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사기동(沙器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沙器洞前水向'''東''' (<small>사기동전수향'''동'''</small>)    사기동 마을 물은 동쪽으로 흐르고, <br />李公節義弟兄'''同''' (<small>이공절의제형'''동'''</small>)    이공의 절개심은 형제가 한 가지네.<br />家園喬木葱籠氣 (<small>가원교목총롱기</small>)    집 앞 정원 키 큰 나무 무성하게 자랐는데,<br />雨露光中海日'''紅''' (<small>우로광중해일'''홍'''</small>)    이슬방울 빛이 나고 저녁노을 붉게 탄다.<br />
+
  <big>沙器洞前水向'''東''' (<small>사기동전수향'''동'''</small>)    사기동 마을 물은 동쪽으로 흐르고, <br />李公節義弟兄'''同''' (<small>이공절의제형'''동'''</small>)    이공의 절개심은 형제가 한 가지네.<br />家園喬木葱籠氣 (<small>가원교목총롱기</small>)    집 앞 정원 키 큰 나무 무성하게 자랐는데,<br />雨露光中海日'''紅''' (<small>우로광중해일'''홍'''</small>)    이슬방울 빛이 나고 저녁노을 붉게 탄다.<br />
  
  
  
 +
</big>
 
○ 사기동(沙器洞)에는 이시원(李是遠)의 집이 있는데 병인년(1866) 난리에 공이 동생 군수공(郡守公) 이지원(李止遠)과 함께 연명상소를 올리고 약을 먹고 자결하였다. 일이 알려지자 상공을 추증 받고 충정공(忠貞公)이란 시호를 받았다. 아들 이상학(李象學)은 음사(蔭仕)하여 군수를 여러 번 역임하였다. 그 손자 이건창(李建昌)은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참판에 이르렀으나 조정에서는 관찰사의 직책을 주어 3번이나 불렀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마침내 집에서 별세하였다.
 
○ 사기동(沙器洞)에는 이시원(李是遠)의 집이 있는데 병인년(1866) 난리에 공이 동생 군수공(郡守公) 이지원(李止遠)과 함께 연명상소를 올리고 약을 먹고 자결하였다. 일이 알려지자 상공을 추증 받고 충정공(忠貞公)이란 시호를 받았다. 아들 이상학(李象學)은 음사(蔭仕)하여 군수를 여러 번 역임하였다. 그 손자 이건창(李建昌)은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참판에 이르렀으나 조정에서는 관찰사의 직책을 주어 3번이나 불렀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마침내 집에서 별세하였다.
  

2019년 6월 3일 (월) 21:08 판

沙器洞前水向 (사기동전수향)     사기동 마을 물은 동쪽으로 흐르고, 
李公節義弟兄 (이공절의제형) 이공의 절개심은 형제가 한 가지네.
家園喬木葱籠氣 (가원교목총롱기) 집 앞 정원 키 큰 나무 무성하게 자랐는데,
雨露光中海日 (우로광중해일) 이슬방울 빛이 나고 저녁노을 붉게 탄다.


○ 사기동(沙器洞)에는 이시원(李是遠)의 집이 있는데 병인년(1866) 난리에 공이 동생 군수공(郡守公) 이지원(李止遠)과 함께 연명상소를 올리고 약을 먹고 자결하였다. 일이 알려지자 상공을 추증 받고 충정공(忠貞公)이란 시호를 받았다. 아들 이상학(李象學)은 음사(蔭仕)하여 군수를 여러 번 역임하였다. 그 손자 이건창(李建昌)은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참판에 이르렀으나 조정에서는 관찰사의 직책을 주어 3번이나 불렀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마침내 집에서 별세하였다.

인물

  • 이시원(1790(정조 14)∼1866(고종 3). 조선 후기의 문신·의사(義士).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직(子直), 호는 사기(沙磯). 정종의 별자(別子) 덕천군(德泉君)의 후손으로, 진사 면백(勉伯)의 아들이며, 건창(建昌)의 할아버지이다. 개성부유수, 형조판서, 함경도관찰사,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지

냈다. 병인양요가 일어나 강화도가 함락되자, 아우 지원(止遠)과 함께 유서를 남기고 음독 자결하였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충정(忠貞)의 시호 가 내려졌다.

  • 이지원(?∼1866)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를 지냈으며,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부를 점령하자, 형 시원(是遠)과 함께 유소(遺疏)를 올리고 자결하였다.
  • 이상학(1829년 출생)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권(士勸), 이조판서 이시원의 아들, 이건창의 아버지이다.
  • 이건창(1852∼1898) 조선 말기의 문신·대문장가. 본관은 전주(全州). 소명(小名)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 鳳藻), 호는 영재(寧齋).


참고

  • 사기동(沙器洞) : 화도면 사기리로 큰사골과 작은사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