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이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주제: '''추사 김정희 이야기'''== ==개요==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
(차이 없음)

2019년 5월 22일 (수) 11:17 판

주제: 추사 김정희 이야기

개요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다. 본관은 경주이고, 자는 원춘(元春), 호는 완당(阮堂)·추사(秋史)·예당(禮堂) 등 여럿이다. 노론 북학파 실학자이면서 화가, 서예가였다. 한국 금석학의 개조(開祖)로 여겨지며, 한국과 중국의 옛 비문을 보고 만든 추사체가 있다. 그는 또한 난초를 잘 그렸다.

가문

그는 조선조의 훈척 가문(勳戚家門)의 하나인 경주 김문(慶州金門)에서 병조판서 김노경(金魯敬)과 기계 유씨(杞溪兪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나 큰아버지 김노영(金魯永) 앞으로 출계(出系)하였다. 그의 가문은 안팎이 종척(宗戚)으로 그가 문과에 급제하자 조정에서 축하를 할 정도로 권세가 있었다. 김정희의 증조모는 영조의 딸인 화순옹주이다.

연경, 북학파

김정희는 북학파(北學派)의 일인자인 박제가(朴齊家)의 눈에 띄어 어린 나이에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그의 학문 방향은 청나라의 고증학(考證學) 쪽으로 기울어졌다. 24세 때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 수행하여 연경에 체류하면서,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 같은 이름난 유학자와 접할 수가 있었다. 이 시기의 연경 학계는 고증학의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렀었다.

예술

온톨로지 설계

범주 Class

  • 인물
  • 작품
  • 학문
  • 집단
  • 장소
  • 사건


관계 Relation

주요 노드


노드 리스트

No. Class Node
1 사찰 백련사
2 사찰 청련사(국정 아랫절)
3 사찰 적석사(적련사)
4 사찰 황련사
5 사찰 흑련사
6 사찰 원통암(국정 윗절)
7 지형 고려산(오련산)
8 지형 오련지
9 시대 고려
10 시간 고구려 장수왕 4년 병진년(416)
11 인물 장수왕
12 인물 천축조사
13 개념 오방색
14 식물, 개념 연꽃
15 시간 조선 순조 20년(1821)
16 인물 포겸 스님
17 건축물 청련사 큰 법당
18 시간 1979
19 문화유산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787호)
20 시간 13세기 고려
21 묘사 13세기 고려 불상의 조형적, 양식적 특성
22 사건 몽골의 침략
23 시간 1232~1270 사이
24 묘사 고려 불교미술이 추구했던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
25 묘사 완성도 높은
26 시간 2012
27 문화유산, 식물 (청련사) 보호수 4-9-11 느티나무
28 시간 조선 순조 6년 병인년(1806) 3월
29 인물 처활대사
30 문화유산 처활대사의 사리비
31 문화유산 처활대사의 부도탑
32 시간 조선 고종 광무9년 을미년(1905) 봄
33 인물 인암화상
34 건축물 백련사 본 가람
35 시간 1967 장미년 본
36 인물 비구니 한성탐
37 건축물 백련사 극락전
38 건축물 백련사 삼성각
39 시간 1983
40 사건 도로 불사
41 시간 1986
42 문화유산 백련사 범종
43 문화유산 (백련사) 철불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5호)
44 시간 1989
45 시간 2006~2007
46 개념 기록
47 문화유산, 기록 팔만대장경
48 기록 강화부지(1783, 김노진)
49 기록 전등사본말사지(1942, 안진호)
50 기록 강도지(1696, 이형상)
51 묘사 고려산 서쪽 낙조봉 아래
52 건축물, 지형 적석사 우물
53 묘사 맑고 깨끗하고 차고 달다
54 묘사 나라에 재난이 다가오면 물이 마르거나 탁해져 마실 수 없다
55 묘사 명승고적으로 유명한 곳
56 묘사 일물의 경관이 빼어나
57 장소 적석사 낙조
58 개념 강도팔명
59 시간 1998년 8월
60 개념 수해
61 시간 2015
62 건축물 적석사 대웅전
63 묘사 예로부터
64 인물 서산대사
65 인물 취허환열
66 인물 석주 권필
67 사건 병인양요
68 건축물 장년전
69 문화유산 영조 어진
70 문화유산 숙조 어진
71 문화유산 권필 유허비
72 기록, 문화유산 적석사 사적비(1714)
73 시간 1714
74 시간 1866
75 시간 1905
76 인물 김노진
77 기록 해동지도(1750)
78 기관 보창학교
79 인물 이동휘
80 인물 최아무개
81 개념 승려
82 개념 강화지위대
83 인물 정명공주 (선조의 딸)
84 사건 병자호란
85 시간 1761
86 인물 윤기
87 기록 무명자집(1761, 윤기)
88 기록 백련사중건기(1905, 혜안)
89 기록 심도기행(1906, 고재형)
90 기록 속수증보강도지(1932, 박헌용)
91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92 기록 여지도서 강도부지(1760)

지식 관계망


지리 정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