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화속 화문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__NOTOC__ | ||
+ | {{clickable button|[[강화도_화문석]]}} | ||
+ | |||
+ | |||
=='''개요'''== | =='''개요'''== | ||
초상화 속에는 화문석을 배경으로 있는 인물들이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화문석의 대략적인 디자인을 확인해볼 수 있다.<br/> | 초상화 속에는 화문석을 배경으로 있는 인물들이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화문석의 대략적인 디자인을 확인해볼 수 있다.<br/> | ||
14번째 줄: | 18번째 줄: | ||
*[[File:00544867601_20151127.jpg|200px]] 이명기 혹은 버금가는 화원. 보물 제1480호, 심환지(1730-1802) 초상 | *[[File:00544867601_20151127.jpg|200px]] 이명기 혹은 버금가는 화원. 보물 제1480호, 심환지(1730-1802) 초상 | ||
*[[File:Yi_San-hae.jpg|200px]] 작자 미상, 아계 이산해 영당에 봉안, 이산해(李山海)[1539~1609],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7호, 남이공(南以恭)[1565~1640]이 이산해에 대한 찬사를 적어 놓은 것으로 미루어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원본으로 추정. | *[[File:Yi_San-hae.jpg|200px]] 작자 미상, 아계 이산해 영당에 봉안, 이산해(李山海)[1539~1609],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7호, 남이공(南以恭)[1565~1640]이 이산해에 대한 찬사를 적어 놓은 것으로 미루어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원본으로 추정. | ||
+ | [[File:진재해_필_유수_초상.jpg|200px]] 진재해, 유수 초상, 보물 제1176호. 1726년 작. | ||
*[[File:작자.jpg|200px]] 작자 미상, 보물 제1177호, 오명항 초상(1673∼1728), 영조 연간에 제작. | *[[File:작자.jpg|200px]] 작자 미상, 보물 제1177호, 오명항 초상(1673∼1728), 영조 연간에 제작. | ||
*[[File:htm_20040430214720a000a100-001.jpg|200px]] 강세황, 선조 7남 인성군의 증손자인 밀창군 이직의 부인 오씨 초상화, 1759년 | *[[File:htm_20040430214720a000a100-001.jpg|200px]] 강세황, 선조 7남 인성군의 증손자인 밀창군 이직의 부인 오씨 초상화, 1759년 | ||
+ | *[[File:Ohri_Yi_Won-ik_of_1580.jpg|200px]]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오리 이원익 영정, 40대 무렵으로 추정 (18세기에 모사한 모사본), 이원익 영정 3본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양식. 1573년 성절사의 질정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올 때 그린 도상이 아닌가 생각. 당시 우리 나라 초상화의 전형적인 도상이나 화법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그 원본은 중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많다고 생각된다 | ||
*[[File:강현1.png | 200px]] 강현(1650-1733) 작가 미상 / 작은 도트로 이루어진 깜찍한 문양의 화방석이다. | *[[File:강현1.png | 200px]] 강현(1650-1733) 작가 미상 / 작은 도트로 이루어진 깜찍한 문양의 화방석이다. | ||
*[[File:Kim_Jeong-hui.jpg| 200px]] 이한철 작, 김정희(1786 ~ 1856), 1857년(철종 8)작,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 | *[[File:Kim_Jeong-hui.jpg| 200px]] 이한철 작, 김정희(1786 ~ 1856), 1857년(철종 8)작,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 | ||
24번째 줄: | 30번째 줄: | ||
*[[File:Joseon-Portrait_of_Heungseon_Daewongun-06.jpg|200px]] 흥선대원군 | *[[File:Joseon-Portrait_of_Heungseon_Daewongun-06.jpg|200px]] 흥선대원군 | ||
*[[File:고종어진1.png|200px]] 채용신 작, 고종어진 (1901) | *[[File:고종어진1.png|200px]] 채용신 작, 고종어진 (1901) | ||
− | *[[File:Portrait_of_Hwanghyeon.jpg]] 채용신 작, 황현 | + | *[[File:Portrait_of_Hwanghyeon.jpg|200px]] 채용신 작, 황현 |
− | *[[File:87fe1eb79a13bddac84f12addd10dcd2.jpg]] 채용신 작, 최익현 | + | *[[File:87fe1eb79a13bddac84f12addd10dcd2.jpg|200px]] 채용신 작, 최익현 |
*[[File:Yi_Saek.jpg|200px]] 목은(牧隱)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 이색 초상 유래는 허목(許穆)의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에 자세히 전하는데 허목 당시에는 원본인 정장관복본이 전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되찾아 왔으나 훼손이 심하여 이모(移模)하는 등 여러 곡절을 거쳐, 현재 남아있는 목은 영정은 모두 이모에 이모를 거듭하여 내려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모를 통해 전하여지기는 했지만 권근의 찬문이 쓰여진 애초의 원본이었던 영락 갑신년(永樂 甲申年, 1404년)의 도상형식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 *[[File:Yi_Saek.jpg|200px]] 목은(牧隱)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 이색 초상 유래는 허목(許穆)의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에 자세히 전하는데 허목 당시에는 원본인 정장관복본이 전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되찾아 왔으나 훼손이 심하여 이모(移模)하는 등 여러 곡절을 거쳐, 현재 남아있는 목은 영정은 모두 이모에 이모를 거듭하여 내려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모를 통해 전하여지기는 했지만 권근의 찬문이 쓰여진 애초의 원본이었던 영락 갑신년(永樂 甲申年, 1404년)의 도상형식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 ||
+ | *[[File:작자1.jpg|200px]] 미상, 이숭인 초상(1347∼1392), 조선 후기 | ||
*[[File:초상화6.png |200px]] 검단사 검단조사 진영 | *[[File:초상화6.png |200px]] 검단사 검단조사 진영 | ||
*[[File:서산대사 18세기.png|200px]] 서산대사 진영(18세기로 추정) | *[[File:서산대사 18세기.png|200px]] 서산대사 진영(18세기로 추정) | ||
32번째 줄: | 39번째 줄: | ||
*[[File:153301216316566.jpg|200px]]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File:153301216316566.jpg|200px]]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
*[[File:153301218619630.jpg|200px]]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File:153301218619630.jpg|200px]]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
+ | *[[File:99475_19251_2227.jpg|200px]] 춘앵무 속 화문석 | ||
+ | *[[File:dance01.jpg|200px]] 춘앵무 속 화문석 | ||
+ | *[[File:dance02.jpg|200px]] 춘앵무 속 화문석 | ||
+ | *[[File:dance03.jpg|200px]] 춘앵무 속 화문석 | ||
+ | |||
2019년 8월 19일 (월) 15:44 기준 최신판
개요
초상화 속에는 화문석을 배경으로 있는 인물들이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화문석의 대략적인 디자인을 확인해볼 수 있다.
또한 화문석은 아니지만, 의자에 앉아 있는 발 아래로 화방석이 보여지는데, 모양이 화문석과 유사하다.
해설
초상화 속에 화문석을 특히 잘 담은 초상화가는 조선 정조 시대의 이명기이다. 그의 그림 여러 곳에는 다양한 문양의 화문석이 등장한다.
- 이명기작, 보물 1477-1호 부채와 행낭을 든 시복본 체제공 초상 (정조 1792) / 선명한 기하학적 문양에 파랑색을 두른 화문석으로 젊은 감각이 돋보이는 디자인이다.
- 이명기 추정, 보물 1477-2호, 체제공 사실적 묘사가 뛰어난 금관조복본 보물 1477-2호 1784년.
- 이명기, 보물 1477-3호 체제공, 부여 도강영당에 모셔진 흑단령포본, 1792년 추정
- 이명기작, 유언호 초상 (정조 1789) / 큰 실타래 같은 모티브와 방향을 나타내는 듯 보이는 기하학적인 문양이 어우러져 어른스러운 느낌을 주는 디자인이다.
- 이명기작, 강세황 초상 (정조 1783) / 화문석은 봉황 혹은 거북이 문양과 사이로 도트문양 등이 있고 화방석은 꽉 찬 만화석에 푸른단을 대어 무게감 있는 디자인이다.
- 이명기 혹은 버금가는 화원. 보물 제1480호, 심환지(1730-1802) 초상
- 작자 미상, 아계 이산해 영당에 봉안, 이산해(李山海)[1539~1609],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7호, 남이공(南以恭)[1565~1640]이 이산해에 대한 찬사를 적어 놓은 것으로 미루어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원본으로 추정.
진재해, 유수 초상, 보물 제1176호. 1726년 작.
- 작자 미상, 보물 제1177호, 오명항 초상(1673∼1728), 영조 연간에 제작.
- 강세황, 선조 7남 인성군의 증손자인 밀창군 이직의 부인 오씨 초상화, 1759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오리 이원익 영정, 40대 무렵으로 추정 (18세기에 모사한 모사본), 이원익 영정 3본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양식. 1573년 성절사의 질정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올 때 그린 도상이 아닌가 생각. 당시 우리 나라 초상화의 전형적인 도상이나 화법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그 원본은 중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많다고 생각된다
- 강현(1650-1733) 작가 미상 / 작은 도트로 이루어진 깜찍한 문양의 화방석이다.
- 이한철 작, 김정희(1786 ~ 1856), 1857년(철종 8)작,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
- 조선후기 문인 초상(미상), 18세기 후반 작품으로 추정 / 차분한 색상의 기하학적인 문양에 검은 단으로 무게감이 있다.
- 영조 연잉군 시절 / 발 아래 보여지는 화방석은 모양이 화문석과 유사하다.
- 이조년(1269-1343) 초상, 1655년,1714년,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거듭하여 원필은 찾기 힘들지만, 발받침 아래로 화문석이 보여진다.
- 이조년(1269-1343) 초상, 1825년 / 옷색깔과 맞춘 빨간 단의 화문석이 선명하다.
- 흥선대원군
- 채용신 작, 고종어진 (1901)
- 채용신 작, 황현
- 채용신 작, 최익현
- 목은(牧隱)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 이색 초상 유래는 허목(許穆)의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에 자세히 전하는데 허목 당시에는 원본인 정장관복본이 전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되찾아 왔으나 훼손이 심하여 이모(移模)하는 등 여러 곡절을 거쳐, 현재 남아있는 목은 영정은 모두 이모에 이모를 거듭하여 내려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모를 통해 전하여지기는 했지만 권근의 찬문이 쓰여진 애초의 원본이었던 영락 갑신년(永樂 甲申年, 1404년)의 도상형식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 미상, 이숭인 초상(1347∼1392), 조선 후기
- 검단사 검단조사 진영
- 서산대사 진영(18세기로 추정)
-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범어사 영탱, 조선후기(19세기)에 제작
- 춘앵무 속 화문석
- 춘앵무 속 화문석
- 춘앵무 속 화문석
- 춘앵무 속 화문석
기여
일자 | 역할 | 이름 | 전공 |
---|---|---|---|
2019년 6월 | 정리 및 편집 | 손형남 | 인문정보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