학회. 2015.12 | ||
+ | * | ||
+ | 대구 이야기(大邱物語). 카와이 아사오(河井朝雄) 저 / 손필헌 역.대구 중구 문화원. 1998. 12. 30</ref> | ||
+ | |||
+ | <gallery> | ||
+ | 파일:3.지역연구 학술대회.png| | ||
+ | </gallery> | ||
+ | # 4.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경과 | ||
+ | <gallery> | ||
+ | 파일:4.추진경과.png| | ||
+ | </gallery> | ||
+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개관 의의 | ||
+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70번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기념관을 건축하여 국내의 많은 귀빈과 시민을 초청하여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 선각자들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계승하여 후손들에게 나라사랑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
+ | |||
+ |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 ||
+ | |||
+ |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 | ||
== 실학박물관 == | == 실학박물관 == | ||
=== 실학박물관 === | === 실학박물관 === | ||
+ |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 ||
+ |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라 뽐내다니, 이런 어리 | ||
+ | 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야 | ||
+ | 말로 상인(商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 | ||
+ | 어 송곳같이 만드는 것은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 | ||
+ | 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 | ||
+ | 인가?” | ||
+ |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자신의 소설 <허생전>에서 허생이라는 가상인물의 입 | ||
+ | 을 빌어 허례허식과 명분에만 치중해 있던 당시 지 | ||
+ | 배층의 세태를 풍자하고 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 | ||
+ | (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을 겪으면 | ||
+ | 서 백성들의 삶은 극도로 피폐해졌다. 그러나 당시 | ||
+ | 지배층은 성리학(性理學)1중심의 정치질서를 극복하 | ||
+ | 지 못하고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기론(理氣論)2과 형 | ||
+ | 식적인 예학(禮學)에만 치중함에 따라 백성들의 실 | ||
+ | 생활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자 | ||
+ | 기반성적 비판의식은 ‘실학(實學)’이라는 새로운 풍 | ||
+ | 조의 학문을 탄생하게 한다. 즉, 실학은 조선후기의 | ||
+ | 새로운 시대적 변화를 의식하고 기존의 도덕관념으 | ||
+ | 로부터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학문이다. | ||
+ | 2009년 10월 23일, 이러한 실학의 사상체계를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계승·발전하기 위 | ||
+ | 한 취지로 실학박물관경기도 남양주 소재이 문을 열었다. | ||
+ | 박물관은 북한강 줄기와 고즈넉한 산의 아름다운 | ||
+ | 경관을 배경으로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 ||
+ | 유적지와 마주한 곳에 위치해 있다. 유적지에는 정 | ||
+ | 약용 생가인 여유당(與猶堂)과 다산의 묘 그리고 다 | ||
+ | 산기념관이 있어 실학박물관을 가기 전에 천재 실 | ||
+ | 학자의 업적과 자취를 엿볼 수가 있다.<ref>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ref> | ||
+ | ==== 실학 ==== | ||
+ | 18세기를 전후하여 새롭게 나타난 범유학적 탈성리학 경향을 가진 사회개혁사상. | ||
+ | 오늘날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는 실학의 개념은 실학의 발생배경이나 학파에 대한 이해, 또는 실학과 성리학, 실학과 개화사상에 대한 관계 설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다. 현재 학계 구성원의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실학사상의 대체적 개념은, ’조선 후기 18세기를 전후하여 당시의 사회모순에 대한 반성의 결과로 새롭게 나타난 범유학적(汎儒學的) 탈성리학(脫性理學的) 경향을 가진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의 일종으로서, 민본(民本)과 위민(爲民)을 주창한 전근대적 사회개혁사상의 일종”으로 규정될 수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실학&ridx=0&tot=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실학</ref> | ||
+ | |||
=== 운영 단체 === | === 운영 단체 === | ||
+ | |||
+ | * Official website: http://silhak.ggcf.kr/ | ||
+ | * 관장: 김태희 | ||
+ | * [https://silhak.ggcf.kr/about-us/organization 실학박물관 운영조직] | ||
+ | |||
=== 기관 연혁 === | === 기관 연혁 === | ||
+ | [[파일:실학이미지.png|섬네일]] | ||
+ | 2009.10.23 | ||
+ | 박물관 개관식 및 개관특별전 - 김육과 대동법 | ||
+ | |||
+ | 2009.08.01 | ||
+ | 조직 구성 (2팀-학예팀, 행정지원팀) | ||
+ | |||
+ | 2009.07.31 | ||
+ | 전시공사 준공 | ||
+ | |||
+ | 2009.06.26 | ||
+ | 건축공사 준공 | ||
+ | |||
+ | 2009.05.18 | ||
+ | 실학박물관 운영 규정 시행 규칙 공표 | ||
+ | |||
+ | 2009.03.09 | ||
+ | 초대 “안병직” 관장 취임 | ||
+ | |||
+ | 2009.02.27 | ||
+ | 실학박물관 운영 규정 제정 공표 | ||
+ | |||
+ | 2008.10 | ||
+ | 개관준비위원회 구성 (위원장 포함 5명) | ||
+ | |||
+ | 2008.09.17 | ||
+ | 전시공사 착공 | ||
+ | |||
+ | 2008.09.01 | ||
+ | 개관준비팀 구성(팀장 포함 5명) | ||
+ | 2008.08.18 | ||
+ | 전시업체 계약 | ||
+ | |||
+ | 2008.02.15 | ||
+ | 제2차 전시콘텐츠자문위원회 개최 | ||
+ | |||
+ | 2007.12.10 | ||
+ | 전시기획 워크샵 진행 (‘07.12.10/12.18/‘08.2.15 총 3회) | ||
+ | |||
+ | 2007.11.30 | ||
+ | 전시콘텐츠자문위원회 구성 및 제1차 회의 개최 | ||
+ | |||
+ | 2006.03.17 | ||
+ |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
+ | 2008.01.11 | ||
+ | 건축공사 재개 | ||
+ | |||
+ | 2007.10.16 | ||
+ | 최종 설계변경 완료 | ||
+ | |||
+ | 2007.03.22 | ||
+ | 문화재현상변경 허가사항변경 (기존 층고유지를 위한 층간조정) | ||
+ | |||
+ | 2006.11.10 | ||
+ | 지하수 유출로 인한 공사 중지 | ||
+ | |||
+ | 2006.05.17 | ||
+ | 기공식 | ||
+ | |||
+ | 2006.03.17 | ||
+ |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 ||
+ | |||
+ | 2005.10.07 | ||
+ | 현상설계공모작 선정 | ||
+ | 2005.05 | ||
+ | 부지매입 완료 (부지매입비 - 19억 원) | ||
+ | |||
+ | 2004.06.15 | ||
+ | 부지선정 등 건립계획 확정 | ||
+ | |||
+ | 2004.05.11 | ||
+ | 남양주 현 위치로 부지선정 (제7차 실학현양추진위원회) | ||
+ | |||
+ | 2004.04.14 | ||
+ | 부지선정 용역 (‘04.02.14 ~ 04.14, 서울시립대 산업경영연구소) | ||
+ | |||
+ | 2003.03.14 | ||
+ | 실학현양추진위원회 구성 | ||
+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
+ | * 실학박물관 위치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515978" lon="127.300654 "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15978, 127.300654 [http://silhak.ggcf.kr/ 실학박물관] | ||
+ | </googlemap> | ||
+ | |||
+ | * 실학박물관 건물구성 | ||
+ | <gallery> | ||
+ | 파일:실건1.png|시공 정보 | ||
+ | 파일:실건2.png| | ||
+ | </gallery> | ||
+ | |||
+ | <gallery> | ||
+ | 파일:실건3.png| | ||
+ | 파일:실건4.png| | ||
+ | </gallery> | ||
+ | |||
+ | <gallery> | ||
+ | 파일:실건5.png| | ||
+ | 파일:실건7.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실건9.png| | ||
+ | 파일:실건10.png| | ||
+ | </gallery> | ||
+ | |||
+ | <gallery> | ||
+ | 파일:실건11.png| | ||
+ | </gallery> | ||
+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 | <big># 1. 상설전시</big> | ||
+ | 실학박물관의 전시는 크게 3개 테마로 | ||
+ |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은 실학이 형성된 배경과 | ||
+ | 탄생, 제2전시실은 경세치용학(經世致用學)3, 이용 | ||
+ | 후생학(利用厚生學)4과 실사구시학(實事求是學)5 등 | ||
+ | 에 대한 설명을 통해 실학의 전개와 발전양상, 제3 | ||
+ | 전시실은 서양의 자연과학지식의 전래로 발전한 조 | ||
+ | 선시대 천문학과 지리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 | 전시는 전반적으로 실학에 대한 개념설명과 실학의 | ||
+ | 전개과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전시된 | ||
+ | 유물은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의 『지봉유설 | ||
+ | (芝峯類說)』,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의 『반계 | ||
+ | 수록(磻溪隧錄)』, 정약용의 『경세유표(經世遺表)』, | ||
+ | 홍만선(洪萬選, 1643~1715)의 『산림경제(山林經 | ||
+ | 濟)』와 김정호(金正浩, ?~1864)의 <대동여지도(大 | ||
+ | 東輿地圖)> 목판본, 박규수(朴珪壽, 1807~1877)의 | ||
+ | 평혼의(平渾儀)평면의 원에 별자리를 표시하여 천문을 관측하는 기 | ||
+ | 구 등 그들이 창조하고 발견해 낸 발명품이 주를 이 | ||
+ | 루고 있었다. 그들의 연구결과가 기록된 전적류들 | ||
+ | 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어렵고 지루해서 관람객 | ||
+ | 들의 흥미를 끌기에 부족한 감이 있다. 이를 보완하 | ||
+ | 기 위해 실학의 형성배경과 천문지리 관련 영상자 | ||
+ | 료와 실학 디지털북, 어업과 해양에 대한 실학자들 | ||
+ | 의 관심을 테마로 한 <바다로부터 세계가 보인다> 3D 애니메이션, 해좌전도(海左全圖)6 입체지도 만 | ||
+ | 들기, 별자리 체험코너, 터치스크린 등의 설치를 통 | ||
+ | 해 전시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고 | ||
+ | 자 하였다. 덕분에 전시를 관람하는 어린이들 대부 | ||
+ | 분이 이러한 장치 요소 요소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 | ||
+ |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ef>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ref> | ||
+ | # 1.1 제1 전시실 | ||
+ | “조선후기 변화상과 서양 문물의 전래 등 실학의 형성배경을 역동적으로 구성” | ||
+ | * 제1전시실은 조선 후기 실학의 형성과 탄생을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개혁과 농·상·공업의 발전으로 변화된 조선사회의 모습과 중국·일본으로부터 수용된 서양문물 등에서 실학의 형성과정을 찾도록 했다. 또 실학의 탄생에서는 실학의 선구 역할을 한 여러 실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18세기 실학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실학의 출발로 평가되고 있는 반계 유형원의 ‘반계수록’을 중심으로 초기 실학자들의 사회·경제 문제에 대한 개혁론을 조명하고자 했다. | ||
+ | # 1.2 제2 전시실 | ||
+ | 실학의 전개-“초·중등 교과서와 연계한 전시 구성” | ||
+ | * 제2전시실은 성호 이익에서 출발하는 실학을 중농학파, 중상학파, 실사구시파로 나누고 각 학파에 속하는 실학자들의 저술과 함께 초·중등학교 교과서 전 과목에서 실학 관련 내용을 추출·정리했다. 또 이를 회화·그림·애니메이션·영상 등 보조자료를 적극 활용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실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실학시대의 자아 발견을 전시·소개하는 ‘조선학’에서는 이를 역사·지리·언어생활·백과사전으로 세분해 소개하였다. | ||
+ | # 1.3 제3 전시실 | ||
+ | 실학과 과학- “실용적이고 근대적인 실학시대의 과학문화 전시” | ||
+ | * 제3전시실은 실학의 특징 중에서도 과학이라는 주제를 부각시켰다. 서양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실학자들이 당시 천문학과 지구의 자전 문제, 구형의 지구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하고 있었는지 각종 천문도와 천문관측기구, 마테오리치의 곤여만국전도, 정상기·김정호의 동국지도와 대동여지도로를 통해 볼 수 있도록 꾸몄다. | ||
+ | <big># 2. 특별전시</big> | ||
+ | 2017.12.01. | ||
+ | 실학박물관 재개관 | ||
+ | |||
+ | 2017.11.14. | ||
+ | 《창작판소리》 실학을 노래하는 문화 보부상 | ||
+ | |||
+ | 2017.11.04. | ||
+ | 다산 정약용을 기리는 하피첩의 귀향 | ||
+ | |||
+ | 2017.11.02.~ | ||
+ | 03. | ||
+ | 다산의 얼을 찾아서 떠난 남도 일 번지 강진 | ||
+ | |||
+ | 2017.10.31. | ||
+ | 2017 실학박물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실학벽화소풍’ 개막식 진행 | ||
+ | |||
+ | 2017.10.23. | ||
+ | 실학박물관 8주년 기념행사 고유제 | ||
+ | |||
+ | 2017.10.13.~ | ||
+ | 14. | ||
+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실학” 국제학술대회 개최 | ||
+ | |||
+ | 2017.10.11. | ||
+ | 실학박물관 경기도 양평 교육지원청 업무협약 체결 | ||
+ | |||
+ | 2017.09.25 | ||
+ | 홍대용 2017, 경계없는 사유, 특별전 개최 | ||
+ | |||
+ | 2017.09.16. | ||
+ | 다산의 마음, 나무에 새기다. -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0호 이규남 서각장과 함께하는 문화 콘서트 - | ||
+ | |||
+ | 2017.09.07. | ||
+ | 다문화 여성을 위한 ‘실학생태소풍’ 프로그램 진행 | ||
+ | |||
+ | 2017.09.01. | ||
+ | 실학스타일 어워드 제안공모 운영 . 내가 만드는 실학박물관! 건의사항(민원)을 냈더니 선물을 준다 | ||
+ | |||
+ | 2017.08.23. | ||
+ | 박물관 직원, 자원봉사자 CS 교육 실시 | ||
+ | |||
+ | 2017.08.22. | ||
+ |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실학벽화소풍” 진행 | ||
+ | |||
+ | 2017.08.15. | ||
+ | 역사 작은 도서관과 함께하는 실학도서관 소풍, 부모와 함께 떠나는 실학도서관 소풍 | ||
+ | |||
+ | 2017.07.26 | ||
+ | ∼28 | ||
+ | 실학박물관 역사문화 교원연수 프로그램 진행 | ||
+ | |||
+ | 2017.07.25. | ||
+ | ∼10.14 | ||
+ | 2017실학캠프 마재마을+★☆이야기, 1박2일 실학켐프 | ||
+ | |||
+ | 2017.07.22. | ||
+ | 실학박물관 여름방학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 海 자산어보’ | ||
+ | |||
+ | 2017.07.20. | ||
+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업무협약 체결 | ||
+ | |||
+ | 2017.06.17. | ||
+ | 실학가족소풍 ‘다산종부와 함께하는 우리 엄마는 실학자’ | ||
+ | |||
+ | 2017.06.09. | ||
+ | 시각장애우와 함께하는 실학도서관 소풍, 실학여성공방 ‘여성, 나와 통하다. | ||
+ | |||
+ | 2017.05.03 | ||
+ | ∼06 | ||
+ | 오! 색다른 만족을 느꼈던 어린이날 행사, 실학소풍!, 실학, 예술소풍, 꿈을 그리다. | ||
+ | |||
+ | 2017.04.22. | ||
+ | 실학박물관 서포터즈 1기 봄소풍“실학박물관에 봄이 왔는가 봄! | ||
+ | |||
+ | 2017.04.17. | ||
+ | 여성, 실학과 통하다. 특별기획전 개막 | ||
+ | |||
+ | 2017.04.07. | ||
+ | 다산 정약용 선생 서세 181주기 묘제 및 헌다례 | ||
+ | |||
+ | 2017.04.03. | ||
+ | 놀자! 실학박물관-목민심서 책갈피 만들기, 바람개비 만들기, 제기 만들어 차보기, 종이접기 | ||
+ | |||
+ | 2017.03.29. | ||
+ | 실학박물관 서포터즈 모집 | ||
+ | |||
+ | 2017.03.21. | ||
+ | 2017 학교연계프로그램 실학연극소풍“새로움을 만나다” 시작했어요∼! | ||
+ | |||
+ | 2017.03.17. | ||
+ | 경기문화재단 . 은평구청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 ||
+ | |||
+ | 2017.02.23. | ||
+ | 창작 판소리 ‘다산 정약용’ | ||
+ | |||
+ | 2017.02.09. | ||
+ | 실학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 위촉장 수여식 | ||
+ | |||
+ | 2017.02.04. | ||
+ | 새봄을 맞아 입춘첩을 나누어요. | ||
+ | |||
+ | 2017.01.18. | ||
+ | 도농도서관 연계 독서교육 프로그램 “별☆난 실학자의 별☆헤는 밤” | ||
+ | |||
+ | 2017.01.16. | ||
+ | 경기문화재단 신입직원 실학박물관과 실학생태공원 관람 | ||
+ | |||
+ | 2017.01.14. | ||
+ | 2017년 새해맞이 손 글씨 달력 행사 | ||
+ | |||
+ | 2016.12.23. | ||
+ | 다산이 들려주는 따뜻한 겨울 | ||
+ | |||
+ | 2016.12.20. | ||
+ | 2017년 실학헤밀리와 연계사업 협의 | ||
+ | |||
+ | 2016.12.17. | ||
+ | 조선후기 여성실학자 및 2017년 상반기 전시관련 실학학술집담회 개최 | ||
+ | |||
+ | 2016.12.16. | ||
+ | 정약용을 기리는 다산 스토리텔링 콘서트 | ||
+ | |||
+ | 2016.12.15. | ||
+ | 실학문화해설 자원봉사자 간담회 개최 | ||
+ | |||
+ | 2016.12.12.∼ | ||
+ | 함께 만들어요! 우리가족 하피첩 | ||
+ | |||
+ | 2016.12.09. | ||
+ |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의 MOU 체결 | ||
+ | |||
+ | 2016.12.02. | ||
+ | 경기실학과 한강문화 콘텐츠 결과 보고회 | ||
+ | |||
+ | 2016.11.22. | ||
+ | ∼12.04 | ||
+ | 2016년 한강 문화벨트 네트워킹-작은전시 Ⅱ“가을향기”전 | ||
+ | |||
+ | 2016.11.22. | ||
+ | ∼12.02 | ||
+ | 마음에 쏙, 머리에 쏙, 하피첩, 열아홉의 끝에서 정약용을 만나다. | ||
+ | |||
+ | 2016.11.16 | ||
+ |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염종현 위원장 외 5명 방문 | ||
+ | |||
+ | 2016.10.23. | ||
+ | 소소한 난장 한마당 -실학박물관 개관 7주년 기념 행사 | ||
+ | |||
+ | 2016.10.18. | ||
+ | 다산 공·렴 아카데미-'남양주 시장 청렴을 서약하다' | ||
+ | |||
+ | 2016.10.17. | ||
+ | 2016년 하반기 특별전 - “하피첩의 귀향” - 노을빛 치마에 새긴 다산 정약용의 가족 사랑 | ||
+ | |||
+ | 2016.10.13. | ||
+ | 실학문화마을 만들기 . ‘고구마 체험’ 행사 | ||
+ | |||
+ | 2016.10.12. | ||
+ | 실학박물관 지진대피훈련 | ||
+ | |||
+ | 2016.09.14.~ | ||
+ | 18. | ||
+ | 달님! 소원을 들어주세요!! | ||
+ | |||
+ | 2016.09.02.~ | ||
+ | 04. | ||
+ | 다산문화제 “조선시대로의 여행” | ||
+ | |||
+ | 2016.08.31. | ||
+ | - 우리 생활 속의 화성 - “정약용과 화성” | ||
+ | |||
+ | 2016.08.13. | ||
+ | 우리가족 찾기 프로젝터 – 모래로 꿈꾸는 세상 | ||
+ | |||
+ | 2016.08.11. | ||
+ | 정기준 서울대명예교수·정성희 실학박물관 학예사『유금의 아스트콜라보 연구』 공동 연구발표 | ||
+ | |||
+ | 2016.08.07. | ||
+ | 실학한마당-핀버튼·제기 만들기, 나만의 부채 만들기, 마재마을에서 보내는 엽서 | ||
+ | |||
+ | 2016.08.06. | ||
+ | 역사와 함께하는 문화공간, 마재마을, 오후의 풍류 | ||
+ | |||
+ | 2016.08.03. | ||
+ | 조선시대로의 시간여행, 시끌벅적한 장터 속으로! 새우젓 사려~!! | ||
+ | |||
+ | 2016.07.26.~ | ||
+ | 29. | ||
+ | 신(新) 암행어사 출두요! | ||
+ | |||
+ | 2016.06.15. | ||
+ | 2016년 폭력 예방 통합교육 실시 | ||
+ | |||
+ | 2016.05.31. | ||
+ | “경기 청백리” 특별전 개최 | ||
+ | |||
+ | 2016.05.28.~ | ||
+ | 29. | ||
+ | 심쿵! 실학 별☆스테이 | ||
+ | |||
+ | 2016.05.23. | ||
+ | “함께 만드는 추억”- 실학박물관 직원 CS 교육 | ||
+ | |||
+ | 2016.05.11. | ||
+ | 실학박물관 상반기 소방춘련 실시 | ||
+ | |||
+ | 2016.05.07. | ||
+ | 얼씨구! 좋구나! 전례놀이 한마당, 우리가족 행복찾기 프로젝트 – 매화병제도 만들기! | ||
+ | |||
+ | 2016.05.05.~ | ||
+ | 07. | ||
+ | 어린이날, Go Go 실학박물관!!!!! | ||
+ | |||
+ | 2016.05.05.~ | ||
+ | 06. | ||
+ | 다산선생과 함께하는 다도, 만들GO, 먹GO, 즐기GO, ‘마재마을’에서 보내는 편지 | ||
+ | |||
+ | 2016.04.07. | ||
+ | “다산 정약용에게 배우는 오늘의 지혜” ~ 다산 정약용 선생 서세 180주기 묘제 및 헌다례 봉행 | ||
+ | |||
+ | 2016.04.01. | ||
+ | 실학박물관장 장덕호 취임 | ||
+ | |||
+ | 2016.03.30. | ||
+ | 서세 180주년 다산 정약용선생 추모제향 | ||
+ | |||
+ | 2016.03.08. | ||
+ | 엄마.아빠! 공부는 왜 하나요?, 실학자가 알려주는 특급 공부비법 – 실학자의 관찰노트 | ||
+ | |||
+ | 2016.02.07.~ | ||
+ | 10. | ||
+ | “우리 우리 설말은 오늘 이래요~” 민속놀이 체험 | ||
+ | |||
+ | 2016.01.29. | ||
+ | 김시업 관장님 송별회 | ||
+ | |||
+ | 2016.01.26. | ||
+ | 한국남동발전 분당발전 본부 20여명 ‘다산 공·령 아카데미’실시 | ||
+ | |||
+ | 2016.01.21. | ||
+ | 실학박물관 문화해설사 교육 | ||
+ | |||
+ | 2016.01.20. | ||
+ | 2016년 실학훼밀리 정기총회 | ||
+ | |||
+ | 2016.01.17. | ||
+ | 남양주소방서 서장 및 간부급 소방관 방문 | ||
+ | |||
+ | 2016.01.11. | ||
+ | 경기문화재단 신입직원 현장체험 실학박물관을 익히다. | ||
+ | |||
+ | 2015.12.15 ~ 2016.04.03 | ||
+ | 하반기 특별전 – “실학, 별의별 공부에 빠지다” | ||
+ | |||
+ | 2015.11.27 ~ 11.28 | ||
+ | 국제학술대회 - “동아시아 실학” | ||
+ | |||
+ | 2015.10.01 | ||
+ | 학술회의 – “사람과 땅, <택리지>가 그리는 인문지리” | ||
+ | |||
+ | 2015.09.16 | ||
+ | 슬로시티 조안면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 | ||
+ | |||
+ | 2015.08.28 | ||
+ | 심포지움 - “손암 정약전과 현산어보” | ||
+ | |||
+ | 2015.05.29 ~ 09.30 | ||
+ | 심포지움 - “소남 윤동규와 인천 도림동” | ||
+ | |||
+ | 2015.04.02 | ||
+ | 한국남동발전(주)분당복합발전본부 청렴문화 활성화 협약 | ||
+ | |||
+ | 2014.12.17 | ||
+ | 실학문화 콘텐츠 서비스제공 및 홍보 협약 | ||
+ | |||
+ | 2014.11.25 | ||
+ | 심포지움 - “소남 윤동규와 인천 실학문화” | ||
+ | |||
+ | 2014.11.21 ~ 2018.02.28 | ||
+ | 하반기 특별전 – “달력, 시간의 자취” | ||
+ | |||
+ | 2014.09.18 | ||
+ | 남양주문화시설 공동홍보를 위한 협약 | ||
+ | |||
+ | 2014.07.17 | ||
+ | 학술회의 - “다산학단과 방산 윤정기” | ||
+ | |||
+ | 2014.06.24 ~ 10.23 | ||
+ | 상반기 특별전 – “유배지의 제자들, 다산학단” | ||
+ | |||
+ | 2014.05.22 | ||
+ |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청렴문화 활성화 협약 | ||
+ | |||
+ | 2014.05.13 | ||
+ | 선비, 그 시대 성찰과 역할 학술회의 | ||
+ | |||
+ | 2014.05.11 | ||
+ | 다산 특별전 업무 협약 | ||
+ | |||
+ | 2013.10.15 ~ 2014.03.30 | ||
+ | 안산시 성호기념관 순회전시, 성호 이익 서세 250주년 기념 “새로 보는 하늘 땅, 세계 – 성호 이익의 실학” | ||
+ | |||
+ | 2013.10.10 | ||
+ | 실학박물관·파주시 공동 - <율곡학과 경기실학> 학술대회 | ||
+ | |||
+ | 2013.08.20 | ||
+ | 실학박물관 · 추사박물관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서 체결 | ||
+ | |||
+ | 2013.07.05 | ||
+ | 실학문화심포지움 개최 - “대동법 시행으로 조선을 살린, 잠곡 김육과 가평” | ||
+ | |||
+ | 2013.06.28 | ||
+ | 성호 이익 서세 250년 기념 학술회의 - “성호학의 전개와 가학(家學)” | ||
+ | |||
+ | 2013.04.26 ~ 2013.09.22 | ||
+ | 성호 이익 서세 250주년 기념 특별전 “새로 보는 하늘 땅, 세계 – 성호 이익의 실학” | ||
+ | |||
+ | 2012.12.28 | ||
+ | 실학박물관 · 남양주시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서 체결 | ||
+ | |||
+ | 2012.11.03 ~ 2013.03.17 | ||
+ | 하반기 특별전 - “순암 안정복, 우리역사이야기 <동사강목>” | ||
+ | |||
+ | 2012.11.02 ~ 2012.11.03 | ||
+ | 순암 탄신 3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 ||
+ | |||
+ | 2012.10.08 | ||
+ |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학술회의 – “퇴계학과 근기실학, 그 계승과 극복의 전망” | ||
+ | |||
+ | 2012.08.12 | ||
+ | 2012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 선정기념 학술대회 - “다산 사상과 서학(西學)” | ||
+ | |||
+ | 2012.08.04 ~ 2012.08.05 | ||
+ |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행사 - “2세기만에 펼쳐지는 다산의 향연” | ||
+ | |||
+ | 2012.07.11 | ||
+ | 경기경찰청 제2청과 교육 및 학술 교류를 위한 MOU 체결 | ||
+ | |||
+ | 2012.06.09 | ||
+ |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학술대회 – 다산 연구의 새로운 모색 | ||
+ | |||
+ | 2012.04.27 ~ 2012.10.03 | ||
+ |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 - “다산, 한강의 삶과 꿈” | ||
+ | |||
+ | 2012.03.30 | ||
+ | 실학훼밀리 창립총회 | ||
+ | |||
+ | 2012.03.27 | ||
+ | <곤여만국전도> 복원 병풍 봉선사 기증식 | ||
+ | |||
+ | 2011.10.28 | ||
+ | 하반기 특별전 기념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와 조선후기의 세계관” 학술회의 개최 | ||
+ | |||
+ | 2011.09.30 | ||
+ | 하반기 특별전 - “곤여만국전도, 세계와 우주를 그리다” | ||
+ | |||
+ | 2011.07.01 | ||
+ | 상반기 특별전 기념 “조선후기 유서(類書) 저술과 <성호사설> 학술회의 개최 | ||
+ | |||
+ | 2011.06.15 | ||
+ | 다산정원 준공 허가 | ||
+ | |||
+ | 2011.05.13 ~ 2011.09.13 | ||
+ | 상반기 특별전 - “성호 이익의 세상만물 새로보기” | ||
+ | |||
+ | 2010.10.30 | ||
+ | 하반기 특별전 기념 학술회의 - 연행의 문화사 | ||
+ | |||
+ | 2010.10.30 ~ 2011.02.28 | ||
+ | 하반기 특별전 - 연행, 세계로 향하는 길 | ||
+ | |||
+ | 2010.09.04 | ||
+ | 상반기 특별전 기념강연 - 다산 실학사상의 철학적 기반 (송재소) | ||
+ | |||
+ | 2010.07.01 | ||
+ | 야간개장 개시 (21시까지 개장) | ||
+ | |||
+ | 2010.06.19 | ||
+ | 상반기 특별전 기념 학술회의 - 조선의 목민학 전통과 목민심서 | ||
+ | |||
+ | 2010.06.12 | ||
+ | 상반기 특별전 기념강연 - [경세유표]와 개혁사상(김태영) | ||
+ | |||
+ | 2010.06.12 ~ 2010.10.03 | ||
+ | 상반기 특별전 -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 ||
+ | |||
+ | 2010.03.04 | ||
+ | 교육프로그램 개시 (어린이, 가족, 청소년, 성인, 교원, 공무원프로그램) | ||
+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 | # 1. 유물구입 | ||
+ | 2008.12.18 | ||
+ | 2008년 구입 유물 (252점) | ||
+ | |||
+ | 2008.08.19, 2008.05.21, 2007.06.11 | ||
+ | 포저 조익 가문소장 위탁 (240점) | ||
+ | |||
+ | 2008.06.30 | ||
+ | 일본 대표실학자 미우라 바이엔 <현어도> 최초 복원 (1점) | ||
+ | |||
+ | 2007.10.24 | ||
+ | 잠곡 김육 가문소장 기증 (14점) | ||
+ | |||
+ | 2007.06.29 | ||
+ | 일본 국립구주대박물관 소장유물 시볼트 석판화 복제 (4점) | ||
+ | |||
+ | 2007.02.07 | ||
+ | 동경대 오가와 하루히사 명예교수 소장 (9점) | ||
+ | |||
+ | 2006.12.22 | ||
+ | 일본 난학 및 실학 관련 유물 구입 (46점) | ||
+ | |||
+ | 2006.05.17 | ||
+ | 연암 박지원 및 환재 박규수 가문소장 기증 (78점) | ||
+ | |||
+ | 2005.09.03 | ||
+ | 혜강 최한기 가문소장 기증 (195점) | ||
+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 | <gallery> | ||
+ | 파일:전시계획.png| | ||
+ | </gallery> | ||
+ | * 미션: 실학정신 보급으로 도민의 문화욕구 충족에 기여 | ||
+ | |||
+ | * 비전:경기실학문화 체험을 통한 실학정신의 생활화 | ||
+ | |||
+ | * 핵심가치: WITH | ||
+ | # 실학문화의 체험으로 21세기 자아의 세계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열린 박물관 지향 | ||
+ | Workforce (전문성), Integrity (청렴), Together (고객지향), Harmony (일체감) | ||
+ | |||
+ | * 전 략 | ||
+ | # 전략목표 1. 실학전문박물관으로 특성화 | ||
+ | * 과제1. 실학담론의 형성 및 한국실학문화 선도 | ||
+ | * 과제2. 콘텐츠 개발과 실학문화의 자원화 | ||
+ | * 과제3. 청렴 연수 대표기관으로 위상 제고 | ||
+ | |||
+ | # 전략목표 2. 실학의 대중화 | ||
+ | * 과제1. 기획전 개최를 통한 관람객 확보 | ||
+ | * 2. Eco-뮤지엄 활성화 | ||
+ | * 과제3. 지역문화 인프라 구축과 활성화 | ||
+ | |||
+ | # 전략목표 3. 경기 동북부 생활문화의 허브 | ||
+ | * 과제1. 실학관련 자료의 허브 | ||
+ | * 과제2. 경기도민의 문화사랑방 | ||
+ | * 과제3. 서비스 개선과 홍보활성화 | ||
+ | |||
+ | * 실행과제 | ||
+ | 전시운영, | ||
+ | 기획전시 개최, | ||
+ | 상설전시실 운영 및 개선, | ||
+ | 교육/체험, | ||
+ | 청렴연수-다산공렴아카데미, | ||
+ | 맞춤형 상설 교육프로그램, | ||
+ | 1박2일 실학캠프, | ||
+ | 문화계 종사자 실학기행 | ||
+ | |||
+ | # 1.학술 | ||
+ | 원천 소스 개발과 교양총서 간행 | ||
+ | 실학문화심포지움 개최 | ||
+ | |||
+ | # 2. 소장품 관리 | ||
+ | 소장품 관리 및 DB구축 | ||
+ | |||
+ | # 3. 관람객 서비스 | ||
+ | 박물관 종합 홍보 | ||
+ | 문화해설 자원봉사자 운영 | ||
+ | 실학도서관 운영 | ||
+ | |||
+ | # 4. 특별사업 | ||
+ | 한강문화밸트 프로젝트 | ||
+ | 실학교육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 ||
+ | 실학문화마을 만들기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 ==== 여성 ==== | ||
+ | 인간을 성(性)에 따라 나눌 때 남성에 대응하는 여자를 이르는 사회학용어.여자.<ref>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여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7%AC%EC%84%B1&ridx=0&tot=512</ref> | ||
=== 운영 단체 === | === 운영 단체 === | ||
+ | * Official website: http://eherstory.mogef.go.kr/ | ||
+ | * 관장: 정영훈 | ||
+ | <gallery> | ||
+ | 파일:조직도.png| | ||
+ | </gallery> | ||
=== 기관 연혁 === | === 기관 연혁 === | ||
+ | 2002 | ||
+ | 05전시내용 및 기본 설계 용역 | ||
+ | 08실시설계 용역 | ||
+ | 12여성발전기본법 제34조에 따라 여성사전시관 개관 | ||
+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635754" lon="126.834219"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635754, 126.834219 [https://www.google.com/maps/place/The+National+Women's+History+Exhibition+Hall/@37.6357323,126.834077,21z/data=!4m5!3m4!1s0x357c9a66275af10d:0x8de0aa1f7bf428eb!8m2!3d37.6357485!4d126.8342265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googlemap> |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건물 구성 | ||
+ | <gallery> | ||
+ | 파일:전시관1.png| | ||
+ | 파일:전시관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전시관3.png| | ||
+ | </gallery>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 | 2019 | ||
+ | 022019년 특별기획전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개막 | ||
+ |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기념 제 7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 ||
+ |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연계 그림공모전 개최 | ||
+ |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업무협약(MOU) 체결 | ||
+ | 032019년 특별기획전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개막 | ||
+ | ‘연합뉴스’와 업무협약(MOU) 체결 | ||
+ | 2019년 서울전 <여성독립운동가 공감∙기억 그리고 미래> 개막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1차 ‘대한독립여자선언서와 여성들’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1호) 발행 | ||
+ | 04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2차 ‘의병장 윤희순과 안사람의병가’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3차 ‘만주지역의 여성독립운동가:허은,이은숙,김성녀’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4차 ‘열혈지사 남자현의 삶과 투쟁’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5차 ‘미주지역의 여성독립운동’ | ||
+ | 4월 문화가 있는 날 : 작은 음악회 ‘서울대학교 중창단’ | ||
+ | 05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고양어린이박물관 잔디마당 | ||
+ | 순회전시 <세계여성박물관> 정부지방고양합동청사 | ||
+ | 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 | ||
+ | 고양시건강가정지원센터 ‘모두가족어울림한마당’ 참가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6차 ‘사회주의자 이동휘와 이인순∙이의순’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7차 ‘중국에서 활동한 여성독립운동가’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8차 ‘계몽을 위한 고투 : 차미리사와 최용신’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9차 ‘여자광복군과 대한독립전쟁’ | ||
+ |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10차 ‘박물관에서 여성독립운동가의 재현과 과제’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상반기 자원봉사자 정기답사 : 인천 강화도 | ||
+ | 5월 문화가 있는 날 : 안혜경 콘서트 | ||
+ | 06순회전시 <여권통문> 도봉구청 로비갤러리 | ||
+ | 순회전시 <여성, 3.1만세운동의 전면에 나서다> 고양시 여성커뮤니티센터 | ||
+ | 순회전시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김포시아트홀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개강 및 1강 : 의병장 윤희순과 「일생록」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2강 : 여성독립운동가 최선화와 「제시의 일기」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3강 : 「대한독립여자선언서」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4강 : 여성독립운동가 이은숙과 「서간도시종기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2호) 발행 | ||
+ | 6월 문화가 있는 날 : 토크콘서트 ‘뤽상부르의 여인들’ | ||
+ | 07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수원시가족여성회관 갤러리 | ||
+ | 순회전시 <여권통문> 전라북도 고창군 동리국악당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5강 : 여성독립운동가 허은·김성녀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증언」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6강 : 여성독립운동가 정정화와 「장강일기」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7강 : 「근우회 춘천지부 명단」 | ||
+ |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8강 및 수료식 : 여성독립운동가 지복영과 「민들레의 비상」 | ||
+ | 7월 문화가 있는 날 : 서클댄스 ‘평화의 춤, 여성의 춤’ | ||
+ | 2019년 국립여성사전시관 제6기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 ||
+ | 08한국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여권통문’ 기념 표석 제막식 (2019.09.30) | ||
+ | 제19회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WIN) 주제전시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충청북도 청주시 그랜드플라자호텔 | ||
+ | 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정부지방합동고양청사 | ||
+ | 순회전시 <한국 근대여성운동의 역사적 기원지를 찾아서> 신한은행백년관 | ||
+ | 순회전시 <여권통문> 북촌문화센터 | ||
+ | 09특별기획전 <여성, 세상으로 나가다:여성 직업 변천사 100년> | ||
+ | 9월 문화가 있는 날 : 전시커뮤니케이션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3호) 발행 | ||
+ | 1010월 문화가 있는 날 : 정오의 콘서트 ‘시대를 빛낸 여성들, 사랑에 빠지다’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하반기 자원봉사자 정기답사 : 인천 개항장 일대 | ||
+ | 1111월 문화가 있는 날 : 이이남 작가와 함께하는 미디어아트 | ||
+ | |||
+ | |||
+ | 2018 | ||
+ | 02평창 특별순회전 <여성체육, 평화의 새 지평을 열다> 개막 | ||
+ | 033월 문화가 있는 날 : 약속큐브 만들기 | ||
+ | 2018년 상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 ||
+ |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1호) 발행 | ||
+ | 4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팝업카드 만들기 | ||
+ | 4월 문화가 있는 날 : 이혜경 특별강연 ‘여성문화예술!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 | ||
+ | 05세계박물관의 날 기념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개막 | ||
+ | 고양 순회전시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 ||
+ | 5월 가정의 달 행사 : 모두가족어울림 한마당 ‘우리 옷 만들기’ | ||
+ | 5월 문화가 있는 날 : 황길남 특별강연 ‘여성장인의 삶과 일’ | ||
+ | 066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금관 만들기 | ||
+ | 고양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 ||
+ | 양성평등주간 순회전시(의정부) <경계를 넘어선 여성들> | ||
+ | 07양성평등주간 순회전시(도봉구)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 ||
+ | 제 6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1강 ‘음식디미방-조선시대 여성의 요리책’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2호) 발행 | ||
+ | 7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금관 만들기 | ||
+ | 고양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2강 ‘규합총서-19세기 조선 여성이 구축한 지식세계와 살림’ | ||
+ | ‘신(新)여권통문’ 문구 공모전 개최 | ||
+ | 08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3강 ‘분재기-조선시대 여성의 소유권’ | ||
+ | 2018년 특별기획전 <오늘, 여권통문을 다시 펼치다> 연계 심포지엄 개최 | ||
+ | 2018년 특별기획전 <오늘, 여권통문을 다시 펼치다> 개막 | ||
+ | 09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4강 ‘박가분-여성의 화장문화’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5강 ‘여권통문-1898년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 ||
+ | 10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3호) 발행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6강 ‘딱지본과 제국신문-근대여성과 인쇄매체’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7강 ‘잡지<별건곤>-근대 여성의 꿈과 애환을 엿보다’ | ||
+ | 2018년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 ||
+ |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8강 ‘최승희 유물-20세기를 빛낸 무용가, 최승희의 삶과 예술’ | ||
+ | 10월 문화가 있는 날 : 유물이름 낱말퍼즐 완성하기, 신라 금관 만들기 | ||
+ | 11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제9강 ’영화<미망인>-한국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작품’ | ||
+ | 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제10강 ’여성컬렉션 경매-경매히스토리로 본 여성유물과컬렉션 이야기’ | ||
+ | 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수료식 | ||
+ | 11월 문화가 있는 날 : 유물이름 낱말퍼즐 완성하기, 신라금관 만들기 | ||
+ | |||
+ | 12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4호) 발행 | ||
+ | |||
+ | |||
+ | 2017 | ||
+ | 022월 문화가 있는 날: ‘여성과 가족 그리고 문화가 있는 날’ | ||
+ | 032017년 상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 ||
+ | 고양시내 박물관 관련 12개 기관 MOU 체결 | ||
+ | 전시관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 ||
+ | 3월 문화가 있는 날: ‘박태성과 호랑이’ 동극 감상과 실내놀이 체험 | ||
+ |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1호) 발행 | ||
+ | 4월 문화가 있는 날: 당당하고 안전한 부모 성인지 교육 | ||
+ | 05기증전 <어머니의 유산> | ||
+ | 5월 문화가 있는 날: 손바느질 태교체험 | ||
+ | 066월 문화가 있는 날: 손바느질 태교체험 | ||
+ | 07일본군‘위안부’ 서울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 ||
+ | 일본군‘위안부’ 전주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2호) 발행 | ||
+ | 7월 문화가 있는 날: ‘혼자하는 엄마노릇’에서 함께 하는 ‘사회적 모성’ | ||
+ | 08일본군‘위안부’ 대전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 ||
+ | 일본군‘위안부’ 대구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 ||
+ | 09제5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 ||
+ | 9월 문화가 있는 날: 매일유업 ’맘스쿨‘과 함께 하는 문화가 있는 날 | ||
+ | 10특별기획전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개막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3호) 발행 | ||
+ | 10월 문화가 있는 날: 장희빈 다시보기 | ||
+ | 11국립여성사전시관 박물관포럼 라운드테이블 개최 | ||
+ | 제5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시상식 및 전시연계 강연회 개최 | ||
+ | 11월 문화가 있는 날: 매일유업 ’맘스쿨‘과 함께 하는 문화가 있는 날 | ||
+ | 122017년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4호) 발행 | ||
+ | |||
+ | |||
+ | 2016 | ||
+ | 02문화가 있는 날 : 전시관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 ||
+ |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6.1호)발행 | ||
+ | 2016년 국립여성사전시관 대학생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SNS이모티콘 공모전 | ||
+ | 조화벽, 유우석 유물 기증식 개최 | ||
+ | 4월 문화가 있는 날 : 여성사전시관이 추천하는 미니도서전 | ||
+ | 066월 문화가 있는 날 : 전시관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 ||
+ | 07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6.2호)발행 | ||
+ | 082016 국립여성사전시관 기증전 "가죽가방의 주인, 여성독립운동가 조화벽 지사" | ||
+ | 2016 국립여성사전시관 특별기획전 "가족과 함께한 출산과 양육의 역사" | ||
+ | 09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뇌과학이 밝혀낸 태교이야기" (9.20) | ||
+ | 9월 문화가 있는 날 :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 ||
+ | 10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사랑의 임신 출산" (10.10) | ||
+ | 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진정한 자녀사랑" (10.18) | ||
+ | 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한국역사를 통해 본 태교와 출산의 의미" (10.27) | ||
+ | 11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한국역사를 통해 본 태교와 출산의 의미" (11.1) | ||
+ | |||
+ | |||
+ | 2015 | ||
+ | 01제2기 대학생 홍보 서포터즈 발대식 | ||
+ | 02지역학교 대상 자유학기제 연계프로그램 설명회 | ||
+ | 제9회 한미여성리더십세미나 ‘역사 속 여성찾기, 여성 속 역사찾기’ | ||
+ | 033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 여성독립운동가 사진전 | ||
+ | 제4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 ||
+ | 04인문학콘서트 : 우국지정 찔레꽃 : 논개와 계월향 | ||
+ | 05인문학콘서트 : 일편단심 민들레 : 여성들의 독립운동 | ||
+ | |||
+ | 077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 방학맞이 가족 애니메이션 상영 | ||
+ | 제3기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 ||
+ | 082015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독립을 향한 여성영웅들의 행진 | ||
+ | 09인문학콘서트 : 고향에 돌아온 환향녀, 화냥년이 되기까지 | ||
+ | 10인문학콘서트 : 멈춰버린 시간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
+ | 1212월 문화가 있는 날 : 국립여성사전시관 2015 특별기획전 되돌아보기 | ||
+ | |||
+ | |||
+ | 2014 | ||
+ | 04제3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 ||
+ | 07여성주간 기념 특별기획전 | ||
+ | 08제1기 국립여성사전시관 공식 서포터즈 발대식 | ||
+ | 09이전 개관식 | ||
+ | · 이전 개관 특별전 '북촌에서 온 편지, 여권통문' 개막 | ||
+ | · 상설전 '과거를 담아 미래를 열다' | ||
+ | 09인문학콘서트 : 일편단심 민들레 : 여성들의 독립운동 | ||
+ | ·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 ||
+ | · 고려시대 국제무역과 여성의 경제활동 | ||
+ | 10‘색복 장려 깃발’ 등록문화재 제 615번 지정 | ||
+ | 여성사인문학콘서트: 유학의 가치를 실현한 조선의 여성 | ||
+ | 11여성사인문학콘서트: 고향을 찾은 여성운동 선구자 차미리사 | ||
+ | |||
+ | |||
+ | 2013 | ||
+ | 03여성사인문학콘서트 | ||
+ | 여성독립운동가 사진전<그날의 기억> | ||
+ | 04제 2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 ||
+ | 05상설전 '엄마의방', 기증유물실 신설 | ||
+ | 여성사인문학 5월 콘서트 - 이땅에 여성으로 산다는 것 | ||
+ | 07여성사인문학 7월 콘서트 - 웅녀의 사랑 | ||
+ | 07여성주간 기념 특별기획전 <여성의 사회참여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이끌다> | ||
+ | · 1부:엄마의 소녀시대–잡지<여학생> | ||
+ | · 2부:내일을 향해–여성직업의 변천사 | ||
+ | · 3부:꿈을 이룬 여성-지역을 빛낸 역사 속 여성인재 | ||
+ | 09여성인문학 9월콘서트 - 그리스로마신화 : 여신들의 인문학 이야기 | ||
+ | 11특별기획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억을 넘어 평화를 품다> | ||
+ | 12여성발전기본법 제34조 삭제 | ||
+ | 여성발전기본법 제32조의2(여성사박물관의 설립·운영) 신설 | ||
+ | |||
+ | |||
+ | 2012 | ||
+ | 03소장유물전 <모던걸의 자존심, 가방> | ||
+ | 04제1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 ||
+ | 06여성사연표 제작·설치 | ||
+ | 07개관1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여성사전시관 새로운 10년을 열다’개최 | ||
+ | 개관1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세상의 중심에서 여성이 말하다> | ||
+ | 12기증유물전 <추억과 기억> | ||
+ | |||
+ | |||
+ | 2011 | ||
+ | 02상설전시관 재정비 | ||
+ | 04소장유물전 '직업부인 블루스 : 1920~30년대의 슈퍼우면 이야기' | ||
+ | 중고교 학교연계 창의적 체험학습활동 '옛날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
+ | 05여성사강좌'여성,직업부인이 되다' | ||
+ | 07특별기획'한 컷으로 다시 보는 여성과 일' | ||
+ | 10주제기획전'다시,날다' | ||
+ | 라운드테이블 '여성사 아카이브의 현황과 과제' | ||
+ | |||
+ | 2010 | ||
+ | 04소장유물전 ‘서울로 간 순이’展 | ||
+ | 06순회전시 ‘여성과 이주’(한신대 신학대학원) | ||
+ | 주제기획전 ‘이걸로 밥벌이를 계속할 수 있을까?’展 | ||
+ | 08대관전시 ‘귄신뎐’展 | ||
+ | 순회전시 ‘이걸로 밥벌이’(서울여성회 ‘여성문화축제’) | ||
+ | 10소장유물전 ‘엽서로 보는 여성의 삶’展 | ||
+ | 11특별기획전 ‘워킹 맘마미아: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展 | ||
+ | |||
+ | |||
+ | 2009 | ||
+ | 03봄맞이展 - 7인의 여성작가전 | ||
+ | 학교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 ‘전시관에 낙서하다, 우리가!’ | ||
+ | 여성사 기획강좌 | ||
+ | 06특별기획전 - 여성과 노동, 일상 새로운 상상 | ||
+ | 기관연계 방문교육 | ||
+ | 09교사 직무연수 | ||
+ | |||
+ | |||
+ | 2008 | ||
+ | 04여성사 기획강좌 | ||
+ | 05학교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 '꿈을 찍는 사진사' | ||
+ | 학교교사를 위한 여성사교육 | ||
+ | 여성사 기획강좌 | ||
+ | 06특별기획전 - 여성과 이주, 100년간의 낯선 女‘行 | ||
+ | 08건국 60년 특별기획전 <여성 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 ||
+ | 10건국 60년 특별기획전 전국 순회전 실시(인천, 대구, 광주, 경남, 전북) | ||
+ | 단기기획전 - 나와 ‘우리나라’ 이야기 | ||
+ | 애니메이션 상영회 - 헤쳐걷기 | ||
+ | |||
+ | |||
+ | 2007 | ||
+ | 04단기특별기획전'1950년대 여성지를 펼치다 - 미제, 비로도, 신식을 욕망하다 II' | ||
+ | 학교연계체험교육 프로그램 '목소리를 들려 주세요' | ||
+ | 05중등교원 대상 여성사 워크샵 | ||
+ | 06특별기획전 '선-녀 傳' | ||
+ | 07여성사 기획 강좌 | ||
+ | |||
+ | |||
+ | 2006 | ||
+ | 06학교연계체험교육 프로그램 '여성역사로의 유쾌한 여행' | ||
+ | 07특별기획전 '사라지는 여자들 - 음사열전(淫祀列傳)' | ||
+ | 상설전 프로그램 소장유물전 | ||
+ | '거리에 서면 전부 여인네뿐이로세 - 1950년대 여성 삶과 이미지' | ||
+ | 08여성문화해설사 양성과정 | ||
+ | 09청소녀 특별 프로그램 '나를 여성이게 하는 세월의 힘' | ||
+ | |||
+ | |||
+ | 2005 | ||
+ | 05여성사 체험 프로그램 '사라본 할머니의 살아 본 이야기' | ||
+ | 06특별기획전 '내일이 오면... Will You Love Me Tommorrow' | ||
+ | 08방학 특별 프로그램 '성인지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워크숍' | ||
+ | 청소녀 성인지 미디어 제작 워크숍 '카메라로 보는 여성의 역사 | ||
+ | 09여성사 강좌 '신여성' 운영 | ||
+ | 12특별기획전 '팬지꽃 아픔 : 한국의 산업화와 여성 그리고 여성 노동자 | ||
+ | |||
+ | |||
+ | 2004 | ||
+ | 07특별기획전 '근대교육과 여성문화 : 여성, 배움을 통해 세상을 그리다' | ||
+ | 10복합문화교육프로그램 '징검다리' 운영 | ||
+ | |||
+ | |||
+ | 2003 | ||
+ | 07제8회 여성주간 특별기획전 | ||
+ | <가족과 호주제 : 호주제 폐지, 행복한 가족으로 가는 지름길> | ||
+ | 12양성평등 체험프로그램 운영 | ||
+ | 개관 1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여성의 힘, 일상의 창조성' | ||
+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 | # 1. 국내의 여성 관련 유물 및 자료들을 수집 | ||
+ | 현재 수집된 소장품의 수는 약 6,600점이며, 여성의 의식주 등에 관한 생활용품과 역사, 정치, 문화, 경제, 사회 등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 ||
+ | * [http://eherstory.mogef.go.kr/PageLink.do 국립여성사전시관 소장품 소개] | ||
+ | <gallery> | ||
+ | 파일:수집.png| | ||
+ | 파일:수집2.png| | ||
+ | </gallery> | ||
+ | # 2. 상설전시<ref>김진경. "영화내러티브 및 연출기법 분석을 통한 국립여성사 박물관 전시계획에 관한 연구" VOL.- NO.- (2016)</ref> | ||
+ | <gallery> | ||
+ | 파일:상설전시1.png| | ||
+ | 파일:상설전시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상설전시3.png| | ||
+ | # 3. 상설전시 분석 | ||
+ | <gallery> | ||
+ | 파일:전시관4.png| | ||
+ | 파일:전시관5.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전시관6.png| | ||
+ | 파일:전시관7.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 3. 여성사 자료실 운영 | ||
+ | * | ||
+ | 인물연구 | ||
+ | * | ||
+ | 여성독립운동가 | ||
+ | * | ||
+ | 구술자료 | ||
+ | * | ||
+ | 도서자료 및 영상자료 | ||
+ | * | ||
+ | 여성사자료 | ||
+ | # 4. 교육프로그램 | ||
+ | <gallery> | ||
+ | 파일:교1.png| | ||
+ | 파일:교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교3.png| | ||
+ | 파일:교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교5.png| | ||
+ | </gallery> | ||
+ | # 5. 문화행사 | ||
+ | <gallery> | ||
+ | 파일:문1.png| | ||
+ | </gallery>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 | * 여성사박물관 특성화 고안 자료<ref>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ref> | ||
+ | <gallery> | ||
+ | 파일:여성사박물관 특성화.png| | ||
+ | </gallery> | ||
+ | # 1. 세계여성박물관네트워크(women in museum) | ||
+ | 논문 참고<ref>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ref> | ||
+ | <gallery> | ||
+ | 파일:세여1.png| | ||
+ | 파일:세여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3.png| | ||
+ | 파일:세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5.png| | ||
+ | 파일:세6.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7.png| | ||
+ | 파일:세8.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9.png| | ||
+ | 파일:세10.png| | ||
+ | </gallery> | ||
+ | |||
+ | === 세계의 여성박물관 현황 === | ||
+ | 세계의 여성박물관 현황 부표는 논문 참고<ref>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ref> | ||
+ | <gallery> | ||
+ | 파일:세부표1.png| | ||
+ | 파일:세부표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부표3.png| | ||
+ | 파일:세부표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부표5.png| | ||
+ | 파일:세부표6.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부표7.png| | ||
+ | 파일:세부표8.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세부표9.png| | ||
+ | </gallery> | ||
+ | # 1. 국내와 해외 여성박물관 비교 | ||
+ | <gallery> | ||
+ | 파일:국내사례1.png| | ||
+ | 파일:해외 사례.png| | ||
+ | </gallery> | ||
== 우란문화재단 == | == 우란문화재단 == | ||
=== 우란문화재단 === | === 우란문화재단 === | ||
+ | 성장가능성이 있는 인재가 스스로 콘텐츠의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재단. | ||
=== 운영 단체 === | === 운영 단체 === | ||
+ | * Official website: http://www.wooranfdn.org/main.jsp | ||
+ | * 재단 대표: 최기원 이사장 | ||
=== 기관 연혁 === | === 기관 연혁 === | ||
+ | 우란문화재단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친인 우란(友蘭) 박계희(1935~1997) 워커힐미술관 관장의 이름을 따 지난 2014년 설립됐다. 문화·예술 분야 인재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설립 후 4년 동안은 서울 용산구 동빙고동에 있다가 지난해 10월 성수동에 신사옥을 짓고 이전했다. 지상 12층~지하 6층, 연면적 1만5,248㎡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1970년대 산업화의 흔적과 수공예 공방의 자취를 남기고 있는 투박한 주변 건물들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ref>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WP2RLER 진동영.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서울신문</ref> | ||
+ | * | ||
+ | 2012년 행복나눔재단 문화사업팀에서 블랙박스 극장인 ‘프로젝트박스 시야(SEEYA)’에서 다양한 공연인력 육성 및 콘텐츠 개발사업을 거쳐, 2014년 행복나눔재단에서 독립하였다. 본격적으로 ‘인력 육성-콘텐츠 개발-인력과 콘텐츠의 확장’이라는 사업목표 아래, 공연뿐만 아니라 전시분야에서문화인재들이 발을 붙이고, 좋은 콘텐츠가 더 많은 사람과 만날 수 있게 | ||
+ | 노력하고 있다. 2018년 성수동으로 사옥을 이전하면서 기존과 다르게 전문인력 육성사업인 ‘우란 이상’과 콘텐츠 기획사업 ‘우란 시선’으로 나누어졌다.<ref>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ref> | ||
+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 우란문화재단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543808" lon="127.054324"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43808, 127.054324, [https://www.google.com/maps/place/%EC%9A%B0%EB%9E%80%EB%AC%B8%ED%99%94%EC%9E%AC%EB%8B%A8/@37.5438229,127.0542687,21z/data=!4m5!3m4!1s0x357ca56e2bf48283:0xeee79f553e9631b4!8m2!3d37.5438046!4d127.0543237우란문화재단] | ||
+ | </googlemap> | ||
+ | * 건물구성 | ||
+ | 재단은 성수동으로 이전하면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동네 특성에 녹아들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했다. 한때 공업지역이었던 성수동은 최근 청년 예술가와 디자이너 등이 몰리면서 젊은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지역 중 하나로 떠올랐다. 기존 공장·창고를 리모델링해 지역 특색을 살리면서 새로운 시도를 이뤄내는 중이다. 재단도 비슷한 방향의 조화를 원했다. 주변과의 ‘관계성’을 중점적으로 고민한 프로젝트다. 건물 사이에 골목길을 둬 사람들이 오갈 수 있도록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 ||
+ | |||
+ | 독특하게 생긴 건물 외관은 공간을 ‘수직적 연장’하는 콘셉트다. 주변 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자칫하면 주변과 단절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큰 건물을 주변 건물과 비슷한 크기의 작은 덩어리 수십 개로 쪼갰다. 작은 블록 여러 개를 입체적으로 쌓은 것처럼 보이도록 하고 모든 공간에는 발코니를 둬 건물을 잘게 분절시켜 보이도록 했다. 일반적인 노출 콘크리트 처리와 다르게 고밀도 스티로폼 몰드를 이용해 수직으로 홈을 파 가까이서 봤을 때 웅장한 스케일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했다. | ||
+ | |||
+ | ‘텍스처(질감)’도 중요한 요소다. 공장지대였던 성수동 일대는 공장·창고·주택 등 각 건물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풍성한 질감이 조화를 이룬 곳이다. 김 대표는 “우란문화재단 프로젝트를 맡은 후 성수동의 질감을 포용하는 식으로 갔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냈고 재단도 동의했다”며 “새 건물이지만 원래 이곳에 있던 건물처럼 보이고 싶었다. 외벽의 홈은 건물 근처 창고의 질감을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 |||
+ | 저층부의 공장 모양 건물 또한 공장지대였던 성수동의 특색을 반영한 디자인이다. 바뀌어 가는 성수동의 향수이면서 가벼운 위트를 담은 수사적 표현인 셈이다. 문화·예술이라는 새로운 ‘상품’이 생산되는 곳이라는 의미도 담겼다. | ||
+ | 기본적 역할은 나뉘어 있지만 특정 공연이나 전시에 국한하지 않는 멀티 플랫폼 형태다. 공연장으로 쓰이는 2경은 무대와 객석이 고정돼 있지 않아 어떤 형태의 새로운 공연도 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 ||
+ | |||
+ | 오피스 공간은 외부와 마찬가지로 성수동의 지역적 특색이 묻어나도록 디자인했다. 1층 로비 외벽은 철판을 접어 공업지역의 느낌이 나도록 표현했다. 천장은 기본적으로 노출형으로 둬 각종 파이프와 배선이 그대로 보이도록 했다. 공업지대의 레트로한 감성을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 | ||
+ | |||
+ | 오피스 공간에는 우란문화재단 사무실뿐 아니라 설계를 맡은 더시스템랩도 입주했다. 입주사들은 지하 1층의 입주사 전용 식당을 비롯해 12층의 펍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12층의 펍은 오후 영업시간 전까지 회의 공간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각기 다른 업체들이 입주한 공간이지만 건물 전체를 다 사용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들도록 설계했다. 공간마다 발코니를 둔 것은 건물 외부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를 기대해서다. <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VLWP2RLER 진동영.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서울신문</ref> | ||
+ | |||
+ | <gallery> | ||
+ | 파일:건1.png| | ||
+ | 파일:건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건3.png| | ||
+ | 파일:건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건5.png| | ||
+ | 파일:건6.jp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공1.png| | ||
+ | 파일:공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공3.png| | ||
+ | 파일:공4.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공5.png| | ||
+ | 파일:공6.png| | ||
+ | </gallery> | ||
+ | |||
+ | * 건축개요 | ||
+ | <gallery> | ||
+ | 파일:건축개요.jpg| | ||
+ | </gallery> | ||
+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 | * | ||
+ | [http://www.wooranfdn.org/program/end_list.jsp 우란문화재단 종료사업] | ||
+ | * | ||
+ | [http://www.wooranfdn.org/program/yisang_list.jsp 우란 이상 프로그램] | ||
+ | * | ||
+ | [http://www.wooranfdn.org/program/sisun_list.jsp 우란 시선 프로그램] | ||
+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 | * '우란 이상'과 '우란 시선'으로 재정비 | ||
+ | 기존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시야 플랫폼’, ‘시야 스튜디오’, ‘시야 플레이’, ‘시야 스테이지’로 크게 4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시야 플랫폼’과 ‘시야 | ||
+ | 스튜디오’가 ‘우란 이상’의 카테고리로 들어가면서 기존의 프로그램명은없어지고 연구지원과 프로젝트 개발의 두 카테고리로 세분화되었다. 나머지 ‘시야 플레이’와 전시 사업이 공연과 전시라는 카테고리로 ‘우란 시선’으로 정리되었다. | ||
+ | ‘시야 플랫폼’은 문화예술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육성 사업 | ||
+ | 으로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특강 및 | ||
+ | 워크숍을 통해 아이디어의 현실 가능성을 타진하고 창작의 원동력을 발견 | ||
+ | 하는 리서치랩 및 레지던시 프로그램이다. ‘시야 스테이지’는 개발 단계부 | ||
+ | 터, 리딩, 트라이아웃 공연에 이르기까지 콘텐츠 전 과정을 지원하여 작품 | ||
+ | 을 개발하고 무대화하는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이다. 장르 및 형태 제한 | ||
+ | 등 기존의 정해진 기준과 틀에 맞춘 개발을 넘어 실질적인 창작자의 창작 | ||
+ | 환경을 개선하고 콘텐츠에 가장 적합한 개발 과정을 통해 창작공연의 활 | ||
+ | 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졌다. ‘시야 플레이’는 관객에게 보다 | ||
+ | 다양한 공연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기획 프로그램이 | ||
+ | 고, ‘시야 스테이지’는 시야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연인력 및 콘텐츠에서 | ||
+ | 일부를 선정하여 그들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 | ||
+ | 그램들이 ‘우란 이상’과 ‘우란 시선’으로 나누어지면서 사업이 재정비되었다.<ref>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ref> | ||
+ | |||
+ | * | ||
+ | 1. 우란 이상<ref>http://www.wooranfdn.org/program/end_list.jsp 우란문화재단</ref> | ||
+ | ‘우란이상’은 최초의 영감에서 발아된 씨앗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문화예술 인력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공연예술개발, 레지던스연구 그리고 시각예술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각 분야의 인재들이 자유롭게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으로 아이디어의 현실가능성을 타진하고 직접 실현해보는 과정을 지원합니다. | ||
+ | |||
+ | # 1. 공연예술개발 | ||
+ | |||
+ | 대본을 창작하고 내부 리딩으로 가능성을 확인하며 트라이아웃 공연의 형태로 개발의 과정을 공유하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공연예술 분야의 예술가에게 무형의 아이디어가 유형의 무대예술로 구현되는 창작의 과정을 함께 고민하는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 ||
+ | |||
+ | # 2. 레지던스연구 | ||
+ | |||
+ |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연구 방식으로 다양한 예술에 대한 고찰과 개념 확장을 고민하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문화예술 인력의 예술적 성장을 위한 주제 발견을 독려하고 지식을 넘어 실험과 비평이 가능한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
+ | |||
+ | # 3. 시각예술연구 | ||
+ | |||
+ | 소장품을 매개로 참여자의 연구 주제를 확장하고 실험해보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예술 작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탐구하고 실천적 태도를 공유하는 협력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 ||
+ | ==== 우란 이상 - 연극 ==== | ||
+ | * '우란 이상'을 통해 만들어진 연극&뮤지컬 | ||
+ | |||
+ | ‘우란 이상’의 전신이었던 ‘시야 플랫폼 : 작곡가와 작가’는 뮤지컬 작곡 | ||
+ | 가와 작가의 지속적인 창작 작업을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으로 소재개 | ||
+ | 발(리서치 랩 및 오픈 클래스). 작품개발(마스터 클래스), 작품녹음(레코 | ||
+ | 딩)에 이르는 창작 전 과정을 교육한다. 약 6개월간의 기간 동안 이루어 | ||
+ | 지며, 오픈 클래스는 리서치 랩과 더불어 필라테스와 심리 테라피로 이루 | ||
+ | 어졌다. 필라테스, 심리테라피 수업은 작품 준비단계에서 창작 활동에 중 | ||
+ | 요한 신체와 정신 건강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함께 프로그램에 | ||
+ | 참여하게 된 다른 팀원들과 경쟁이 아닌 동료로서의 유대감이 강하게 생 | ||
+ | 긴다. 마스터클래스는 각 분야의 전문가와 창작랩이 진행되었는데, 극/작 | ||
+ | 사 부문은 배삼식 작가, 작곡 부문은 이지혜 작곡가가 맡았다.53) 매주 작 | ||
+ | 업 결과물을 사람들 앞에서 나누는 수업으로 일주일에 한 곡을 쓰든 세 | ||
+ | 곡을 쓰든, 대본을 몇 장을 쓰든 자기가 한 걸 발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 | ||
+ | 졌고, 전문가, 동료들과 작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수정 보완하는 과정 | ||
+ | 을 가진다. ‘시야 스튜디오’의 경우 실연이 가능한 결과물을 향해 창작자 | ||
+ | 가 긴 호흡을 놓치지 않고 달려갈 수 있게 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 ||
+ | 있다. 그 결과물을 창조해 내기 위해 창작자에게 필요한 제반 사항을 되 | ||
+ | 도록 규제 없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여 제공한다. 소재 개발부터 | ||
+ | 트라이아웃 공연까지의 제작 기간을 약 1년 6개월에서 2년으로 잡는다. | ||
+ | 소재 선정에만 2~3개월이라는 시간을 충분히 배분하는데, 창작자가 어떤 | ||
+ | 이야기를 왜 하고 싶은지, 반드시 지금 해야 하는 이야기인지 등 고민할 | ||
+ |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ref>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ref> | ||
+ | * 시야 스튜디오 | ||
+ | 우란문화재단은 시력이 미치는 범위라는 뜻(시야: 視野)과 또 만나자는 뜻(See ya: Seeyou)을 중의적으로 의미하는 블랙박스형태의 공연장 ‘프로젝트박스 시야 | ||
+ | (Projectbox SEEYA)’28)를 기반으로, 콘텐츠 기획부터 육성·제작, 확장까지 각 단계별로 지원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있다. <ref>김진희. "국내 뮤지컬 창작 지원 사업 현황 연구" VOL.- NO.- (2016)</ref> | ||
+ | |||
+ | <gallery> | ||
+ | 파일:우연1.png| | ||
+ | 파일:우연2.png| | ||
+ | </gallery> | ||
+ | |||
+ | 2. 우란 시선<ref>http://www.wooranfdn.org/program/end_list.jsp 우란문화재단</ref> | ||
+ | ‘우란시선’은 문화예술계에 새로운 흐름과 방향을 제시할 콘텐츠를 우란문화재단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선보이는 기획 프로그램입니다. 상업적 논리에서 벗어나 열린 시각으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공연 프로그램과 전통 공예를 되새기며 오늘날 공예의 가치를 현대적 시각으로 담아내는 전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
+ | |||
+ | # 1. 공연 | ||
+ | |||
+ | 장르와 소재, 표현 방식에 제약을 두지 않고 문화예술계가 필요로 하는 역량 있는 작품들을 선보이며, 예술가와 기획자가 관객을 만나 소통하고 교감하는 과정을 통해 모든 참여자가 우란의 시선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 ||
+ | |||
+ | # 2. 전시 | ||
+ | |||
+ | 전통 공예의 미감을 바탕으로 동시대 공예의 조형적, 사회적 함의를 시각예술로 제시하여 잊혀 가는 전통 공예를 장인들의 작업 과정에 대한 존중으로 되새기고, 폭 넓은 해석으로 공예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 ||
+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 ||
+ | <gallery> | ||
+ | 파일:재단소개.png| | ||
+ | </gallery>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 | ==== 악기 ==== | ||
=== 운영 단체 === | === 운영 단체 === | ||
+ | * Official website: 없음 | ||
+ | * 초대 관장: | ||
=== 기관 연혁 === | === 기관 연혁 ===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 ||
+ | * 오르페오 음악 박물관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345584" lon="127.111338"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345584, 127.111338, [https://www.google.com/maps/place/%EF%BC%97%EF%BC%95+Migeumil-ro,+Gumi+1(il)-dong,+Bundang-gu,+Seongnam-si,+Gyeonggi-do/@37.345575,127.1113626,21z/data=!4m8!1m2!2m1!1z6rK96riw64-EIOyEseuCqOyLnCDrtoTri7nqtawg66-46riI7J2866GcIDc1IOq1rOq1rEIvRCA!3m4!1s0x357b59c3bee9b5d1:0x9a8913c85ef0e806!8m2!3d37.3455774!4d127.1113364 오르페오 음악 박물관] | ||
+ | </googlemap> | ||
+ | |||
=== 전시, 행사 목록 === | === 전시, 행사 목록 ===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행사 및 사건 현황 === | ||
80번째 줄: | 1,502번째 줄: | ||
=== 1. 서울공예박물관 === | === 1. 서울공예박물관 === | ||
==== 기획 시 고려사항 ==== | ==== 기획 시 고려사항 ==== | ||
+ | 다음 1.~3.의 항목은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시 심사위원이 제시한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8085 심사기준]을 참고하여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 ||
+ | 이들의 심사기준은 첫 번째, 도시적 관점에서 율곡로3길(감고당길)과 윤보선길, 각 길로 연결되는 주변 주요 역사문화자원 관계의 재해석이며, 두 번째, 대상지내 기존 건축물의 유지 범위에 따른 리모델링 방향, 마지막으로 박물관의 기능성 구현과 박물관으로의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평가했다. <ref>서울시는 종로구에 위치한 풍문여자고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공예의 전통과 현대를 종합하는 공예 전문 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한 설계공모 실시 결과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용호 외 2인(중앙대 송하엽, 경희대 천장환)이 참여한 ‘Craft Ground’ 가 당선작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참가등록이 총87팀(국내 54팀, 국외33팀)이었으며, 총21팀(국내 14팀, 국외 7팀)이 작품을 제출하여 심사를 거쳤다. | ||
+ | 심사위원회는 건축·도시·운영 분야의 총8인(예비심사위원 1인 포함)으로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인철((주)아르키움건축사사무소)을 비롯해 신춘규(씨제에스건축사사무소), 이영범(경기대학교), 이소진(아뜰리에 리옹 서울), 정석(서울시립대학교), 김홍남(이화여자대학교), 최은주 (경기도미술관), 예비심사위원 오동희((주)간삼건축사사무소) 등이 참여하여 심사를 진행했다. | ||
+ | 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ref> | ||
+ | * 1. 도시적 관점에서 율곡로3길(감고당길)과 윤보선길, 각 길로 연결되는 주변 주요 역사문화자원 관계의 재해석 | ||
+ | 심사위원회는 서울공예박물관 설계당선작이 대상지의 여건과 근대부터 현대까지의 시간의 흐름을 현시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는 설계안이었으며, 주변 도로 및 부지와의 연계를 지혜롭게 해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건축물의 외형적 과시를 절제하고 근대의 흔적을 담아낸 계획이라고 밝혔다.<ref> 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ref> | ||
+ | * 2. 기존 건축물의 유지 범위에 따라 리모델링을 거친 전시관이라는 점을 유념 | ||
+ | * 3. 박물관의 기능성 구현과 박물관으로의 접근 방법 | ||
+ | 또한 어색한 현대건축(정보관)을 단순화 시킨 점이 돋보이면서도 부속건물과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고, 박물관의 기능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관람객 동선을 효율적으로 계획했다. 1개의 큰 건물동이 아니라 분절된 저층(진입층)으로 제안하여 편안한 건축 규모를 제시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ref>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ref> | ||
+ | * 4.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감전시의 유연한 진행 | ||
+ | * 5. 세계 각국의 공예품 전시(해외전시 기획)의 유연한 진행 예)서울공예박물관-베트남민족학박물관, 공동연구·전시교류 | ||
+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221_0000926632&cID=10201&pID=10200 | ||
+ | * 6. 전시, 연구, 교육, 유통 기능의 독립적인 시설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생활문화적 공예개념과 지역생산시스템을 접목한 공예문화마을 개념의 박물관을 지향하는 바<ref>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2p</ref> 북촌과 율곡로3길, 윤보선길과 세계문화유산이 된 명소를 서울공예박물관과 흐름을 함께하는 하나의 시나리오로 엮어 공예 스토리텔링을 만들어야 한다. | ||
+ | |||
==== 해외 선례 ==== | ==== 해외 선례 ==== | ||
===== [http://www.pref.ishikawa.jp/kikaku/kogeikan/top.html 일본 국립공예관] ===== | ===== [http://www.pref.ishikawa.jp/kikaku/kogeikan/top.html 일본 국립공예관] ===== | ||
− | * | + | 일본 국립공예관 web site: http://www.pref.ishikawa.jp/kikaku/kogeikan/top.html |
+ | # 1. 도쿄국립근대미술관의 부속기관 공예관이 가나자와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 | ||
+ | * 2020년 도쿄올림픽 개시 이전 여름 개관하는 일본 공예박물관에 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의 공예품이 이시가와현의 旧第九師団司令部庁舎&旧金沢偕行社에 옮겨가고 ‘국립공예관’으로 합일한다. | ||
+ | 国の地方創生施策の一環である政府関係機関の地方移転として、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が石川県金沢市に移転します。国立工芸館は、日本で唯一の国立で工芸を専門とする美術館であり、石川県への移転により日本海側初の国立美術館が誕生します。 | ||
+ | 工芸振興のナショナルセンターとして、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の作品約1,400点をはじめ、現工芸館が所蔵する日本の工芸の歴史を語るうえで欠かせない美術工芸作品約1,900点以上が東京から移転します。 | ||
+ | 作品の展示や収蔵に必要な環境を整えるための準備期間を経て、2020年の東京オリンピック開催前のオープンを目指しています。 | ||
+ | |||
+ | # 2.공예기술기능자, 인간국보(공예기술) 보호와 지역경제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 내 공예기술 육성&전승 | ||
+ | 石川県の特徴: 日本伝統工芸展入選者数 17年連続 全国第1位(人口100万人当たり)/ 人間国宝(工芸技術保持者)数 全国第1位(人口100万人当たり) | ||
+ | |||
+ | # 3. 일본 국립공예원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겐로쿠엔 주변의 문화의 숲兼六園周辺文化の森' | ||
+ | *국립공예원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6.559165" lon="136.661679" type="normal" zoom="12" |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6.559165, 136.661679, [https://www.google.com/maps/place/%E5%9B%BD%E7%AB%8B%E5%B7%A5%E8%8A%B8%E9%A4%A8/@36.5593471,136.6607494,17.79z/data=!4m5!3m4!1s0x5ff8339d12c824db:0x48adbd92fcae1e14!8m2!3d36.5591445!4d136.6616513 国立工芸館] | ||
+ | </googlemap> | ||
+ | |||
+ | 国立工芸館の移転先となる、金沢市の「兼六園周辺文化の森」は、兼六園を中心とする半径1kmの範囲の中に、藩政期から近代に至るまでの各時代の歴史的建物や文化施設が集積した文化ゾーンです。 | ||
+ | 重要文化財であるいしかわ赤レンガミュージアムや、円形のデザインが有名な金沢21世紀美術館などが建ち並び、アーキテクチャーツーリズム(建築観光)としても魅力的なエリアです。 | ||
+ | 国立工芸館の移転により、藩政期からの石川県ゆかりの美術工芸品を扱う石川県立美術館をはじめとする周辺文化施設とあわせて、日本の工芸の全ぼうを一堂に鑑賞できるエリアが誕生します。 | ||
+ | <gallery> | ||
+ | 파일:Imgmap.jpg| | ||
+ | 파일:Kanazawa.jp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Mddap.png| | ||
+ | </gallery> | ||
+ | # 4. 일본 국립공예원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다국어 번역과 나레이션의 '소개영상'(중국어, 한국어 지원. 영어지원이 없는 것이 아쉬움) | ||
+ |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904&v=4taJ48tt4Ho&feature=emb_title | ||
+ | # 5. 일본 국립공예원 내부 구조 | ||
+ | <gallery> | ||
+ | 파일:에리아.png| | ||
+ | </gallery> | ||
+ | # 6. 일본 국립공예원 건축방식 (살릴 수 있는 옛 건축의 부자재는 그대로 살린다) | ||
+ | 第九師団司令部庁舎과 金沢偕行社의 移築. | ||
+ | 第九師団司令部庁舎은 師団司令部의執務室로 사용되었었고, 金沢偕行社는 陸軍将校의社交場으로 사용되어왔던 공간으로 두 건물 모두 메이지 때 육군의 사용 건물로 그 가치를 높이 사 국가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된 상태이다. 건물을 해체할 때 이축(移築), 활용하는 부재 중 아직 사용가능한 부재는 재사용하였고, 외벽의 색이 바랜 경우 옛 건물의 건축 당시의 색으로 복원하여 이축 후 건물이 이질적인 색감을 띄지 않도록 작업하였다. | ||
+ | * 両建物は、明治期に建てられた旧陸軍の施設であり、ともに国登録有形文化財です。 | ||
+ | 建物の解体にあたっては、移築・活用する部材を一つ一つ丁寧に取り外し、使用可能な部材については再利用しました。解体作業の中で、外壁や窓枠の色が建設当時と異なっていることがわかりました。移築に合わせて当時の色に戻し再現することで、文化財としての価値がさらに高まると期待されます。 | ||
+ | <gallery> | ||
+ | 파일:1ww.png| | ||
+ | 파일:2dsfs.png| | ||
+ | </gallery> | ||
+ | # 7. 일본 국립공예원 소장품(主な移転作品) | ||
+ | 도쿄국립근대미술관 소장의 작품이 이시카와 현의 국립공예원으로 이전. 일본예술원회와 인간국보의 작품 1,400점 소장 | ||
+ | * 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の作品約1,400点を所蔵. | ||
+ | 東京から、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が制作した作品(約1,400点)をはじめ、現工芸館が所蔵する美術工芸作品約1,900点以上が移転します。 | ||
+ | 日本の工芸の歴史を語るうえで欠かせない作品が移転し、常設展や企画展が開催されます。 | ||
+ | <gallery> | ||
+ | 파일:Sfsa555.png| | ||
+ | </gallery> | ||
+ | # 7-1. 한국의 서울공예박물관 소장품 | ||
+ | * 8400점도 많은 수량의 유물이다. 유물의 수량보다 양질을 더 중요시한다면 유물 수량이 적어도 괜찮지 않을까? 위의 일본 국립공예원의 경우 소장품 수량이 1,400점이라고 대중에게 공개하였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일본 국립공예원보다 6배 되는 유물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 ||
+ | 서울시는 2017년 유물 4000점을 수집하겠다며 예산 72억원을 편성했지만 고작 600점을 수집하는 데 그쳤다. 시 관계자는 "조상이 쓰던 물건을 가져와 공예품이라며 구매해달라는 경우가 많았다"며 "박물관에 넣을 만한 수준의 유물을 찾기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박물관은 지난해 별세한 허동화 한국자수박물관장이 평생 모은 자수 5000점을 기증하면서 유물 8400점을 가까스로 모았다. | ||
+ | |||
===== [https://www.arts-et-metiers.net/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 ===== | ===== [https://www.arts-et-metiers.net/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 ===== | ||
− | * | + | * パリ工芸博物館 |
− |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48.866696" lon="2.356028" type="normal" zoom="12" |
− | 디지털 전시, | +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 48.866696, 2.356028, [https://www.arts-et-metiers.net/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 | |
− | ==== | + | </googlemap> |
− | + | ||
− | ===== | + | * |
− | ==== | + | [[파일:7-1.png|섬네일]] |
+ | 서울공예박물관의 기증공예관이 과학관으로 나와 있는데,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https://www.arts-et-metiers.net/)을 참고한 후 한국의 공예관 소속의 과학관은 | ||
+ | 어떤 범주를 명확하게 정하고 대중에게 소개할 것인지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 조선의 과학사가 담긴 공예품일까? 그러한 공예품이 빛이 나게 조영되려면 어떤 전시공간에 마련되어야 하며, 특정 전시공간과 전시의 목적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방문자가 즐길 수 있는 전시노선이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전시기획과 의도에 맞추어 가장 효율적인 전시 경로를 짜 보고 그것을 디지털화 한다면 어떨까? | ||
+ | * | ||
+ | 다시,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Musée des Arts et Métiers)의 이야기로 돌아가면 이곳은 과학기술을 응용한 기계를 제작하는 행위를 ‘공예’로 범주를 굳히고 운영하는데 파리 앵발리드 군사박물관과 비슷하면서도 또다른 느낌이 있다. Musée des Arts et Métiers는 푸코의 진자<ref>1851년 푸코는 진자의 진동면 회전을 통해서 지구의 자전을 증명할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판테온의 거대한 돔 중앙에 67 m나 되는 긴 쇠줄에 28 kg짜리 추를 달고 진자 실험을 했다. 이때 사용한 진자가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의 별관에 전시되어 있다. 푸코의 또 다른 업적 중 하나인 빛의 속력 측정실험장치도 발견할 수 있다. 푸코 피조의 측정방법을 개량하여, 톱니바퀴 대신에 거울을 회전시켜서 더 정밀하게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 방법으로 푸코는 물속에서의 빛의 속력도 구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물속에서의 빛의 속력이 진공(공기) 중에서의 빛의 속력보다 작다는 것을 발견하여 굴절현상을 빛의 입자성으로 설명한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빛의 본성에 대한 입자성, 파동성의 논란에 답을 주는 계기를 만들었다. 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22-23.</ref> | ||
+ | (지구의 자전을 증명)의 원형과 뤼미에르 형제의 영사기가 전시되는 곳이다. 군사가 입은 갑주든 뤼미에르의 영사기든 사람의 손을 거친 공예품이고 재료의 집합 또한 교집합의 범주에 더 들어간 것이 많음은 분명한데 공예품이 만들어진 의도에 따라 어느 공예품은 군사박물관으로, 어느 공예품은 기술공예박물관으로 간다. 한국에 만약 이와 같은 공예박물관(기술공예관)이 생긴다면 군사품을 위한 공예와 인류의 진보를 일으킨 공예품을 함께 전시할까 따로 전시할까? 함께 전시한다면, 어떤 구조의 전시관을 갖추고 있을까? 그에 따라서 전시노선(디지털 큐레이션)도 팔색조로 변하지 않을까? | ||
+ | 파리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곳이 루브르, 오르셰, 기멧, 앵발리드 군사박물관(나폴레옹의 무덤이 있는 곳),Musée des Arts et Métiers(국립기술공예박물관)이다. | ||
+ | 서울공예박물관이 많은 사랑을 입어서, 언젠가 서울공예박물관의 부속 과학관에 한-프 교류전시로 국립기술공예박물관의 유물이 전시된다면 어떻게 전시기획을 해야 할지 생각해본다. | ||
+ | |||
+ | *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Musée des Arts et Métiers)의 전시품(기술공예의 예) | ||
+ | <gallery> | ||
+ | 파일:1sdfsv.png| | ||
+ | 파일:Dsfa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Sfasa4.png| | ||
+ | 파일:Dsgw5.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3sfsaag.png| | ||
+ | </gallery> | ||
+ | 사진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17-25. | ||
+ | |||
+ | 위 사진은 에너지와 기후변화 교육과 학교 밖 과학관에서의 교육에 관한 연구를 위해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을 답사하고 전시관 내 에너지와 관련된 기술공예품의 일부를 소개한 것이다. | ||
+ | 연구자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온도계, 라부아지에의 실험실, 사이클로트론, 볼타전지 등과 같은 에너지 관련 전시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열에너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는 17세기에 만들어진 갈릴레이 온도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온도계가 전시되어 있었고, 라부아지에가 연소이론, 질량보존의 법칙 등을 발견할 때 사용했던 기구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중략) 에너지 관련 전시물 이외에도 푸코의 진자, 빛의 속력 측정장치, 파스칼의 계산기 등 과학적으로 가치 있는 실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ref>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23-24p </ref> | ||
+ | * <http://www.khss.or.kr/ 한국과학사학회> | ||
+ | 한국과학사학회의 학술지에는 한국의 과학사에 대해 심층깊게 논하는 양질의 논문이 나온다. 한국의 전문학술지와 해외 기술공예박물관에서 발행하는 도록이나 학술지를 참고하여 해외 기술공예박물관과의 특정 주제를 통한 전시 접점을 찾아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 ||
+ | |||
+ | * 아래는 한국과학사학회에 각각 '에너지', '공예', '기후', '계산'을 검색해본 결과이다. | ||
+ | <gallery> | ||
+ | 파일:Wwywy1.png| | ||
+ | 파일:Wtwt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Wetwe3.png| | ||
+ | 파일:Sfdgwe4.png| | ||
+ | </gallery> | ||
+ | 한국과학사학회 Web site: http://www.khss.or.kr/ | ||
+ | |||
+ | ===== 외국의 공예박물관 ===== | ||
+ | * The following museums were selectedas notable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crafts: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UK2) ; Museum fur Kunsthandwerrk in Frankfurt, Germany3) ;Les Arts Décoratifs in Paris, France4) ; Museo Del Vetro in Venice, Italy5) ; The Museum ofArts and Design(MAD) in New York, USA6) ; and The Japan Folk Craft Museum in Tokyo, | ||
+ | Japan7). | ||
+ | * For those specializing in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 residencies, the following were selected: The Craft Museum of Finland8) ;The Hangzhou Arts and Crafts Museum of China9) ; and the Museums Quartier Vienna of Austria10). | ||
+ | <gallery> | ||
+ | 파일:34532t1.png| | ||
+ | 파일:32422.png| | ||
+ | </gallery> | ||
+ | <gallery> | ||
+ | 파일:Sfgwe3.png| | ||
+ | </gallery> | ||
+ | 출처: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5-56 | ||
+ | ===== 국내의 공예박물관 ===== | ||
+ | <gallery> | ||
+ | 파일:Sdfag1.png| | ||
+ | </gallery> | ||
+ | 출처:김영남, 조현신 (2008). 공예박물관의 현대적 특성과 이용의미(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0 | ||
+ | |||
+ | ==== 나의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기준 ==== | ||
+ | * 1. 건물 구성 살펴보기 | ||
+ | 전시관은 글자 위에 건축되지 않았다. 건물을 가지고 땅 위에 건축되었다. | ||
+ | 그래서 지면 위에 어떤 도면을 가지고 설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디지털 큐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이다. | ||
+ | 건축도면은 전시품의 종류와 전시 기획에 따라 전시 노선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는 점, 전시 목적에 따른 전시공간의 특이점 발생을 고려해서 제작된다. | ||
+ | |||
+ | * 2. 전시관을 효율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도면을 참고 | ||
+ | 그러나 전시 경로를 기획하든 전시물을 어떻게 배치하는지는 건물이 설립된 이후의 학예사들의 몫이고, 건축도면에는 해당 건물의 건립 의도, 기관의 창립이념이 민낯처럼 드러난다. | ||
+ | 대학으로 치면 건학이념이 구체적인 형상을 갖추고 드러내는 것이고, 박물관으로 치면 기관의 건립목적이 드러나는 것이다. | ||
+ | 그 민낯을 살려서 전시 경로를 기획하고, 전시물을 배치하는 것을 궁리하는 것이 전시기획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 ||
+ | 전시기관이 개관하게 된 목적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의 기준으로 삼을 것이다. | ||
+ | |||
+ | * 3. 디지털 스토리텔링 | ||
+ | 2020년 여름 개관 예정의 이시가와현 일본국립공예관을 선례로 보면, 본 기관을 나무의 기둥으로 두고, 주변의 공원, 돌담길과 숲길, 영빈관, 박물관, 미술관, 유서 깊은 건물, 유동인구가 많았던 거리를 나뭇가지로 만든 형태로 보인다. | ||
+ | # 나무의 기둥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뭇가지들의 형상은 지역경제활성화와 공예산업단지 조성에 큰 기여를 하고, 지역주민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생생하게 읽어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 | 이처럼 국립공예미술관 또한 주변의 세계문화유산지정지, 주민들의 손때가 묻어나는 거리, 기념관, 미술관, 박물관, 공보문화관, 북촌의 역사를 한 흐름(국립공예미술관으로부터 000에서 000으로~)에 놓고, 하나의 시나리오로 살려야 한다. 다른 개체와 맺는 relation 가지가 많을수록 시나리오는 풍부해진다. | ||
+ | 그 과정에서 공예사업장이 상생하고, 공예나 미술기관이나 시청의 도움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유연하게 국립공예미술관의 프로젝트에 자문을 넣을 수 있도록 오픈 프로젝트의 자리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 ||
+ | |||
==== 궁리 중인 기획 ==== | ==== 궁리 중인 기획 ==== | ||
+ | (차후 업데이트 예정) | ||
디지털 전시, 3D 영상제작 | 디지털 전시, 3D 영상제작 | ||
+ | |||
== 주석 == | == 주석 == | ||
<references/> 2020-03-07 현재 서울공예박물관 공식 web site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일본의 국립공예박물관과 차이를 비교하자면 첫째, 일본 공예박물관은 2020년 도쿄올림픽이 개시되기 전 여름에 개관함을 밝히며 개관 예정의 공예관의 건물의 역사 소개와 전시관 소개영상을 공개하였다. 또한 전시되는 주요 작품을 홈페이지에 개재하고 국립공예관 주변의 미술관과 기념관, 영빈관, 공원을 소개하며 이시가와현의 박물관 순례를 공예박물관을 중심으로 두고 하나의 시나리오로 창작하였다. 둘째, 일본 공예박물관은 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의 공예품이 이시가와현의 旧第九師団司令部庁舎&旧金沢偕行社에 옮겨가는 것이다. 즉 도쿄국립근대미술관의 부속기관이었던 공예관이 가나자와 이시가와현으로 몸을 완전히 옮기고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room/list/757 공예관]이 있으나, 2020년 10월 완공 예정의 서울공예박물관(한국 최초의 공예박물관)과 합일하지 않는다. 일본 공예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공예박물관으로서 '공예'라는 문화를 종합적 성격을 띄는 박물관으로부터 독립시켜(도쿄국립근대미술관 부속기관 공예관을 완전히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시킴)창설한 것에 의미를 부여한다. 반면 한국의 경우 아직 일본의 국립공예박물관과 같이 '산재해 있는 가치 있는 공예품'을 한데 모아 전문인력을 한 곳에 집중시켜 관리하고, 지역공예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인간국보(공예기술보유자)의 생업과 기술전승을 보호하려는 시도가 비교적 미흡하다. | <references/> 2020-03-07 현재 서울공예박물관 공식 web site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일본의 국립공예박물관과 차이를 비교하자면 첫째, 일본 공예박물관은 2020년 도쿄올림픽이 개시되기 전 여름에 개관함을 밝히며 개관 예정의 공예관의 건물의 역사 소개와 전시관 소개영상을 공개하였다. 또한 전시되는 주요 작품을 홈페이지에 개재하고 국립공예관 주변의 미술관과 기념관, 영빈관, 공원을 소개하며 이시가와현의 박물관 순례를 공예박물관을 중심으로 두고 하나의 시나리오로 창작하였다. 둘째, 일본 공예박물관은 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의 공예품이 이시가와현의 旧第九師団司令部庁舎&旧金沢偕行社에 옮겨가는 것이다. 즉 도쿄국립근대미술관의 부속기관이었던 공예관이 가나자와 이시가와현으로 몸을 완전히 옮기고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room/list/757 공예관]이 있으나, 2020년 10월 완공 예정의 서울공예박물관(한국 최초의 공예박물관)과 합일하지 않는다. 일본 공예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공예박물관으로서 '공예'라는 문화를 종합적 성격을 띄는 박물관으로부터 독립시켜(도쿄국립근대미술관 부속기관 공예관을 완전히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시킴)창설한 것에 의미를 부여한다. 반면 한국의 경우 아직 일본의 국립공예박물관과 같이 '산재해 있는 가치 있는 공예품'을 한데 모아 전문인력을 한 곳에 집중시켜 관리하고, 지역공예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인간국보(공예기술보유자)의 생업과 기술전승을 보호하려는 시도가 비교적 미흡하다. | ||
99번째 줄: | 1,664번째 줄: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 ||
=== 서울 공예박물관 === | === 서울 공예박물관 === | ||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 | * |
− | *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room/list/757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
+ | * | ||
+ |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room/list/757 | ||
+ | * | ||
+ | 한국과학사학회 Web site: http://www.khss.or.kr/ | ||
+ | * | ||
+ | "공예는 시대 산물…제작과정 아우르는 박물관 만들 것" YNA 2020-01-08 박상현기자 | ||
+ |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7164900005?input=1195m | ||
+ | * | ||
+ | 서울공예박물관, 시각장애인 위한 박물관 전시개발 2019-11-07 Newsis 윤슬 기자 | ||
+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107_0000822579&cID=14001&pID=14000 | ||
+ | * | ||
+ | 박원순표 4000억 박물관 사업, 하루 관람객 40명… 25명… 2019.01.30 이해인기자 | ||
+ |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30/2019013000192.html | ||
+ | * | ||
+ | 허동화·박영숙 자수박물관장 부부 유물 5,000여점 기증 "어머니 염원 닮은 자수, 공예박물관서 반짝일 것" 2018-05-17 서울경제 김정욱기자 | ||
+ | https://www.sedaily.com/NewsView/1RZKGWOW0N | ||
+ | * | ||
+ |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 | ||
+ |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8085 | ||
+ | * | ||
+ |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1-61. | ||
+ | |||
+ | * | ||
+ |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38-45. | ||
+ | |||
+ | * | ||
+ | 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17-25. | ||
+ | |||
+ | * | ||
+ |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1-61. | ||
+ | |||
+ | * | ||
+ | [http://www.pref.ishikawa.jp/kikaku/kogeikan/top.html 일본 국립공예관]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 * | + | * <건축설계> |
+ | 어느 건축사무소의 도안을 채택했는지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공식 홈페이지에서 찾아보기 어려웠으므로, 현지답사에서 알아보기로 결정. | ||
+ | # 1. 최재현. (2008).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합동건축사사무소. 월간 컨셉, (107), 146-149. | ||
+ | # 2. 김진식, 이창환, 최영원, 현택수. (2008).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토담종합건축사사무소 + 경일대학교. 월간 컨셉, (107), 142-145. | ||
+ | |||
+ | * <학술논문> | ||
+ | |||
+ | # 1. 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 | ||
+ | |||
+ | # 2. 한상구. 2015. 12.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전개양상 연구. 인문연구(7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
+ | |||
+ | # 3. 심상훈. 2015.12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성산이씨 홍와고택」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 동아인문학 33, pp. 341-371. 동아인문학회. | ||
+ | |||
+ | # 4. 카와이 아사오(河井朝雄) 저 / 손필헌 역.1998. 12. 30 대구 이야기(大邱物語). 대구 중구 문화원. | ||
+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국채보상운동&ridx=0&tot=1334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채보상운동] | ||
+ | |||
+ | * [http://www.gukchae.com/Pages/Introduce_0108.aspx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
+ | |||
=== 실학박물관 === | === 실학박물관 === | ||
− | * | + | * |
+ | 1. 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 | ||
+ | * | ||
+ | 2. 이관직. (2005). 경기도 실학박물관. 월간 컨셉, (79), 138-143. | ||
+ | * | ||
+ | 3.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채보상운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국채보상운동&ridx=0&tot=1334 | ||
+ | * | ||
+ | 4. [http://silhak.ggcf.kr/ 실학박물관] | ||
+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 * | + | * |
+ | 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 | ||
+ | https://www.nkis.re.kr:4445/searchResult.do?menuNo=201001&kwd=%EC%97%AC%EC%84%B1%EC%82%AC%EC%A0%84%EC%8B%9C%EA%B4%80 | ||
+ | 국가정책연구포털에서 논문다운 가능합니다. | ||
+ | * | ||
+ | 2. 정숙영. "초등역사교육에서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 신장 방안" VOL.- NO.- (2014) | ||
+ | * | ||
+ | 3. 김진경. "영화내러티브 및 연출기법 분석을 통한 국립여성사 박물관 전시계획에 관한 연구" VOL.- NO.- (2016) | ||
+ | * | ||
+ | 4. 국립여성사전시관 | ||
+ | http://eherstory.mogef.go.kr/PageLink.do | ||
+ | |||
=== 우란문화재단 === | === 우란문화재단 === | ||
− | * | + | * |
+ | 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 | ||
+ | * | ||
+ | 김진희. "국내 뮤지컬 창작 지원 사업 현황 연구" VOL.- NO.- (2016) | ||
+ | * | ||
+ | 진동영. 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WP2RLER 서울신문] | ||
+ | * | ||
+ | [http://www.wooranfdn.org/main.jsp 우란문화재단] | ||
+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 ||
* 항목 | * 항목 | ||
122번째 줄: | 1,765번째 줄: | ||
* (설립)목적, (창립)이념 - WHY | * (설립)목적, (창립)이념 - WHY | ||
=== 틀 적용 === | === 틀 적용 === | ||
+ | * 개념(용어) - 이 페이지에서는 대상 자원의 범주를 정립하는 것으로 이해. 중요 키워드의 개념(괄호) 소개. ex)서울공예박물관(공예), 국채보상운동기념관(국채보상운동) ect | ||
* WHO 운영 단체 | * WHO 운영 단체 | ||
* WHEN 기관 연혁 | * WHEN 기관 연혁 | ||
131번째 줄: | 1,775번째 줄: | ||
== Basic Technology References == | == Basic Technology References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3%B5%EC%97%B0%C2%B7%EC%A0%84%EC%8B%9C_%EB%94%94%EC%A7%80%ED%84%B8_%EC%BD%98%ED%85%90%EC%B8%A0_%EA%B0%9C%EB%B0%9C_2020 Basic Technology References]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3%B5%EC%97%B0%C2%B7%EC%A0%84%EC%8B%9C_%EB%94%94%EC%A7%80%ED%84%B8_%EC%BD%98%ED%85%90%EC%B8%A0_%EA%B0%9C%EB%B0%9C_2020 Basic Technology References] | ||
+ | |||
+ | == Maps == | ||
+ | <googlemap lat="37.549802" lon="127.089717" zoom="12" type="normal" | ||
+ | icons="http://digerati.aks.ac.kr/VR/style/{label}.png"> | ||
+ | 3#007F7F | ||
+ | (school) 37.576736, 126.983365 | ||
+ | (school) 37.515978, 127.300654 | ||
+ | (school) 35.869093, 128.601806 | ||
+ | (school) 37.635754, 126.834219 | ||
+ | (school) 37.543808, 127.054324 | ||
+ | (school) 37.345584, 127.111338 | ||
+ | </googlemap> | ||
+ | |||
+ | * lat& lon | ||
+ | # 서울: 37.549802, 127.089717 | ||
+ | # 서울공예미술관: 37.576736, 126.983365 | ||
+ | # 실학박물관:37.515978, 127.300654 | ||
+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35.869093, 128.601806 | ||
+ | # 국립여성사전시관:37.635754, 126.834219 | ||
+ | # 우란문화재단:37.543808, 127.054324 | ||
+ | # 오르페오악기박물관:37.345584, 127.111338 | ||
+ | |||
+ | == 동영상 테스트영상 == | ||
+ | * 2주 동안 인도에서 불교성지순례 겸 위빠사나 수행을 다녀왔을 때 찍은 영상입니다. | ||
+ | * 2주간 '수면시간 3시간 30~ 4시간 + 버스로 평균 10~12시간 이동'으로 인한 육체적 피로의 여파일까 기원정사를 죽림정사로 잘못 소개한 영상이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
+ | # 인도의 행상인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pXH3Ik4D2t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짜파티 만드는 주방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zJFYvrUHI2w"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짜파티 구워보아요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U_BVClwrGKw"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바라나시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5UAzp9NPWIM"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녹야원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p_H_D8Cows"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기원정사의 웅장한 나무(유튜브에는 죽림정사의 웅장한 나무로 잘못 표기함)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CBbdJnEnudI"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기원정사의 연못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7sRHpP_H7e8"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기원정사(영상에서 죽림정사로 소개하지만 여긴 기원정사입니다.)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EMmB1WTgV-k"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서울미술관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84%9C%EC%9A%B8%EB%AF%B8%EC%88%A0%EA%B4%80 서울미술관] | ||
+ | == 전곡선사박물관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A0%84%EA%B3%A1%EC%84%A0%EC%82%AC%EB%B0%95%EB%AC%BC%EA%B4%80 전곡선사박물관] | ||
+ |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5%AD%EB%A6%BD%EC%88%98%EB%AA%A9%EC%9B%90_%EC%82%B0%EB%A6%BC%EB%B0%95%EB%AC%BC%EA%B4%80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2020년 3월 30일 (월) 20:36 기준 최신판
목차
서울공예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공예
[1] 공예란 실용적 가치와 미술적 가치를 가진 공작에 관한 기법 또는 조형예술을 뜻한다. 공예품은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제작되는 만큼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며, 사용하는 계층에 따라 품격의 차이가 생기고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를 달리한다. 또한, 시대 또는 지역에 따라 표현양식이나 제작기법에 차이가 생기고, 대외적인 교섭에 따라 외래양식의 수용·소화의 과정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공예작품에 사용된 재료는 금속·목칠·도토(陶土)가 주류를 이룬다. 이 밖에 유리○가죽○종이○실 따위도 더러 있지만 수는 많지 않고, 유리를 빼고는 중요성도 크지 않다. 우리 나라 공예품의 제작 목적은 대체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종교적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과 일상생활 용구로 제작되는 것이다. 종교적 행사라 함은 고대사회의 원시종교의식에 사용하던 각종 의기들을 비롯하여, 삼국시대 이후 불교행사에 사용하던 각종 도구들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모두 금속제품들이고 전체 공예작품에 비하면 많은 수가 아니다. 여기에 비하면 일상생활에 사용되던 용구들은 문화의 발달 정도나 시대적 성격에 따라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막대한 양이 제작되었고, 그들 하나하나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기호 또는 시대적인 풍속과 습관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우리 나라 공예품은 중국 공예품에서 느끼는 권위적이고 존대(尊大)한 점이나, 또는 일본 공예품에서 느끼는 가식적이고 기교적인 점이 없어 솔직하고 순박하며 순정적이라고 한다. 따라서 ‘무기교(無技巧)의 기교’니 ‘무계획의 계획’이니 하는 표현도 나오게 된다.
- 현대에 전통공예의 전승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 정책적으로 살펴보면 전통공예기법의 보존과 전승을 위하여 「문화재보호법」에서는 이들을 무형문화재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지정 대상은 나전장(螺鈿匠)을 비롯하여 낙죽장(烙竹匠)·조각장(彫刻匠)·화장(靴匠)·악기장·궁시장(弓矢匠)·채상장(彩箱匠)·소목장(小木匠)·장도장(粧刀匠)·두석장(豆錫匠)·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 등과 자수장(刺繡匠)·망건장·탕건장·한산모시짜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부문에 걸쳐 있다.[2]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없음
- 초대 관장: 김정화[3]
- 개관 전 학예직과 행정직: 약 30명[4]
기관 연혁
2020년 10월 완공 예정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175-2, 175-102번지 (현 풍문여고)
- 건물 구성
- 설계: (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_이용호
- 지역지구: 일반상업지역, 제 1종, 2종 일반주거지역, 학교용지
-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박물관)
- 대지면적: 12,823.6m2
- 건축면적: 3,614.38m2
- 연면적: 10,627.77m2
- 건폐율: 28.19%
- 용적률: 82.88%
- 규모: 지상 5층
- 구조: 조적, 철근콘크리트, 철골+보강
- 최고높이: 16m
- 주차대수: 106대
- 외부마감: 석재, 청고벽돌, 로이복층유리
- 프로젝트팀: 윤정준, 한승진, 신현수, 최시인
- 발주처: 서울특별시 도시공간개선단
[5] 서울공예박물관은 공예 네트워크를 컨셉으로 하여 과한 디자인보다는 비움을 채우는‘공 유 플랫폼’을 건축물의 내외부에 제안하였다. 핵심이 되는 두 가지 디자인적 요소는 지형 의 복원(Redemption of Topography)과 씽크탱크 플랫폼(Craft Hut)이다. 기존의 넓은 학교 운동장 영역 중 일부는 박석을 깔아, 종묘 정전의 월대를 연상케 하는 공간을 만들어 전통적 땅의 모습을 복원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는 광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별궁의 돌담은 그 변형을 최소화하되, 대지 내 은행나무 동산과 아트플랫폼을 방문객들에게 열어줌으로써 끊겼던 도시의 흐름을 이어냈다. 신축 건축물인 Craft Hut 또한 공간의 이용방식을 설계자가 한정 짓는 것이 아닌, 공예 박물관 이용자들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장치만을 제안하 였다. 낮에는 전시장과 연결되어 이용되고, 저녁에는 기증공예관의 카페와 연계해 늦게 까지 오픈되어 시민들과 작가가 만나 공감하고 토론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플랫폼으 로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6]
전시, 행사 목록
한국자수박물관으로부터 4,241건(5,129점)의 유물을 서울시가 기증받고, 서울시로부터 그 유물 5,129점을 받아 관리하고 있는 곳이 현재 서울공예박물관이다. 앞서 밝힌 바로 공예는 재료에 따라 금속공예, 목칠공예와 같이 분류를 달리한다. 금속·목칠·도토(陶土)그 밖에 유리○가죽○종이○실 등 종류가 다양한데 현재 서울공예박물관이 안고 있는 난제는 약 8400개의 유물 중 5,129점(한국자수박물관으로부터 기증받은)은 자수공예 유물인지라 전시가 자수공예 위주로 편향될 수 있다는 점이다.[7]
행사 및 사건 현황
2019.11.11 (장소)서울특별시청 3층 대회의실 (주최)서울공예박물관 (프로그램)박물관 시각장애인 전시 개발 관련 전문가 라운드 테이블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시각장애인 전시 개발
"우선 시각장애인들이 늘 다니는 박물관이 되면 좋겠습니다. 공예 자료는 손으로 만질 수 있을 겁니다. 한편으로는 소장품과 아카이브 자료를 축적하고 연구와 조사를 활발히 해 동양 최고의 공예박물관으로 부상하면 좋겠습니다."[8]
- 아카이브의 디지털화
그는 "아카이브는 작가 스케치, 도안, 작업 도구 등을 망라해 갖추고 디지털화해 공개할 것"이라며 "공예를 공부하는 후학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촘촘한 정보시스템을 완성하려고 한다"고 말했다.[9]
- 공예공방네트워크와 공예문화생태계 활성화
(재)서울디자인재단 시민디자인연구소는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공예재료의 물성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공예연구소, 누구나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생활 공예를 위한 평생학습의 공예교실, 우수한 공예품을 감상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예전시실, 모든 작가에게 열려있는 공예장터, 각 지역의 공방을 연결하는 친절한 공예공방네트워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접한 북촌공예마을과 지역의 공예가들과 연계하여 공예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예문화마당으로 조성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변 지역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하나의 ‘모둠체’로서, 보다 창조적인 연구와 창작을 견인하고, 공예문화의 생활화, 세계화, 미래화를 위한 자료실로서의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구상하였다.[10]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채보상운동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국채를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기 위하여 전개된 국권회복운동이다. 일본은 1894년 청일전쟁 당시부터 우리나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차관공여(借款供與)를 제기하여 두 차례에 걸쳐 각 30만 원과 3백만 원의 차관을 성립시켰다. 이러한 일본의 차관 공세는 1904년 제1차 한일협약 이후 더욱 노골화되었다. 이때 일본이 우리나라에 차관 공세를 펴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첫째는 한국의 재정을 일본 재정에 완전히 예속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차관으로 식민지 건설을 위한 정지 작업(整地作業)을 하자는 것이었다.
- 역사적배경
제1차 한일협약 이후 우리나라에 재정 고문으로 부임한 메카타(目賀田種太郎)는 1906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1,150만 원의 차관을 도입하였다. 제1차 차관은 1905년 1월 ‘폐정리자금채’라는 명목으로 해관세(海關稅)를 담보로 한 3백만 원이었다. 제2차 차관은 1905년 6월 우리 정부의 부채 정리와 재정 융통에 필요한 자금 명목으로 한국의 국고금을 담보로 2백만 원을 들여왔다. 제3차 차관은 1905년 12월 우리나라의 토착 자본을 일본 자금에 예속시킬 목적으로 금융자금채 150만원을 들여왔다. 제4차 차관은 1906년 3월 기업자금채의 명목으로 5백만 원을 들여왔다. 이러한 일본측의 차관 공세는 우리 정부와 민간의 경제적 독립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당시 우리나라의 토착 자본은 일본 차관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운동을 전개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 경과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29일(음력 1906년 12월 16일) 대구광문사(廣文社) 총회에서 광문사 부사장 서상돈이 1,300만원[11]에 달하는 국채를 모든 국민이 의연금을 모아 갚자는 제안을 함으로써 촉발되었다. 서상돈은 당시 2천만 국민이 담배를 석 달 동안 끊어 모은 돈을 각 60전씩 내면 1,300 만원의 국채를 갚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서상돈의 제안에 광문사 사장 김광제가 즉각 호응하고 참석한 회원들이 돈을 기부한 결과 그 자리에서 2천여원의 의연금이 모집되었다. 이후 김광제, 서 상돈, 박혜령 등이 발기인이 되어 2월 21일(음력 1월 9일) 대구민의소에서 단연회 창립총회를 열었 고 국채보상취지서 를 발표하였다. 같은 날 북후정(北後亭)에서 대구군민대회를 개최해 국채보상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알렸다.[12] 당시의 광문사는 지식인과 민족 자산가로 구성되어, 주로 실학자들의 저술을 편찬하고 신학문을 도입하여 민족의 자강 의식을 고취하고 있던 출판사였다. 또, 서상돈은 일찍이 독립협회 회원과 만민공동회 간부로서 자주독립 운동에 참여해 온 인사였다. 김광제ㆍ서상돈은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에 “국채 1천 3백만 원은 바로 우리 대한제국의 존망에 직결되는 것으로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인데, 국고로는 해결할 도리가 없으므로 2천만 인민들이 3개월 동안 흡연을 폐지하고 그 대금으로 국고를 갚아 국가의 위기를 구하자”고 발기 취지를 밝혔다.
- 1
취지문을 발표한 뒤 대동광문회(大同廣文會)주 01)는 민회소(民會所), 즉 단연회(斷煙會)를 설립하여 직접 모금 운동에 나섰다. 대동광문회의 국채보상운동 발기가 『대한매일신보』ㆍ『제국신문』ㆍ『만세보』ㆍ『황성신문』 등에 보도되자 각계각층의 광범한 호응이 일어났다. 서울에서는 2월 22일김성희(金成喜) 등이 국채보상기성회(國債報償期成會)를 설립하고 취지서를 발표하였다. 기성회는 회칙까지 제정하여 본격적인 운동의 채비를 갖추었다. 또, 수전소(收錢所)는 서점ㆍ약국ㆍ대한매일신보사ㆍ잡지사 등으로 지정하였다. 그 뒤 전국에서 ‘국채보상’의 이름을 붙인 20여 개에 달하는 국채보상운동단체가 창립되었다.
- 2
이들 단체의 운동은 국채 보상을 위한 계몽적 활동과 직접 모금 운동을 하는 실천적 활동으로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눌 수 있다. 운동에는 문자 그대로 각계각층이 참여하였다. 고종도 단연의 뜻을 밝혔고, 이에 따라 고급 관료들도 한때 소극적이나마 모금 운동에 참여하였다.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민족 자본가와 지식인층이었다. 상인들은 일본 차관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들이었기 때문에 인천ㆍ부산ㆍ원산ㆍ평양 등지에서 상업회의소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다. 지식인들은 각종 단체ㆍ학회ㆍ학교ㆍ언론기관 등을 중심으로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운동에는 신지식인뿐만 아니라 유림(儒林)과 전ㆍ현직 하급관리들도 각 지방에서 상민층과 함께 적극 참여하였다. 또, 이 운동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많은 부녀 층이 참여하여 각종 패물을 의연소(義捐所)에 보내 온 점이다. 그리고 노동자ㆍ인력거꾼ㆍ기생ㆍ백정 등 하층민들까지도 적극 참여하여 이 운동은 그야말로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되어 나갔다.
강원도 | 춘천군(3.26) 원주군(5.12) 추풍령(8.2) |
경상도 | 대구광문사(2.21) 동래부(3.10) 대구남일동(3.8) 국채보상경남찬성회(3.14) 국채보상경남상회(3.28) 창원, 마산항(3.29, 5.28) 청도군(4.4) 상주(4.9) 성주군(4.12) 의령군 덕곡서당(4.14) 부산항 죄천리(4.19) 경산군(4.28) 부산항 죄천리단연회(5.1)
현풍군(5.14, 5.26) 용궁군(5.14) |
경기도 | 안성군 서리(3.29) 수원(3.29) 포천(5.28) 강화군 외주동(5.29) 장단 |
충청도 | 보은(4.3) 청주군(4.19) 옥천(3.8, 4.4) 단천군 남문(4.14) 한산(3.17) 금산군(3.19) 덕산(3.20) 영동군(3.23) 진천군(5.19)
공주군(5.22) 제천, 호서협상회(5.19) |
전라도 | 국채보상의무소(전주·광주, 3.19) 진안 장수 양군(3.26) 군산항 객주상사(4.14) 장성군(5.2) 정읍(5.9) 제주군 신제면 상덕리(5.10)
부안군(6.1) 무장(6.30) 완도(7.5) 광주(7.5)구례(7.13) 해남(7.30) 무주(7.30) 태인 |
황해도 | 수안(3.15) 재령군(3.28) 은진(4.27) 안악군(5.7, 5.11) 은률군(5.28) 옹진(7.9) 장연 |
함경도 | 함흥군(4.7) 함흥군 북면(4.19, 5.24) 함흥주 북면 상동(4.23) 원산항(5.24, 5.25) 흥원군(5.29) 영흥(6.28) 경성(7.16) |
평안도 | 국채보상서도의성회(2.28) 국채보상의연권고회(3.1) 평양(3.21, 4.17) 한북국채보상단성회(3.21) 국채보상관서동맹(3.31)
정주군(4.11) 통진(4.11) 용천부(4.18) 중화군(4.20) 철산군(5.25, 5.30) 의주(6.26) 태헌(6.29) 영유(9.24) |
- 결과
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1907년 4월부터 12월까지였다. 특히, 6월∼8월에는 가장 많은 의연금이 모아졌다. 그러나 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운동주체역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1908년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운동을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꾸준히 추진해 간 중심체는 양기탁(梁起鐸)과 베델(Bethell, E.T.裵說)이 이끄는 대한매일신보사였다. 따라서, 이 운동은 사실 국권회복운동의 하나로서 전개되고 있는 셈이었고, 이에 일제는 갖은 방법을 다하여 방해, 탄압하려 들었다.
- 1
일제는 1907년 이후 베델을 국외로 추방하는 공작을 펴, 1908년 5월 3주(週)의 금고와 벌금형을 선고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7월통감부 당국은 “대한매일신보가 보관한 국채보상금을 베델ㆍ양기탁 두 사람이 마음대로 하여 3만원을 소비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양기탁을 구속해 버렸다. 이른바 일제는 ‘국채보상금소비사건(國債報償金消費事件)’을 조작한 것이다. 통감부의 공작에 따라 전 국채보상지원금 총합 소장이었던 윤웅렬(尹雄烈)은 “보상금 중 삼만 원을 영국인 베델이 사취하였으므로 그 반환을 요청한다.”는 반환청구서를 제출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이를 근거로 운동의 지도자들에 대한 불신감을 민중들에게 심어 주고자 하였다. 양기탁은 공판 결과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통감부의 공작으로 운동의 주체는 분열되어, 운동 자체가 암초에 부딪쳐 끝내는 종지부를 찍고 말았다.
- 의의
국채보상운동은 처음부터 순수한 애국 충정에서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서, 전국적인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때문에 일제의 방해ㆍ탄압 책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끝내 좌절되었던 것이다. 운동이 비록 좌절로 끝나긴 하였으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하나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13]
- 국채보상금 처리회(회장 유길준)는 각도 대표자회의를 통해 [의연금으로 장차 교육사업을 하기로 결의]하고 이식을 늘리는 방법으로 한강변의 좋은 농토를 사들이던 중 1910년 8월 29일 한일 합방의 국치를 맞았고, 모집한 의연금은 그 후 한국 국민들의 민립대학 설립운동의 재정적 기초가 되었다. [14]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http://www.gukchae.com/Pages/Main.aspx
- 관리대표인: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상임대표 신동학
기관 연혁
2011년 10월 5일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개관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지하2층, 지상2층(1,129.09㎡) -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영상실,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 회의실 등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전시, 행사 목록
- 국채보상운동기념물
행사 및 사건 현황
- 1.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
- 2.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MOU체결 및 자료 기증
- 3. 국채보상운동 지역연구 학술대회[15]
- 4.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경과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개관 의의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70번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기념관을 건축하여 국내의 많은 귀빈과 시민을 초청하여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 선각자들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계승하여 후손들에게 나라사랑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아카이브 구축
실학박물관
실학박물관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라 뽐내다니, 이런 어리 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야 말로 상인(商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 어 송곳같이 만드는 것은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 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 인가?”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자신의 소설 <허생전>에서 허생이라는 가상인물의 입 을 빌어 허례허식과 명분에만 치중해 있던 당시 지 배층의 세태를 풍자하고 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 (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을 겪으면 서 백성들의 삶은 극도로 피폐해졌다. 그러나 당시 지배층은 성리학(性理學)1중심의 정치질서를 극복하 지 못하고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기론(理氣論)2과 형 식적인 예학(禮學)에만 치중함에 따라 백성들의 실 생활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자 기반성적 비판의식은 ‘실학(實學)’이라는 새로운 풍 조의 학문을 탄생하게 한다. 즉, 실학은 조선후기의 새로운 시대적 변화를 의식하고 기존의 도덕관념으 로부터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학문이다. 2009년 10월 23일, 이러한 실학의 사상체계를 재해석하고 현대적으로 계승·발전하기 위 한 취지로 실학박물관경기도 남양주 소재이 문을 열었다. 박물관은 북한강 줄기와 고즈넉한 산의 아름다운 경관을 배경으로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유적지와 마주한 곳에 위치해 있다. 유적지에는 정 약용 생가인 여유당(與猶堂)과 다산의 묘 그리고 다 산기념관이 있어 실학박물관을 가기 전에 천재 실 학자의 업적과 자취를 엿볼 수가 있다.[16]
실학
18세기를 전후하여 새롭게 나타난 범유학적 탈성리학 경향을 가진 사회개혁사상. 오늘날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는 실학의 개념은 실학의 발생배경이나 학파에 대한 이해, 또는 실학과 성리학, 실학과 개화사상에 대한 관계 설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다. 현재 학계 구성원의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실학사상의 대체적 개념은, ’조선 후기 18세기를 전후하여 당시의 사회모순에 대한 반성의 결과로 새롭게 나타난 범유학적(汎儒學的) 탈성리학(脫性理學的) 경향을 가진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의 일종으로서, 민본(民本)과 위민(爲民)을 주창한 전근대적 사회개혁사상의 일종”으로 규정될 수 있다.[17]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http://silhak.ggcf.kr/
- 관장: 김태희
- 실학박물관 운영조직
기관 연혁
2009.10.23 박물관 개관식 및 개관특별전 - 김육과 대동법
2009.08.01 조직 구성 (2팀-학예팀, 행정지원팀)
2009.07.31 전시공사 준공
2009.06.26 건축공사 준공
2009.05.18 실학박물관 운영 규정 시행 규칙 공표
2009.03.09 초대 “안병직” 관장 취임
2009.02.27 실학박물관 운영 규정 제정 공표
2008.10 개관준비위원회 구성 (위원장 포함 5명)
2008.09.17 전시공사 착공
2008.09.01 개관준비팀 구성(팀장 포함 5명) 2008.08.18 전시업체 계약
2008.02.15 제2차 전시콘텐츠자문위원회 개최
2007.12.10 전시기획 워크샵 진행 (‘07.12.10/12.18/‘08.2.15 총 3회)
2007.11.30 전시콘텐츠자문위원회 구성 및 제1차 회의 개최
2006.03.17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2008.01.11 건축공사 재개
2007.10.16 최종 설계변경 완료
2007.03.22 문화재현상변경 허가사항변경 (기존 층고유지를 위한 층간조정)
2006.11.10 지하수 유출로 인한 공사 중지
2006.05.17 기공식
2006.03.17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2005.10.07 현상설계공모작 선정 2005.05 부지매입 완료 (부지매입비 - 19억 원)
2004.06.15 부지선정 등 건립계획 확정
2004.05.11 남양주 현 위치로 부지선정 (제7차 실학현양추진위원회)
2004.04.14 부지선정 용역 (‘04.02.14 ~ 04.14, 서울시립대 산업경영연구소)
2003.03.14 실학현양추진위원회 구성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실학박물관 위치
- 실학박물관 건물구성
전시, 행사 목록
# 1. 상설전시 실학박물관의 전시는 크게 3개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은 실학이 형성된 배경과 탄생, 제2전시실은 경세치용학(經世致用學)3, 이용 후생학(利用厚生學)4과 실사구시학(實事求是學)5 등 에 대한 설명을 통해 실학의 전개와 발전양상, 제3 전시실은 서양의 자연과학지식의 전래로 발전한 조 선시대 천문학과 지리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는 전반적으로 실학에 대한 개념설명과 실학의 전개과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전시된 유물은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의 『지봉유설 (芝峯類說)』,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의 『반계 수록(磻溪隧錄)』, 정약용의 『경세유표(經世遺表)』, 홍만선(洪萬選, 1643~1715)의 『산림경제(山林經 濟)』와 김정호(金正浩, ?~1864)의 <대동여지도(大 東輿地圖)> 목판본, 박규수(朴珪壽, 1807~1877)의 평혼의(平渾儀)평면의 원에 별자리를 표시하여 천문을 관측하는 기 구 등 그들이 창조하고 발견해 낸 발명품이 주를 이 루고 있었다. 그들의 연구결과가 기록된 전적류들 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어렵고 지루해서 관람객 들의 흥미를 끌기에 부족한 감이 있다. 이를 보완하 기 위해 실학의 형성배경과 천문지리 관련 영상자 료와 실학 디지털북, 어업과 해양에 대한 실학자들 의 관심을 테마로 한 <바다로부터 세계가 보인다> 3D 애니메이션, 해좌전도(海左全圖)6 입체지도 만 들기, 별자리 체험코너, 터치스크린 등의 설치를 통 해 전시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고 자 하였다. 덕분에 전시를 관람하는 어린이들 대부 분이 이러한 장치 요소 요소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8]
- 1.1 제1 전시실
“조선후기 변화상과 서양 문물의 전래 등 실학의 형성배경을 역동적으로 구성”
- 제1전시실은 조선 후기 실학의 형성과 탄생을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개혁과 농·상·공업의 발전으로 변화된 조선사회의 모습과 중국·일본으로부터 수용된 서양문물 등에서 실학의 형성과정을 찾도록 했다. 또 실학의 탄생에서는 실학의 선구 역할을 한 여러 실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18세기 실학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실학의 출발로 평가되고 있는 반계 유형원의 ‘반계수록’을 중심으로 초기 실학자들의 사회·경제 문제에 대한 개혁론을 조명하고자 했다.
- 1.2 제2 전시실
실학의 전개-“초·중등 교과서와 연계한 전시 구성”
- 제2전시실은 성호 이익에서 출발하는 실학을 중농학파, 중상학파, 실사구시파로 나누고 각 학파에 속하는 실학자들의 저술과 함께 초·중등학교 교과서 전 과목에서 실학 관련 내용을 추출·정리했다. 또 이를 회화·그림·애니메이션·영상 등 보조자료를 적극 활용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실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실학시대의 자아 발견을 전시·소개하는 ‘조선학’에서는 이를 역사·지리·언어생활·백과사전으로 세분해 소개하였다.
- 1.3 제3 전시실
실학과 과학- “실용적이고 근대적인 실학시대의 과학문화 전시”
- 제3전시실은 실학의 특징 중에서도 과학이라는 주제를 부각시켰다. 서양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실학자들이 당시 천문학과 지구의 자전 문제, 구형의 지구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하고 있었는지 각종 천문도와 천문관측기구, 마테오리치의 곤여만국전도, 정상기·김정호의 동국지도와 대동여지도로를 통해 볼 수 있도록 꾸몄다.
# 2. 특별전시 2017.12.01. 실학박물관 재개관
2017.11.14. 《창작판소리》 실학을 노래하는 문화 보부상
2017.11.04. 다산 정약용을 기리는 하피첩의 귀향
2017.11.02.~ 03. 다산의 얼을 찾아서 떠난 남도 일 번지 강진
2017.10.31. 2017 실학박물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실학벽화소풍’ 개막식 진행
2017.10.23. 실학박물관 8주년 기념행사 고유제
2017.10.13.~ 14.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실학” 국제학술대회 개최
2017.10.11. 실학박물관 경기도 양평 교육지원청 업무협약 체결
2017.09.25 홍대용 2017, 경계없는 사유, 특별전 개최
2017.09.16. 다산의 마음, 나무에 새기다. -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0호 이규남 서각장과 함께하는 문화 콘서트 -
2017.09.07. 다문화 여성을 위한 ‘실학생태소풍’ 프로그램 진행
2017.09.01. 실학스타일 어워드 제안공모 운영 . 내가 만드는 실학박물관! 건의사항(민원)을 냈더니 선물을 준다
2017.08.23. 박물관 직원, 자원봉사자 CS 교육 실시
2017.08.22.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실학벽화소풍” 진행
2017.08.15. 역사 작은 도서관과 함께하는 실학도서관 소풍, 부모와 함께 떠나는 실학도서관 소풍
2017.07.26 ∼28 실학박물관 역사문화 교원연수 프로그램 진행
2017.07.25. ∼10.14 2017실학캠프 마재마을+★☆이야기, 1박2일 실학켐프
2017.07.22. 실학박물관 여름방학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 海 자산어보’
2017.07.20.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업무협약 체결
2017.06.17. 실학가족소풍 ‘다산종부와 함께하는 우리 엄마는 실학자’
2017.06.09. 시각장애우와 함께하는 실학도서관 소풍, 실학여성공방 ‘여성, 나와 통하다.
2017.05.03 ∼06 오! 색다른 만족을 느꼈던 어린이날 행사, 실학소풍!, 실학, 예술소풍, 꿈을 그리다.
2017.04.22. 실학박물관 서포터즈 1기 봄소풍“실학박물관에 봄이 왔는가 봄!
2017.04.17. 여성, 실학과 통하다. 특별기획전 개막
2017.04.07. 다산 정약용 선생 서세 181주기 묘제 및 헌다례
2017.04.03. 놀자! 실학박물관-목민심서 책갈피 만들기, 바람개비 만들기, 제기 만들어 차보기, 종이접기
2017.03.29. 실학박물관 서포터즈 모집
2017.03.21. 2017 학교연계프로그램 실학연극소풍“새로움을 만나다” 시작했어요∼!
2017.03.17. 경기문화재단 . 은평구청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2017.02.23. 창작 판소리 ‘다산 정약용’
2017.02.09. 실학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 위촉장 수여식
2017.02.04. 새봄을 맞아 입춘첩을 나누어요.
2017.01.18. 도농도서관 연계 독서교육 프로그램 “별☆난 실학자의 별☆헤는 밤”
2017.01.16. 경기문화재단 신입직원 실학박물관과 실학생태공원 관람
2017.01.14. 2017년 새해맞이 손 글씨 달력 행사
2016.12.23. 다산이 들려주는 따뜻한 겨울
2016.12.20. 2017년 실학헤밀리와 연계사업 협의
2016.12.17. 조선후기 여성실학자 및 2017년 상반기 전시관련 실학학술집담회 개최
2016.12.16. 정약용을 기리는 다산 스토리텔링 콘서트
2016.12.15. 실학문화해설 자원봉사자 간담회 개최
2016.12.12.∼ 함께 만들어요! 우리가족 하피첩
2016.12.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의 MOU 체결
2016.12.02. 경기실학과 한강문화 콘텐츠 결과 보고회
2016.11.22. ∼12.04 2016년 한강 문화벨트 네트워킹-작은전시 Ⅱ“가을향기”전
2016.11.22. ∼12.02 마음에 쏙, 머리에 쏙, 하피첩, 열아홉의 끝에서 정약용을 만나다.
2016.11.16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염종현 위원장 외 5명 방문
2016.10.23. 소소한 난장 한마당 -실학박물관 개관 7주년 기념 행사
2016.10.18. 다산 공·렴 아카데미-'남양주 시장 청렴을 서약하다'
2016.10.17. 2016년 하반기 특별전 - “하피첩의 귀향” - 노을빛 치마에 새긴 다산 정약용의 가족 사랑
2016.10.13. 실학문화마을 만들기 . ‘고구마 체험’ 행사
2016.10.12. 실학박물관 지진대피훈련
2016.09.14.~ 18. 달님! 소원을 들어주세요!!
2016.09.02.~ 04. 다산문화제 “조선시대로의 여행”
2016.08.31. - 우리 생활 속의 화성 - “정약용과 화성”
2016.08.13. 우리가족 찾기 프로젝터 – 모래로 꿈꾸는 세상
2016.08.11. 정기준 서울대명예교수·정성희 실학박물관 학예사『유금의 아스트콜라보 연구』 공동 연구발표
2016.08.07. 실학한마당-핀버튼·제기 만들기, 나만의 부채 만들기, 마재마을에서 보내는 엽서
2016.08.06. 역사와 함께하는 문화공간, 마재마을, 오후의 풍류
2016.08.03. 조선시대로의 시간여행, 시끌벅적한 장터 속으로! 새우젓 사려~!!
2016.07.26.~ 29. 신(新) 암행어사 출두요!
2016.06.15. 2016년 폭력 예방 통합교육 실시
2016.05.31. “경기 청백리” 특별전 개최
2016.05.28.~ 29. 심쿵! 실학 별☆스테이
2016.05.23. “함께 만드는 추억”- 실학박물관 직원 CS 교육
2016.05.11. 실학박물관 상반기 소방춘련 실시
2016.05.07. 얼씨구! 좋구나! 전례놀이 한마당, 우리가족 행복찾기 프로젝트 – 매화병제도 만들기!
2016.05.05.~ 07. 어린이날, Go Go 실학박물관!!!!!
2016.05.05.~ 06. 다산선생과 함께하는 다도, 만들GO, 먹GO, 즐기GO, ‘마재마을’에서 보내는 편지
2016.04.07. “다산 정약용에게 배우는 오늘의 지혜” ~ 다산 정약용 선생 서세 180주기 묘제 및 헌다례 봉행
2016.04.01. 실학박물관장 장덕호 취임
2016.03.30. 서세 180주년 다산 정약용선생 추모제향
2016.03.08. 엄마.아빠! 공부는 왜 하나요?, 실학자가 알려주는 특급 공부비법 – 실학자의 관찰노트
2016.02.07.~ 10. “우리 우리 설말은 오늘 이래요~” 민속놀이 체험
2016.01.29. 김시업 관장님 송별회
2016.01.26. 한국남동발전 분당발전 본부 20여명 ‘다산 공·령 아카데미’실시
2016.01.21. 실학박물관 문화해설사 교육
2016.01.20. 2016년 실학훼밀리 정기총회
2016.01.17. 남양주소방서 서장 및 간부급 소방관 방문
2016.01.11. 경기문화재단 신입직원 현장체험 실학박물관을 익히다.
2015.12.15 ~ 2016.04.03 하반기 특별전 – “실학, 별의별 공부에 빠지다”
2015.11.27 ~ 11.28 국제학술대회 - “동아시아 실학”
2015.10.01 학술회의 – “사람과 땅, <택리지>가 그리는 인문지리”
2015.09.16 슬로시티 조안면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
2015.08.28 심포지움 - “손암 정약전과 현산어보”
2015.05.29 ~ 09.30 심포지움 - “소남 윤동규와 인천 도림동”
2015.04.02 한국남동발전(주)분당복합발전본부 청렴문화 활성화 협약
2014.12.17 실학문화 콘텐츠 서비스제공 및 홍보 협약
2014.11.25 심포지움 - “소남 윤동규와 인천 실학문화”
2014.11.21 ~ 2018.02.28 하반기 특별전 – “달력, 시간의 자취”
2014.09.18 남양주문화시설 공동홍보를 위한 협약
2014.07.17 학술회의 - “다산학단과 방산 윤정기”
2014.06.24 ~ 10.23 상반기 특별전 – “유배지의 제자들, 다산학단”
2014.05.22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청렴문화 활성화 협약
2014.05.13 선비, 그 시대 성찰과 역할 학술회의
2014.05.11 다산 특별전 업무 협약
2013.10.15 ~ 2014.03.30 안산시 성호기념관 순회전시, 성호 이익 서세 250주년 기념 “새로 보는 하늘 땅, 세계 – 성호 이익의 실학”
2013.10.10 실학박물관·파주시 공동 - <율곡학과 경기실학> 학술대회
2013.08.20 실학박물관 · 추사박물관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서 체결
2013.07.05 실학문화심포지움 개최 - “대동법 시행으로 조선을 살린, 잠곡 김육과 가평”
2013.06.28 성호 이익 서세 250년 기념 학술회의 - “성호학의 전개와 가학(家學)”
2013.04.26 ~ 2013.09.22 성호 이익 서세 250주년 기념 특별전 “새로 보는 하늘 땅, 세계 – 성호 이익의 실학”
2012.12.28 실학박물관 · 남양주시 실학문화 활성화 협약서 체결
2012.11.03 ~ 2013.03.17 하반기 특별전 - “순암 안정복, 우리역사이야기 <동사강목>”
2012.11.02 ~ 2012.11.03 순암 탄신 3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2012.10.08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학술회의 – “퇴계학과 근기실학, 그 계승과 극복의 전망”
2012.08.12 2012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 선정기념 학술대회 - “다산 사상과 서학(西學)”
2012.08.04 ~ 2012.08.05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행사 - “2세기만에 펼쳐지는 다산의 향연”
2012.07.11 경기경찰청 제2청과 교육 및 학술 교류를 위한 MOU 체결
2012.06.09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학술대회 – 다산 연구의 새로운 모색
2012.04.27 ~ 2012.10.03 다산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 - “다산, 한강의 삶과 꿈”
2012.03.30 실학훼밀리 창립총회
2012.03.27 <곤여만국전도> 복원 병풍 봉선사 기증식
2011.10.28 하반기 특별전 기념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와 조선후기의 세계관” 학술회의 개최
2011.09.30 하반기 특별전 - “곤여만국전도, 세계와 우주를 그리다”
2011.07.01 상반기 특별전 기념 “조선후기 유서(類書) 저술과 <성호사설> 학술회의 개최
2011.06.15 다산정원 준공 허가
2011.05.13 ~ 2011.09.13 상반기 특별전 - “성호 이익의 세상만물 새로보기”
2010.10.30 하반기 특별전 기념 학술회의 - 연행의 문화사
2010.10.30 ~ 2011.02.28 하반기 특별전 - 연행, 세계로 향하는 길
2010.09.04 상반기 특별전 기념강연 - 다산 실학사상의 철학적 기반 (송재소)
2010.07.01 야간개장 개시 (21시까지 개장)
2010.06.19 상반기 특별전 기념 학술회의 - 조선의 목민학 전통과 목민심서
2010.06.12 상반기 특별전 기념강연 - [경세유표]와 개혁사상(김태영)
2010.06.12 ~ 2010.10.03 상반기 특별전 -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2010.03.04 교육프로그램 개시 (어린이, 가족, 청소년, 성인, 교원, 공무원프로그램)
행사 및 사건 현황
- 1. 유물구입
2008.12.18 2008년 구입 유물 (252점)
2008.08.19, 2008.05.21, 2007.06.11 포저 조익 가문소장 위탁 (240점)
2008.06.30 일본 대표실학자 미우라 바이엔 <현어도> 최초 복원 (1점)
2007.10.24 잠곡 김육 가문소장 기증 (14점)
2007.06.29 일본 국립구주대박물관 소장유물 시볼트 석판화 복제 (4점)
2007.02.07 동경대 오가와 하루히사 명예교수 소장 (9점)
2006.12.22 일본 난학 및 실학 관련 유물 구입 (46점)
2006.05.17 연암 박지원 및 환재 박규수 가문소장 기증 (78점)
2005.09.03 혜강 최한기 가문소장 기증 (195점)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미션: 실학정신 보급으로 도민의 문화욕구 충족에 기여
- 비전:경기실학문화 체험을 통한 실학정신의 생활화
- 핵심가치: WITH
- 실학문화의 체험으로 21세기 자아의 세계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열린 박물관 지향
Workforce (전문성), Integrity (청렴), Together (고객지향), Harmony (일체감)
- 전 략
- 전략목표 1. 실학전문박물관으로 특성화
- 과제1. 실학담론의 형성 및 한국실학문화 선도
- 과제2. 콘텐츠 개발과 실학문화의 자원화
- 과제3. 청렴 연수 대표기관으로 위상 제고
- 전략목표 2. 실학의 대중화
- 과제1. 기획전 개최를 통한 관람객 확보
- 2. Eco-뮤지엄 활성화
- 과제3. 지역문화 인프라 구축과 활성화
- 전략목표 3. 경기 동북부 생활문화의 허브
- 과제1. 실학관련 자료의 허브
- 과제2. 경기도민의 문화사랑방
- 과제3. 서비스 개선과 홍보활성화
- 실행과제
전시운영, 기획전시 개최, 상설전시실 운영 및 개선, 교육/체험, 청렴연수-다산공렴아카데미, 맞춤형 상설 교육프로그램, 1박2일 실학캠프, 문화계 종사자 실학기행
- 1.학술
원천 소스 개발과 교양총서 간행 실학문화심포지움 개최
- 2. 소장품 관리
소장품 관리 및 DB구축
- 3. 관람객 서비스
박물관 종합 홍보 문화해설 자원봉사자 운영 실학도서관 운영
- 4. 특별사업
한강문화밸트 프로젝트 실학교육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실학문화마을 만들기
국립여성사전시관
국립여성사전시관
여성
인간을 성(性)에 따라 나눌 때 남성에 대응하는 여자를 이르는 사회학용어.여자.[19]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http://eherstory.mogef.go.kr/
- 관장: 정영훈
기관 연혁
2002 05전시내용 및 기본 설계 용역
08실시설계 용역 12여성발전기본법 제34조에 따라 여성사전시관 개관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국립여성사전시관
- 국립여성사전시관 건물 구성
전시, 행사 목록
2019 022019년 특별기획전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개막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기념 제 7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연계 그림공모전 개최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업무협약(MOU) 체결
032019년 특별기획전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개막
‘연합뉴스’와 업무협약(MOU) 체결 2019년 서울전 <여성독립운동가 공감∙기억 그리고 미래> 개막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1차 ‘대한독립여자선언서와 여성들’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1호) 발행
04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2차 ‘의병장 윤희순과 안사람의병가’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3차 ‘만주지역의 여성독립운동가:허은,이은숙,김성녀’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4차 ‘열혈지사 남자현의 삶과 투쟁’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5차 ‘미주지역의 여성독립운동’ 4월 문화가 있는 날 : 작은 음악회 ‘서울대학교 중창단’
05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고양어린이박물관 잔디마당
순회전시 <세계여성박물관> 정부지방고양합동청사 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 고양시건강가정지원센터 ‘모두가족어울림한마당’ 참가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6차 ‘사회주의자 이동휘와 이인순∙이의순’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7차 ‘중국에서 활동한 여성독립운동가’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8차 ‘계몽을 위한 고투 : 차미리사와 최용신’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9차 ‘여자광복군과 대한독립전쟁’ 대중강연회<여성독립운동가, 새롭게 이해하기> 10차 ‘박물관에서 여성독립운동가의 재현과 과제’ 국립여성사전시관 상반기 자원봉사자 정기답사 : 인천 강화도 5월 문화가 있는 날 : 안혜경 콘서트
06순회전시 <여권통문> 도봉구청 로비갤러리
순회전시 <여성, 3.1만세운동의 전면에 나서다> 고양시 여성커뮤니티센터 순회전시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김포시아트홀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개강 및 1강 : 의병장 윤희순과 「일생록」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2강 : 여성독립운동가 최선화와 「제시의 일기」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3강 : 「대한독립여자선언서」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4강 : 여성독립운동가 이은숙과 「서간도시종기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2호) 발행 6월 문화가 있는 날 : 토크콘서트 ‘뤽상부르의 여인들’
07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수원시가족여성회관 갤러리
순회전시 <여권통문> 전라북도 고창군 동리국악당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5강 : 여성독립운동가 허은·김성녀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증언」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6강 : 여성독립운동가 정정화와 「장강일기」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7강 : 「근우회 춘천지부 명단」 2019 상반기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8강 및 수료식 : 여성독립운동가 지복영과 「민들레의 비상」 7월 문화가 있는 날 : 서클댄스 ‘평화의 춤, 여성의 춤’ 2019년 국립여성사전시관 제6기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08한국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여권통문’ 기념 표석 제막식 (2019.09.30)
제19회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KOWIN) 주제전시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충청북도 청주시 그랜드플라자호텔 순회전시 <오늘, 위대한 여성독립운동가를 만나다> 정부지방합동고양청사 순회전시 <한국 근대여성운동의 역사적 기원지를 찾아서> 신한은행백년관 순회전시 <여권통문> 북촌문화센터
09특별기획전 <여성, 세상으로 나가다:여성 직업 변천사 100년>
9월 문화가 있는 날 : 전시커뮤니케이션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9.3호) 발행
1010월 문화가 있는 날 : 정오의 콘서트 ‘시대를 빛낸 여성들, 사랑에 빠지다’
국립여성사전시관 하반기 자원봉사자 정기답사 : 인천 개항장 일대
1111월 문화가 있는 날 : 이이남 작가와 함께하는 미디어아트
2018 02평창 특별순회전 <여성체육, 평화의 새 지평을 열다> 개막
033월 문화가 있는 날 : 약속큐브 만들기
2018년 상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1호) 발행
4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팝업카드 만들기 4월 문화가 있는 날 : 이혜경 특별강연 ‘여성문화예술!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
05세계박물관의 날 기념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개막
고양 순회전시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5월 가정의 달 행사 : 모두가족어울림 한마당 ‘우리 옷 만들기’ 5월 문화가 있는 날 : 황길남 특별강연 ‘여성장인의 삶과 일’
066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금관 만들기
고양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양성평등주간 순회전시(의정부) <경계를 넘어선 여성들>
07양성평등주간 순회전시(도봉구)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제 6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1강 ‘음식디미방-조선시대 여성의 요리책’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2호) 발행 7월 문화가 있는 날 : 선덕여왕 금관 만들기 고양 순회전시 <세계의 여성박물관>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2강 ‘규합총서-19세기 조선 여성이 구축한 지식세계와 살림’ ‘신(新)여권통문’ 문구 공모전 개최
08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3강 ‘분재기-조선시대 여성의 소유권’
2018년 특별기획전 <오늘, 여권통문을 다시 펼치다> 연계 심포지엄 개최 2018년 특별기획전 <오늘, 여권통문을 다시 펼치다> 개막
09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4강 ‘박가분-여성의 화장문화’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5강 ‘여권통문-1898년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
10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3호) 발행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6강 ‘딱지본과 제국신문-근대여성과 인쇄매체’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7강 ‘잡지<별건곤>-근대 여성의 꿈과 애환을 엿보다’ 2018년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2018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 제 8강 ‘최승희 유물-20세기를 빛낸 무용가, 최승희의 삶과 예술’ 10월 문화가 있는 날 : 유물이름 낱말퍼즐 완성하기, 신라 금관 만들기
11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제9강 ’영화<미망인>-한국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작품’
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제10강 ’여성컬렉션 경매-경매히스토리로 본 여성유물과컬렉션 이야기’ 2018년 유물과 함께하는 여성사아카데미 수료식 11월 문화가 있는 날 : 유물이름 낱말퍼즐 완성하기, 신라금관 만들기
12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8.4호) 발행
2017 022월 문화가 있는 날: ‘여성과 가족 그리고 문화가 있는 날’
032017년 상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고양시내 박물관 관련 12개 기관 MOU 체결 전시관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3월 문화가 있는 날: ‘박태성과 호랑이’ 동극 감상과 실내놀이 체험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1호) 발행
4월 문화가 있는 날: 당당하고 안전한 부모 성인지 교육
05기증전 <어머니의 유산>
5월 문화가 있는 날: 손바느질 태교체험
066월 문화가 있는 날: 손바느질 태교체험 07일본군‘위안부’ 서울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일본군‘위안부’ 전주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2호) 발행
7월 문화가 있는 날: ‘혼자하는 엄마노릇’에서 함께 하는 ‘사회적 모성’
08일본군‘위안부’ 대전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일본군‘위안부’ 대구 순회전시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개막
09제5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9월 문화가 있는 날: 매일유업 ’맘스쿨‘과 함께 하는 문화가 있는 날
10특별기획전 <여성, 체육의 새 지평을 열다> 개막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3호) 발행
10월 문화가 있는 날: 장희빈 다시보기
11국립여성사전시관 박물관포럼 라운드테이블 개최 제5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시상식 및 전시연계 강연회 개최
11월 문화가 있는 날: 매일유업 ’맘스쿨‘과 함께 하는 문화가 있는 날
122017년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7.4호) 발행
2016 02문화가 있는 날 : 전시관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04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6.1호)발행
2016년 국립여성사전시관 대학생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국립여성사전시관 SNS이모티콘 공모전 조화벽, 유우석 유물 기증식 개최
4월 문화가 있는 날 : 여성사전시관이 추천하는 미니도서전
066월 문화가 있는 날 : 전시관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07국립여성사전시관 뉴스레터(2016.2호)발행 082016 국립여성사전시관 기증전 "가죽가방의 주인, 여성독립운동가 조화벽 지사"
2016 국립여성사전시관 특별기획전 "가족과 함께한 출산과 양육의 역사"
09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뇌과학이 밝혀낸 태교이야기" (9.20) 9월 문화가 있는 날 : 큐레이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10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사랑의 임신 출산" (10.10)
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진정한 자녀사랑" (10.18) 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한국역사를 통해 본 태교와 출산의 의미" (10.27)
11전시연계 강연회 안내 "한국역사를 통해 본 태교와 출산의 의미" (11.1)
2015 01제2기 대학생 홍보 서포터즈 발대식
02지역학교 대상 자유학기제 연계프로그램 설명회 제9회 한미여성리더십세미나 ‘역사 속 여성찾기, 여성 속 역사찾기’ 033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 여성독립운동가 사진전
제4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04인문학콘서트 : 우국지정 찔레꽃 : 논개와 계월향 05인문학콘서트 : 일편단심 민들레 : 여성들의 독립운동
077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 방학맞이 가족 애니메이션 상영 제3기 홍보서포터즈 발대식 082015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독립을 향한 여성영웅들의 행진 09인문학콘서트 : 고향에 돌아온 환향녀, 화냥년이 되기까지 10인문학콘서트 : 멈춰버린 시간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212월 문화가 있는 날 : 국립여성사전시관 2015 특별기획전 되돌아보기
2014 04제3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07여성주간 기념 특별기획전 08제1기 국립여성사전시관 공식 서포터즈 발대식 09이전 개관식
· 이전 개관 특별전 '북촌에서 온 편지, 여권통문' 개막 · 상설전 '과거를 담아 미래를 열다'
09인문학콘서트 : 일편단심 민들레 : 여성들의 독립운동
·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 고려시대 국제무역과 여성의 경제활동
10‘색복 장려 깃발’ 등록문화재 제 615번 지정 여성사인문학콘서트: 유학의 가치를 실현한 조선의 여성 11여성사인문학콘서트: 고향을 찾은 여성운동 선구자 차미리사
2013 03여성사인문학콘서트 여성독립운동가 사진전<그날의 기억>
04제 2회 팝여성사 UCC 공모전 개최 05상설전 '엄마의방', 기증유물실 신설
여성사인문학 5월 콘서트 - 이땅에 여성으로 산다는 것
07여성사인문학 7월 콘서트 - 웅녀의 사랑 07여성주간 기념 특별기획전 <여성의 사회참여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이끌다>
· 1부:엄마의 소녀시대–잡지<여학생> · 2부:내일을 향해–여성직업의 변천사 · 3부:꿈을 이룬 여성-지역을 빛낸 역사 속 여성인재
09여성인문학 9월콘서트 - 그리스로마신화 : 여신들의 인문학 이야기 11특별기획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억을 넘어 평화를 품다> 12여성발전기본법 제34조 삭제
여성발전기본법 제32조의2(여성사박물관의 설립·운영) 신설
2012
03소장유물전 <모던걸의 자존심, 가방>
04제1회 팝여성사 UCC공모전 개최 06여성사연표 제작·설치 07개관1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여성사전시관 새로운 10년을 열다’개최
개관1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세상의 중심에서 여성이 말하다>
12기증유물전 <추억과 기억>
2011 02상설전시관 재정비
04소장유물전 '직업부인 블루스 : 1920~30년대의 슈퍼우면 이야기'
중고교 학교연계 창의적 체험학습활동 '옛날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05여성사강좌'여성,직업부인이 되다' 07특별기획'한 컷으로 다시 보는 여성과 일' 10주제기획전'다시,날다'
라운드테이블 '여성사 아카이브의 현황과 과제'
2010 04소장유물전 ‘서울로 간 순이’展
06순회전시 ‘여성과 이주’(한신대 신학대학원)
주제기획전 ‘이걸로 밥벌이를 계속할 수 있을까?’展
08대관전시 ‘귄신뎐’展
순회전시 ‘이걸로 밥벌이’(서울여성회 ‘여성문화축제’)
10소장유물전 ‘엽서로 보는 여성의 삶’展 11특별기획전 ‘워킹 맘마미아:그녀들에게는 모든 곳이 현장이다’展
2009 03봄맞이展 - 7인의 여성작가전 학교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 ‘전시관에 낙서하다, 우리가!’ 여성사 기획강좌
06특별기획전 - 여성과 노동, 일상 새로운 상상
기관연계 방문교육
09교사 직무연수
2008 04여성사 기획강좌
05학교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 '꿈을 찍는 사진사'
학교교사를 위한 여성사교육 여성사 기획강좌
06특별기획전 - 여성과 이주, 100년간의 낯선 女‘行 08건국 60년 특별기획전 <여성 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10건국 60년 특별기획전 전국 순회전 실시(인천, 대구, 광주, 경남, 전북)
단기기획전 - 나와 ‘우리나라’ 이야기 애니메이션 상영회 - 헤쳐걷기
2007
04단기특별기획전'1950년대 여성지를 펼치다 - 미제, 비로도, 신식을 욕망하다 II'
학교연계체험교육 프로그램 '목소리를 들려 주세요'
05중등교원 대상 여성사 워크샵 06특별기획전 '선-녀 傳' 07여성사 기획 강좌
2006 06학교연계체험교육 프로그램 '여성역사로의 유쾌한 여행'
07특별기획전 '사라지는 여자들 - 음사열전(淫祀列傳)'
상설전 프로그램 소장유물전 '거리에 서면 전부 여인네뿐이로세 - 1950년대 여성 삶과 이미지'
08여성문화해설사 양성과정 09청소녀 특별 프로그램 '나를 여성이게 하는 세월의 힘'
2005 05여성사 체험 프로그램 '사라본 할머니의 살아 본 이야기'
06특별기획전 '내일이 오면... Will You Love Me Tommorrow' 08방학 특별 프로그램 '성인지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워크숍'
청소녀 성인지 미디어 제작 워크숍 '카메라로 보는 여성의 역사
09여성사 강좌 '신여성' 운영 12특별기획전 '팬지꽃 아픔 : 한국의 산업화와 여성 그리고 여성 노동자
2004 07특별기획전 '근대교육과 여성문화 : 여성, 배움을 통해 세상을 그리다'
10복합문화교육프로그램 '징검다리' 운영
2003 07제8회 여성주간 특별기획전 <가족과 호주제 : 호주제 폐지, 행복한 가족으로 가는 지름길>
12양성평등 체험프로그램 운영
개관 1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여성의 힘, 일상의 창조성'
행사 및 사건 현황
- 1. 국내의 여성 관련 유물 및 자료들을 수집
현재 수집된 소장품의 수는 약 6,600점이며, 여성의 의식주 등에 관한 생활용품과 역사, 정치, 문화, 경제, 사회 등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 2. 상설전시[20]
</gallery>
- 3. 여성사 자료실 운영
인물연구
여성독립운동가
구술자료
도서자료 및 영상자료
여성사자료
- 4. 교육프로그램
- 5. 문화행사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 여성사박물관 특성화 고안 자료[21]
- 1. 세계여성박물관네트워크(women in museum)
논문 참고[22]
세계의 여성박물관 현황
세계의 여성박물관 현황 부표는 논문 참고[23]
- 1. 국내와 해외 여성박물관 비교
우란문화재단
우란문화재단
성장가능성이 있는 인재가 스스로 콘텐츠의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재단.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http://www.wooranfdn.org/main.jsp
- 재단 대표: 최기원 이사장
기관 연혁
우란문화재단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친인 우란(友蘭) 박계희(1935~1997) 워커힐미술관 관장의 이름을 따 지난 2014년 설립됐다. 문화·예술 분야 인재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설립 후 4년 동안은 서울 용산구 동빙고동에 있다가 지난해 10월 성수동에 신사옥을 짓고 이전했다. 지상 12층~지하 6층, 연면적 1만5,248㎡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1970년대 산업화의 흔적과 수공예 공방의 자취를 남기고 있는 투박한 주변 건물들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24]
2012년 행복나눔재단 문화사업팀에서 블랙박스 극장인 ‘프로젝트박스 시야(SEEYA)’에서 다양한 공연인력 육성 및 콘텐츠 개발사업을 거쳐, 2014년 행복나눔재단에서 독립하였다. 본격적으로 ‘인력 육성-콘텐츠 개발-인력과 콘텐츠의 확장’이라는 사업목표 아래, 공연뿐만 아니라 전시분야에서문화인재들이 발을 붙이고, 좋은 콘텐츠가 더 많은 사람과 만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 2018년 성수동으로 사옥을 이전하면서 기존과 다르게 전문인력 육성사업인 ‘우란 이상’과 콘텐츠 기획사업 ‘우란 시선’으로 나누어졌다.[25]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우란문화재단
- 건물구성
재단은 성수동으로 이전하면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동네 특성에 녹아들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했다. 한때 공업지역이었던 성수동은 최근 청년 예술가와 디자이너 등이 몰리면서 젊은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지역 중 하나로 떠올랐다. 기존 공장·창고를 리모델링해 지역 특색을 살리면서 새로운 시도를 이뤄내는 중이다. 재단도 비슷한 방향의 조화를 원했다. 주변과의 ‘관계성’을 중점적으로 고민한 프로젝트다. 건물 사이에 골목길을 둬 사람들이 오갈 수 있도록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독특하게 생긴 건물 외관은 공간을 ‘수직적 연장’하는 콘셉트다. 주변 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자칫하면 주변과 단절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큰 건물을 주변 건물과 비슷한 크기의 작은 덩어리 수십 개로 쪼갰다. 작은 블록 여러 개를 입체적으로 쌓은 것처럼 보이도록 하고 모든 공간에는 발코니를 둬 건물을 잘게 분절시켜 보이도록 했다. 일반적인 노출 콘크리트 처리와 다르게 고밀도 스티로폼 몰드를 이용해 수직으로 홈을 파 가까이서 봤을 때 웅장한 스케일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했다.
‘텍스처(질감)’도 중요한 요소다. 공장지대였던 성수동 일대는 공장·창고·주택 등 각 건물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풍성한 질감이 조화를 이룬 곳이다. 김 대표는 “우란문화재단 프로젝트를 맡은 후 성수동의 질감을 포용하는 식으로 갔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냈고 재단도 동의했다”며 “새 건물이지만 원래 이곳에 있던 건물처럼 보이고 싶었다. 외벽의 홈은 건물 근처 창고의 질감을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층부의 공장 모양 건물 또한 공장지대였던 성수동의 특색을 반영한 디자인이다. 바뀌어 가는 성수동의 향수이면서 가벼운 위트를 담은 수사적 표현인 셈이다. 문화·예술이라는 새로운 ‘상품’이 생산되는 곳이라는 의미도 담겼다. 기본적 역할은 나뉘어 있지만 특정 공연이나 전시에 국한하지 않는 멀티 플랫폼 형태다. 공연장으로 쓰이는 2경은 무대와 객석이 고정돼 있지 않아 어떤 형태의 새로운 공연도 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오피스 공간은 외부와 마찬가지로 성수동의 지역적 특색이 묻어나도록 디자인했다. 1층 로비 외벽은 철판을 접어 공업지역의 느낌이 나도록 표현했다. 천장은 기본적으로 노출형으로 둬 각종 파이프와 배선이 그대로 보이도록 했다. 공업지대의 레트로한 감성을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
오피스 공간에는 우란문화재단 사무실뿐 아니라 설계를 맡은 더시스템랩도 입주했다. 입주사들은 지하 1층의 입주사 전용 식당을 비롯해 12층의 펍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12층의 펍은 오후 영업시간 전까지 회의 공간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각기 다른 업체들이 입주한 공간이지만 건물 전체를 다 사용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들도록 설계했다. 공간마다 발코니를 둔 것은 건물 외부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를 기대해서다. [26]
- 건축개요
전시, 행사 목록
행사 및 사건 현황
- '우란 이상'과 '우란 시선'으로 재정비
기존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시야 플랫폼’, ‘시야 스튜디오’, ‘시야 플레이’, ‘시야 스테이지’로 크게 4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시야 플랫폼’과 ‘시야 스튜디오’가 ‘우란 이상’의 카테고리로 들어가면서 기존의 프로그램명은없어지고 연구지원과 프로젝트 개발의 두 카테고리로 세분화되었다. 나머지 ‘시야 플레이’와 전시 사업이 공연과 전시라는 카테고리로 ‘우란 시선’으로 정리되었다. ‘시야 플랫폼’은 문화예술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육성 사업 으로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특강 및 워크숍을 통해 아이디어의 현실 가능성을 타진하고 창작의 원동력을 발견 하는 리서치랩 및 레지던시 프로그램이다. ‘시야 스테이지’는 개발 단계부 터, 리딩, 트라이아웃 공연에 이르기까지 콘텐츠 전 과정을 지원하여 작품 을 개발하고 무대화하는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이다. 장르 및 형태 제한 등 기존의 정해진 기준과 틀에 맞춘 개발을 넘어 실질적인 창작자의 창작 환경을 개선하고 콘텐츠에 가장 적합한 개발 과정을 통해 창작공연의 활 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졌다. ‘시야 플레이’는 관객에게 보다 다양한 공연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기획 프로그램이 고, ‘시야 스테이지’는 시야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연인력 및 콘텐츠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그들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 그램들이 ‘우란 이상’과 ‘우란 시선’으로 나누어지면서 사업이 재정비되었다.[27]
1. 우란 이상[28] ‘우란이상’은 최초의 영감에서 발아된 씨앗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문화예술 인력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공연예술개발, 레지던스연구 그리고 시각예술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각 분야의 인재들이 자유롭게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으로 아이디어의 현실가능성을 타진하고 직접 실현해보는 과정을 지원합니다.
- 1. 공연예술개발
대본을 창작하고 내부 리딩으로 가능성을 확인하며 트라이아웃 공연의 형태로 개발의 과정을 공유하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공연예술 분야의 예술가에게 무형의 아이디어가 유형의 무대예술로 구현되는 창작의 과정을 함께 고민하는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 2. 레지던스연구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연구 방식으로 다양한 예술에 대한 고찰과 개념 확장을 고민하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문화예술 인력의 예술적 성장을 위한 주제 발견을 독려하고 지식을 넘어 실험과 비평이 가능한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3. 시각예술연구
소장품을 매개로 참여자의 연구 주제를 확장하고 실험해보는 인력육성 프로그램입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예술 작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탐구하고 실천적 태도를 공유하는 협력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우란 이상 - 연극
- '우란 이상'을 통해 만들어진 연극&뮤지컬
‘우란 이상’의 전신이었던 ‘시야 플랫폼 : 작곡가와 작가’는 뮤지컬 작곡 가와 작가의 지속적인 창작 작업을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으로 소재개 발(리서치 랩 및 오픈 클래스). 작품개발(마스터 클래스), 작품녹음(레코 딩)에 이르는 창작 전 과정을 교육한다. 약 6개월간의 기간 동안 이루어 지며, 오픈 클래스는 리서치 랩과 더불어 필라테스와 심리 테라피로 이루 어졌다. 필라테스, 심리테라피 수업은 작품 준비단계에서 창작 활동에 중 요한 신체와 정신 건강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다른 팀원들과 경쟁이 아닌 동료로서의 유대감이 강하게 생 긴다. 마스터클래스는 각 분야의 전문가와 창작랩이 진행되었는데, 극/작 사 부문은 배삼식 작가, 작곡 부문은 이지혜 작곡가가 맡았다.53) 매주 작 업 결과물을 사람들 앞에서 나누는 수업으로 일주일에 한 곡을 쓰든 세 곡을 쓰든, 대본을 몇 장을 쓰든 자기가 한 걸 발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 졌고, 전문가, 동료들과 작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수정 보완하는 과정 을 가진다. ‘시야 스튜디오’의 경우 실연이 가능한 결과물을 향해 창작자 가 긴 호흡을 놓치지 않고 달려갈 수 있게 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그 결과물을 창조해 내기 위해 창작자에게 필요한 제반 사항을 되 도록 규제 없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여 제공한다. 소재 개발부터 트라이아웃 공연까지의 제작 기간을 약 1년 6개월에서 2년으로 잡는다. 소재 선정에만 2~3개월이라는 시간을 충분히 배분하는데, 창작자가 어떤 이야기를 왜 하고 싶은지, 반드시 지금 해야 하는 이야기인지 등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29]
- 시야 스튜디오
우란문화재단은 시력이 미치는 범위라는 뜻(시야: 視野)과 또 만나자는 뜻(See ya: Seeyou)을 중의적으로 의미하는 블랙박스형태의 공연장 ‘프로젝트박스 시야 (Projectbox SEEYA)’28)를 기반으로, 콘텐츠 기획부터 육성·제작, 확장까지 각 단계별로 지원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있다. [30]
2. 우란 시선[31] ‘우란시선’은 문화예술계에 새로운 흐름과 방향을 제시할 콘텐츠를 우란문화재단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선보이는 기획 프로그램입니다. 상업적 논리에서 벗어나 열린 시각으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공연 프로그램과 전통 공예를 되새기며 오늘날 공예의 가치를 현대적 시각으로 담아내는 전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1. 공연
장르와 소재, 표현 방식에 제약을 두지 않고 문화예술계가 필요로 하는 역량 있는 작품들을 선보이며, 예술가와 기획자가 관객을 만나 소통하고 교감하는 과정을 통해 모든 참여자가 우란의 시선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 2. 전시
전통 공예의 미감을 바탕으로 동시대 공예의 조형적, 사회적 함의를 시각예술로 제시하여 잊혀 가는 전통 공예를 장인들의 작업 과정에 대한 존중으로 되새기고, 폭 넓은 해석으로 공예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악기
운영 단체
- Official website: 없음
- 초대 관장:
기관 연혁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오르페오 음악 박물관
전시, 행사 목록
행사 및 사건 현황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관심 있는 전시 주제
1. 서울공예박물관
기획 시 고려사항
다음 1.~3.의 항목은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시 심사위원이 제시한 심사기준을 참고하여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들의 심사기준은 첫 번째, 도시적 관점에서 율곡로3길(감고당길)과 윤보선길, 각 길로 연결되는 주변 주요 역사문화자원 관계의 재해석이며, 두 번째, 대상지내 기존 건축물의 유지 범위에 따른 리모델링 방향, 마지막으로 박물관의 기능성 구현과 박물관으로의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평가했다. [32]
- 1. 도시적 관점에서 율곡로3길(감고당길)과 윤보선길, 각 길로 연결되는 주변 주요 역사문화자원 관계의 재해석
심사위원회는 서울공예박물관 설계당선작이 대상지의 여건과 근대부터 현대까지의 시간의 흐름을 현시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는 설계안이었으며, 주변 도로 및 부지와의 연계를 지혜롭게 해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건축물의 외형적 과시를 절제하고 근대의 흔적을 담아낸 계획이라고 밝혔다.[33]
- 2. 기존 건축물의 유지 범위에 따라 리모델링을 거친 전시관이라는 점을 유념
- 3. 박물관의 기능성 구현과 박물관으로의 접근 방법
또한 어색한 현대건축(정보관)을 단순화 시킨 점이 돋보이면서도 부속건물과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고, 박물관의 기능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관람객 동선을 효율적으로 계획했다. 1개의 큰 건물동이 아니라 분절된 저층(진입층)으로 제안하여 편안한 건축 규모를 제시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34]
- 4.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감전시의 유연한 진행
- 5. 세계 각국의 공예품 전시(해외전시 기획)의 유연한 진행 예)서울공예박물관-베트남민족학박물관, 공동연구·전시교류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221_0000926632&cID=10201&pID=10200
- 6. 전시, 연구, 교육, 유통 기능의 독립적인 시설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생활문화적 공예개념과 지역생산시스템을 접목한 공예문화마을 개념의 박물관을 지향하는 바[35] 북촌과 율곡로3길, 윤보선길과 세계문화유산이 된 명소를 서울공예박물관과 흐름을 함께하는 하나의 시나리오로 엮어 공예 스토리텔링을 만들어야 한다.
해외 선례
일본 국립공예관
일본 국립공예관 web site: http://www.pref.ishikawa.jp/kikaku/kogeikan/top.html
- 1. 도쿄국립근대미술관의 부속기관 공예관이 가나자와 이시가와현의 공예관과 합일
- 2020년 도쿄올림픽 개시 이전 여름 개관하는 일본 공예박물관에 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의 공예품이 이시가와현의 旧第九師団司令部庁舎&旧金沢偕行社에 옮겨가고 ‘국립공예관’으로 합일한다.
国の地方創生施策の一環である政府関係機関の地方移転として、東京国立近代美術館工芸館が石川県金沢市に移転します。国立工芸館は、日本で唯一の国立で工芸を専門とする美術館であり、石川県への移転により日本海側初の国立美術館が誕生します。 工芸振興のナショナルセンターとして、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の作品約1,400点をはじめ、現工芸館が所蔵する日本の工芸の歴史を語るうえで欠かせない美術工芸作品約1,900点以上が東京から移転します。 作品の展示や収蔵に必要な環境を整えるための準備期間を経て、2020年の東京オリンピック開催前のオープンを目指しています。
- 2.공예기술기능자, 인간국보(공예기술) 보호와 지역경제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 내 공예기술 육성&전승
石川県の特徴: 日本伝統工芸展入選者数 17年連続 全国第1位(人口100万人当たり)/ 人間国宝(工芸技術保持者)数 全国第1位(人口100万人当たり)
- 3. 일본 국립공예원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겐로쿠엔 주변의 문화의 숲兼六園周辺文化の森'
- 국립공예원
国立工芸館の移転先となる、金沢市の「兼六園周辺文化の森」は、兼六園を中心とする半径1kmの範囲の中に、藩政期から近代に至るまでの各時代の歴史的建物や文化施設が集積した文化ゾーンです。 重要文化財であるいしかわ赤レンガミュージアムや、円形のデザインが有名な金沢21世紀美術館などが建ち並び、アーキテクチャーツーリズム(建築観光)としても魅力的なエリアです。 国立工芸館の移転により、藩政期からの石川県ゆかりの美術工芸品を扱う石川県立美術館をはじめとする周辺文化施設とあわせて、日本の工芸の全ぼうを一堂に鑑賞できるエリアが誕生します。
- 4. 일본 국립공예원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다국어 번역과 나레이션의 '소개영상'(중국어, 한국어 지원. 영어지원이 없는 것이 아쉬움)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904&v=4taJ48tt4Ho&feature=emb_title
- 5. 일본 국립공예원 내부 구조
- 6. 일본 국립공예원 건축방식 (살릴 수 있는 옛 건축의 부자재는 그대로 살린다)
第九師団司令部庁舎과 金沢偕行社의 移築. 第九師団司令部庁舎은 師団司令部의執務室로 사용되었었고, 金沢偕行社는 陸軍将校의社交場으로 사용되어왔던 공간으로 두 건물 모두 메이지 때 육군의 사용 건물로 그 가치를 높이 사 국가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된 상태이다. 건물을 해체할 때 이축(移築), 활용하는 부재 중 아직 사용가능한 부재는 재사용하였고, 외벽의 색이 바랜 경우 옛 건물의 건축 당시의 색으로 복원하여 이축 후 건물이 이질적인 색감을 띄지 않도록 작업하였다.
- 両建物は、明治期に建てられた旧陸軍の施設であり、ともに国登録有形文化財です。
建物の解体にあたっては、移築・活用する部材を一つ一つ丁寧に取り外し、使用可能な部材については再利用しました。解体作業の中で、外壁や窓枠の色が建設当時と異なっていることがわかりました。移築に合わせて当時の色に戻し再現することで、文化財としての価値がさらに高まると期待されます。
- 7. 일본 국립공예원 소장품(主な移転作品)
도쿄국립근대미술관 소장의 작품이 이시카와 현의 국립공예원으로 이전. 일본예술원회와 인간국보의 작품 1,400점 소장
- 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の作品約1,400点を所蔵.
東京から、重要無形文化財保持者(人間国宝)や日本芸術院会員が制作した作品(約1,400点)をはじめ、現工芸館が所蔵する美術工芸作品約1,900点以上が移転します。
日本の工芸の歴史を語るうえで欠かせない作品が移転し、常設展や企画展が開催されます。
- 7-1. 한국의 서울공예박물관 소장품
- 8400점도 많은 수량의 유물이다. 유물의 수량보다 양질을 더 중요시한다면 유물 수량이 적어도 괜찮지 않을까? 위의 일본 국립공예원의 경우 소장품 수량이 1,400점이라고 대중에게 공개하였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일본 국립공예원보다 6배 되는 유물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2017년 유물 4000점을 수집하겠다며 예산 72억원을 편성했지만 고작 600점을 수집하는 데 그쳤다. 시 관계자는 "조상이 쓰던 물건을 가져와 공예품이라며 구매해달라는 경우가 많았다"며 "박물관에 넣을 만한 수준의 유물을 찾기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박물관은 지난해 별세한 허동화 한국자수박물관장이 평생 모은 자수 5000점을 기증하면서 유물 8400점을 가까스로 모았다.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
- パリ工芸博物館
서울공예박물관의 기증공예관이 과학관으로 나와 있는데,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https://www.arts-et-metiers.net/)을 참고한 후 한국의 공예관 소속의 과학관은 어떤 범주를 명확하게 정하고 대중에게 소개할 것인지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 조선의 과학사가 담긴 공예품일까? 그러한 공예품이 빛이 나게 조영되려면 어떤 전시공간에 마련되어야 하며, 특정 전시공간과 전시의 목적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방문자가 즐길 수 있는 전시노선이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전시기획과 의도에 맞추어 가장 효율적인 전시 경로를 짜 보고 그것을 디지털화 한다면 어떨까?
다시,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Musée des Arts et Métiers)의 이야기로 돌아가면 이곳은 과학기술을 응용한 기계를 제작하는 행위를 ‘공예’로 범주를 굳히고 운영하는데 파리 앵발리드 군사박물관과 비슷하면서도 또다른 느낌이 있다. Musée des Arts et Métiers는 푸코의 진자[36] (지구의 자전을 증명)의 원형과 뤼미에르 형제의 영사기가 전시되는 곳이다. 군사가 입은 갑주든 뤼미에르의 영사기든 사람의 손을 거친 공예품이고 재료의 집합 또한 교집합의 범주에 더 들어간 것이 많음은 분명한데 공예품이 만들어진 의도에 따라 어느 공예품은 군사박물관으로, 어느 공예품은 기술공예박물관으로 간다. 한국에 만약 이와 같은 공예박물관(기술공예관)이 생긴다면 군사품을 위한 공예와 인류의 진보를 일으킨 공예품을 함께 전시할까 따로 전시할까? 함께 전시한다면, 어떤 구조의 전시관을 갖추고 있을까? 그에 따라서 전시노선(디지털 큐레이션)도 팔색조로 변하지 않을까? 파리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곳이 루브르, 오르셰, 기멧, 앵발리드 군사박물관(나폴레옹의 무덤이 있는 곳),Musée des Arts et Métiers(국립기술공예박물관)이다. 서울공예박물관이 많은 사랑을 입어서, 언젠가 서울공예박물관의 부속 과학관에 한-프 교류전시로 국립기술공예박물관의 유물이 전시된다면 어떻게 전시기획을 해야 할지 생각해본다.
- 파리 국립기술공예박물관(Musée des Arts et Métiers)의 전시품(기술공예의 예)
사진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17-25.
위 사진은 에너지와 기후변화 교육과 학교 밖 과학관에서의 교육에 관한 연구를 위해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을 답사하고 전시관 내 에너지와 관련된 기술공예품의 일부를 소개한 것이다. 연구자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온도계, 라부아지에의 실험실, 사이클로트론, 볼타전지 등과 같은 에너지 관련 전시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열에너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는 17세기에 만들어진 갈릴레이 온도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온도계가 전시되어 있었고, 라부아지에가 연소이론, 질량보존의 법칙 등을 발견할 때 사용했던 기구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중략) 에너지 관련 전시물 이외에도 푸코의 진자, 빛의 속력 측정장치, 파스칼의 계산기 등 과학적으로 가치 있는 실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37]
- <http://www.khss.or.kr/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사학회의 학술지에는 한국의 과학사에 대해 심층깊게 논하는 양질의 논문이 나온다. 한국의 전문학술지와 해외 기술공예박물관에서 발행하는 도록이나 학술지를 참고하여 해외 기술공예박물관과의 특정 주제를 통한 전시 접점을 찾아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아래는 한국과학사학회에 각각 '에너지', '공예', '기후', '계산'을 검색해본 결과이다.
한국과학사학회 Web site: http://www.khss.or.kr/
외국의 공예박물관
- The following museums were selectedas notable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crafts: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UK2) ; Museum fur Kunsthandwerrk in Frankfurt, Germany3) ;Les Arts Décoratifs in Paris, France4) ; Museo Del Vetro in Venice, Italy5) ; The Museum ofArts and Design(MAD) in New York, USA6) ; and The Japan Folk Craft Museum in Tokyo,
Japan7).
- For those specializing in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 residencies, the following were selected: The Craft Museum of Finland8) ;The Hangzhou Arts and Crafts Museum of China9) ; and the Museums Quartier Vienna of Austria10).
출처: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5-56
국내의 공예박물관
출처:김영남, 조현신 (2008). 공예박물관의 현대적 특성과 이용의미(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0
나의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기준
- 1. 건물 구성 살펴보기
전시관은 글자 위에 건축되지 않았다. 건물을 가지고 땅 위에 건축되었다. 그래서 지면 위에 어떤 도면을 가지고 설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디지털 큐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이다. 건축도면은 전시품의 종류와 전시 기획에 따라 전시 노선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는 점, 전시 목적에 따른 전시공간의 특이점 발생을 고려해서 제작된다.
- 2. 전시관을 효율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도면을 참고
그러나 전시 경로를 기획하든 전시물을 어떻게 배치하는지는 건물이 설립된 이후의 학예사들의 몫이고, 건축도면에는 해당 건물의 건립 의도, 기관의 창립이념이 민낯처럼 드러난다. 대학으로 치면 건학이념이 구체적인 형상을 갖추고 드러내는 것이고, 박물관으로 치면 기관의 건립목적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 민낯을 살려서 전시 경로를 기획하고, 전시물을 배치하는 것을 궁리하는 것이 전시기획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전시기관이 개관하게 된 목적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의 기준으로 삼을 것이다.
- 3. 디지털 스토리텔링
2020년 여름 개관 예정의 이시가와현 일본국립공예관을 선례로 보면, 본 기관을 나무의 기둥으로 두고, 주변의 공원, 돌담길과 숲길, 영빈관, 박물관, 미술관, 유서 깊은 건물, 유동인구가 많았던 거리를 나뭇가지로 만든 형태로 보인다.
- 나무의 기둥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뭇가지들의 형상은 지역경제활성화와 공예산업단지 조성에 큰 기여를 하고, 지역주민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생생하게 읽어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국립공예미술관 또한 주변의 세계문화유산지정지, 주민들의 손때가 묻어나는 거리, 기념관, 미술관, 박물관, 공보문화관, 북촌의 역사를 한 흐름(국립공예미술관으로부터 000에서 000으로~)에 놓고, 하나의 시나리오로 살려야 한다. 다른 개체와 맺는 relation 가지가 많을수록 시나리오는 풍부해진다. 그 과정에서 공예사업장이 상생하고, 공예나 미술기관이나 시청의 도움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유연하게 국립공예미술관의 프로젝트에 자문을 넣을 수 있도록 오픈 프로젝트의 자리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궁리 중인 기획
(차후 업데이트 예정) 디지털 전시, 3D 영상제작
주석
- ↑ 서울공예박물관
- ↑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공예
- ↑ 서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에서 문학과 미술사학을 공부한 김 관장은 박물관 연구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종로구 평창동 김종영미술관,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에서 기획을 담당했다.
- ↑ 건강한 공예 생태계 구축을 위해 김 관장은 박물관 설립 초기에 기초를 내실 있게 다지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례적으로 개관 전에 학예직과 행정직 약 30명을 서울공예박물관 업무에 배치했다.
- ↑ 사진출처: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38-45.
- ↑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41.
- ↑ 서울시는 2017년 유물 4000점을 수집하겠다며 예산 72억원을 편성했지만 고작 600점을 수집하는 데 그쳤다. 시 관계자는 "조상이 쓰던 물건을 가져와 공예품이라며 구매해달라는 경우가 많았다"며 "박물관에 넣을 만한 수준의 유물을 찾기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박물관은 지난해 별세한 허동화 한국자수박물관장이 평생 모은 자수 5000점을 기증하면서 유물 8400점을 가까스로 모았다. 공예박물관이 아니라 자수박물관이 된 것이다. 개관 일정도 지난해 9월에서 오는 2020년 5월로 1년 반이나 늦춰졌다. 출처:박원순표 4000억 박물관 사업, 하루 관람객 40명… 25명…
- ↑ 출처:"공예는 시대 산물…제작과정 아우르는 박물관 만들 것"
- ↑ 김 관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분류표에 공예라는 항목이 없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직 중에 공예 담당이 거의 없다"며 "일상적인 공예가 일상적이지 않은 활동으로 취급됐고, 제대로 된 대접도 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 ↑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2
- ↑ 당시의 대한제국은 1905년 통화단위를 원에서 환으로 바꿨다. 따라서 1907년의 국채는 1,300만환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이 해를 돕기 위해 원이라는 통화단위로 표기한다. 1,300만원을 현재 시세로 정확히 환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물가를 단순 비 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당시 한 달 담배 값이 20전, 신문 한 달 구독료가 30전, 주사 월급이 15원 정도였다고 하니 이를 기준으로 단순 환산해 보면, 1,300만원은 7천억 원에서 1조 3천억 원 정도가 된다.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
- ↑ 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
- ↑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채보상운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국채보상운동&ridx=0&tot=1334
-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http://www.gukchae.com/Pages/gukchae_0203.aspx
- ↑
- ↑ 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실학&ridx=0&tot=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실학
- ↑ 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여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7%AC%EC%84%B1&ridx=0&tot=512
- ↑ 김진경. "영화내러티브 및 연출기법 분석을 통한 국립여성사 박물관 전시계획에 관한 연구" VOL.- NO.- (2016)
- ↑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
- ↑ 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
- ↑ 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
-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WP2RLER 진동영.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서울신문
- ↑ 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
-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WP2RLER 진동영.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서울신문
- ↑ 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
- ↑ http://www.wooranfdn.org/program/end_list.jsp 우란문화재단
- ↑ 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
- ↑ 김진희. "국내 뮤지컬 창작 지원 사업 현황 연구" VOL.- NO.- (2016)
- ↑ http://www.wooranfdn.org/program/end_list.jsp 우란문화재단
- ↑ 서울시는 종로구에 위치한 풍문여자고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공예의 전통과 현대를 종합하는 공예 전문 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한 설계공모 실시 결과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의 이용호 외 2인(중앙대 송하엽, 경희대 천장환)이 참여한 ‘Craft Ground’ 가 당선작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참가등록이 총87팀(국내 54팀, 국외33팀)이었으며, 총21팀(국내 14팀, 국외 7팀)이 작품을 제출하여 심사를 거쳤다. 심사위원회는 건축·도시·운영 분야의 총8인(예비심사위원 1인 포함)으로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인철((주)아르키움건축사사무소)을 비롯해 신춘규(씨제에스건축사사무소), 이영범(경기대학교), 이소진(아뜰리에 리옹 서울), 정석(서울시립대학교), 김홍남(이화여자대학교), 최은주 (경기도미술관), 예비심사위원 오동희((주)간삼건축사사무소) 등이 참여하여 심사를 진행했다. 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
- ↑ 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
- ↑ 출처: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
- ↑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2p
- ↑ 1851년 푸코는 진자의 진동면 회전을 통해서 지구의 자전을 증명할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판테온의 거대한 돔 중앙에 67 m나 되는 긴 쇠줄에 28 kg짜리 추를 달고 진자 실험을 했다. 이때 사용한 진자가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의 별관에 전시되어 있다. 푸코의 또 다른 업적 중 하나인 빛의 속력 측정실험장치도 발견할 수 있다. 푸코 피조의 측정방법을 개량하여, 톱니바퀴 대신에 거울을 회전시켜서 더 정밀하게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 방법으로 푸코는 물속에서의 빛의 속력도 구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물속에서의 빛의 속력이 진공(공기) 중에서의 빛의 속력보다 작다는 것을 발견하여 굴절현상을 빛의 입자성으로 설명한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빛의 본성에 대한 입자성, 파동성의 논란에 답을 주는 계기를 만들었다. 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22-23.
- ↑ 출처: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23-24p
참고문헌
서울 공예박물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showroom/list/757
한국과학사학회 Web site: http://www.khss.or.kr/
"공예는 시대 산물…제작과정 아우르는 박물관 만들 것" YNA 2020-01-08 박상현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7164900005?input=1195m
서울공예박물관, 시각장애인 위한 박물관 전시개발 2019-11-07 Newsis 윤슬 기자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107_0000822579&cID=14001&pID=14000
박원순표 4000억 박물관 사업, 하루 관람객 40명… 25명… 2019.01.30 이해인기자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30/2019013000192.html
허동화·박영숙 자수박물관장 부부 유물 5,000여점 기증 "어머니 염원 닮은 자수, 공예박물관서 반짝일 것" 2018-05-17 서울경제 김정욱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RZKGWOW0N
서울시, 서울공예박물관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라펜트. 2016-12-08 신혜정기자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8085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1-61.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2017). 서울공예박물관. 월간 컨셉, (222), 38-45.
이봉우, 김희경. (2015). 프랑스 ‘파리국립기술공예박물관’ 전시물 사례 연구 :에너지와 관련하여. , 5(1), 17-25.
최정심, 강병길, 신윤재, 김아인. (2015). Research on the program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 10(2), 51-61.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건축설계>
어느 건축사무소의 도안을 채택했는지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공식 홈페이지에서 찾아보기 어려웠으므로, 현지답사에서 알아보기로 결정.
- 1. 최재현. (2008).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합동건축사사무소. 월간 컨셉, (107), 146-149.
- 2. 김진식, 이창환, 최영원, 현택수. (2008).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토담종합건축사사무소 + 경일대학교. 월간 컨셉, (107), 142-145.
- <학술논문>
- 1. 주형일. 2019.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대구경북연구18, no.2:21-40
- 2. 한상구. 2015. 12.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전개양상 연구. 인문연구(7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3. 심상훈. 2015.12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성산이씨 홍와고택」 자료로 본 국채보상운동의 단면. 동아인문학 33, pp. 341-371. 동아인문학회.
- 4. 카와이 아사오(河井朝雄) 저 / 손필헌 역.1998. 12. 30 대구 이야기(大邱物語). 대구 중구 문화원.
실학박물관
1. 김래영. (2010). 개방성과 다양성을 담은 실학박물관. 플랫폼, (), 96-99.
2. 이관직. (2005). 경기도 실학박물관. 월간 컨셉, (79), 138-143.
3.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채보상운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국채보상운동&ridx=0&tot=1334
4. 실학박물관
국립여성사전시관
1. 양애경. 2012. 여성사전시관 혁신운영-(가칭)국립여성역사박물관으로의 발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2012, no.0:1-150 https://www.nkis.re.kr:4445/searchResult.do?menuNo=201001&kwd=%EC%97%AC%EC%84%B1%EC%82%AC%EC%A0%84%EC%8B%9C%EA%B4%80 국가정책연구포털에서 논문다운 가능합니다.
2. 정숙영. "초등역사교육에서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적 문해력 신장 방안" VOL.- NO.- (2014)
3. 김진경. "영화내러티브 및 연출기법 분석을 통한 국립여성사 박물관 전시계획에 관한 연구" VOL.- NO.- (2016)
4. 국립여성사전시관 http://eherstory.mogef.go.kr/PageLink.do
우란문화재단
이선민. "국내 창작뮤지컬 지원사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VOL.- NO.- (2019)
김진희. "국내 뮤지컬 창작 지원 사업 현황 연구" VOL.- NO.- (2016)
진동영. 2019-07-31[건축과도시-우란문화재단] 옛공장의 질감 그대로...성수동 풍경에 녹아든 문화·예술 플랫폼. 서울신문
오르페오 악기 박물관
- 항목
틀
- 개념(용어) - 이 페이지에서는 대상 자원의 범주를 정립하는 것으로 이해. ex)서울공예박물관, 국채보상운동기념관 ect
- 인물, 기관, 단체(人事) - WHO
- 연대, 시간 - WHEN
- 위치, 장소 - WHERE
- 기록물(00전시관의 이전 전시목록, 전시정보, 참고문헌 등) - WHAT
- 사건, 행사 - HOW (사건의 진행과정)
- (설립)목적, (창립)이념 - WHY
틀 적용
- 개념(용어) - 이 페이지에서는 대상 자원의 범주를 정립하는 것으로 이해. 중요 키워드의 개념(괄호) 소개. ex)서울공예박물관(공예), 국채보상운동기념관(국채보상운동) ect
- WHO 운영 단체
- WHEN 기관 연혁
- WHERE 위치(지도)와 건물 구성
- WHAT 전시, 행사 목록
- HOW 행사 및 사건 현황
- WHY 설립이념과 발전계획 체계
Basic Technology References
Maps
- lat& lon
- 서울: 37.549802, 127.089717
- 서울공예미술관: 37.576736, 126.983365
- 실학박물관:37.515978, 127.300654
- 국채보상운동기념관:35.869093, 128.601806
- 국립여성사전시관:37.635754, 126.834219
- 우란문화재단:37.543808, 127.054324
- 오르페오악기박물관:37.345584, 127.111338
동영상 테스트영상
- 2주 동안 인도에서 불교성지순례 겸 위빠사나 수행을 다녀왔을 때 찍은 영상입니다.
- 2주간 '수면시간 3시간 30~ 4시간 + 버스로 평균 10~12시간 이동'으로 인한 육체적 피로의 여파일까 기원정사를 죽림정사로 잘못 소개한 영상이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인도의 행상인
- 짜파티 만드는 주방
- 짜파티 구워보아요
- 바라나시
- 녹야원
- 기원정사의 웅장한 나무(유튜브에는 죽림정사의 웅장한 나무로 잘못 표기함)
- 기원정사의 연못
- 기원정사(영상에서 죽림정사로 소개하지만 여긴 기원정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