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화문석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해설'''==
 
 
==='''삼국사기 제33 잡지雜誌 '''===
 
왕골에 대한 언급이 처음 기록된다. "6두품은 혼자 다닐 때 왕골 자리를 치되 가장자리는 견직으로 꾸미고 6두품은 왕골 자리를 쓰되 가장자리는 가죽과 삼베로 꾸민다." <br/>
 
 
==='''석전(席典)'''===
 
화문석의 생산은 삼국시대부터 분명하게 나타난다. 신라에는 이미 화문석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이 있었다. 즉 직관조(職官條)에 나타나는 석전(席典)이라는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들이 자리류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청의 이름에서 자리류의 생산을 국가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할 만큼 이에 대한 수요가 많았을 것임을 보여준다. <ref>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rp0702&index_id=rp07020151&content_id=rp070201510001&search_left_menu=3</ref>
 
 
=='''시각자료'''==
 
 
==='''사진'''===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File:신라화문석1.png | 삼국사지
 
 
</gallery>
 
 
=='''출처'''==
 
 
<references/>
 
 
=='''기여'''==
 
 
{|class="wikitable"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
 
| 2019년 6월 || 정리 및 편집 || [[손형남]] || 인문정보학
 
|-
 
|}
 

2019년 6월 25일 (화) 10:42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