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 포촌동(浦村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28. 포촌동(浦村洞308)) 在昔壬辰一劫當그 옛적 임진년에 왜적의 침입 받아, 腥塵八路共凄凉사방팔방 피비린내로 모두가 처참했네. 最奇此...)
 
 
1번째 줄: 1번째 줄:
128. 포촌동(浦村洞308))
 
在昔壬辰一劫當그 옛적 임진년에 왜적의 침입 받아,
 
腥塵八路共凄凉사방팔방 피비린내로 모두가 처참했네.
 
最奇此地松汀字이 지역 ʻ松汀ʼ 글자 가장 기이하였으니,
 
能退夷兵百萬彊백만의 오랑캐를 거뜬히 물리쳤네.
 
  
 +
<big>在昔壬辰一劫'''當''' (<small>재석임진일겁'''당'''</small>)    그 옛적 임진년에 왜적의 침입 받아, <br />腥塵八路共凄'''凉''' (<small>성진팔로공처'''량'''</small>)    사방팔방 피비린내로 모두가 처참했네.<br />最奇此地松汀字 (<small>최기차지송정자</small>)    이 지역 ʻ松汀ʼ 글자 가장 기이하였으니,<br />能退夷兵百萬'''彊''' (<small>능퇴이병백만'''강'''</small>)    백만의 오랑캐를 거뜬히 물리쳤네.<br />
 +
 +
</big>
 
○ 선조 25년 임진년(1592)에 왜구가 송정(松汀) 배를 대고 그 곳의 지명을 묻기에 ʻ송정ʼ이라 대답하니, 곧바로 떠나고 상륙하지 않았다. 대개 그 동쪽으로 들어올 때 ʻ송(松)ʼ 자를 만나면 반드시 패하는 징조가 있었기 때문에 피했던 것이다.
 
○ 선조 25년 임진년(1592)에 왜구가 송정(松汀) 배를 대고 그 곳의 지명을 묻기에 ʻ송정ʼ이라 대답하니, 곧바로 떠나고 상륙하지 않았다. 대개 그 동쪽으로 들어올 때 ʻ송(松)ʼ 자를 만나면 반드시 패하는 징조가 있었기 때문에 피했던 것이다.
 +
 
○ 송정(松亭)은 일명 송정(松汀)이다.
 
○ 송정(松亭)은 일명 송정(松汀)이다.
  
308) 송해면 숭뢰리 송정 포구가 있던 마을. 현재는 논으로 되어 있지만, 토지의 필지가 작은 면적으로 나뉘어져 있어 예전엔 시설 밀집 지역이었음을
+
==참고==
알 수 있다
+
* 포촌동(浦村洞) : 송해면 숭뢰리 송정 포구가 있던 마을. 현재는 논으로 되어 있지만, 토지의 필지가 작은 면적으로 나뉘어져 있어 예전엔 시설 밀집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2019년 5월 24일 (금) 12:23 기준 최신판

在昔壬辰一劫 (재석임진일겁)     그 옛적 임진년에 왜적의 침입 받아, 
腥塵八路共凄 (성진팔로공처) 사방팔방 피비린내로 모두가 처참했네.
最奇此地松汀字 (최기차지송정자) 이 지역 ʻ松汀ʼ 글자 가장 기이하였으니,
能退夷兵百萬 (능퇴이병백만) 백만의 오랑캐를 거뜬히 물리쳤네.

○ 선조 25년 임진년(1592)에 왜구가 송정(松汀) 배를 대고 그 곳의 지명을 묻기에 ʻ송정ʼ이라 대답하니, 곧바로 떠나고 상륙하지 않았다. 대개 그 동쪽으로 들어올 때 ʻ송(松)ʼ 자를 만나면 반드시 패하는 징조가 있었기 때문에 피했던 것이다.

○ 송정(松亭)은 일명 송정(松汀)이다.

참고

  • 포촌동(浦村洞) : 송해면 숭뢰리 송정 포구가 있던 마을. 현재는 논으로 되어 있지만, 토지의 필지가 작은 면적으로 나뉘어져 있어 예전엔 시설 밀집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