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서문동(西門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59. 서문동(西門洞) 서문루(西門樓)
 
59. 서문동(西門洞) 서문루(西門樓)
瞻華樓頭倚夕陽 (첨화루두의석양)    첨화루 지붕 위에 석양이 걸렸고,
+
<big>瞻華樓頭倚夕'''陽''' (<small>첨화루두의석'''양'''</small>)    첨화루 지붕 위에 석양이 걸렸고, <br />山腰川帶共縈'''蒼''' (<small>산요천대공영'''창'''</small>)    산허리 두른 내는 함께 얽혀 푸르다.<br />萋萋鍊武堂前草 (<small>처처연무당전초</small>)    연무당 앞의 풀은 무성하게 자랐는데,<br />幾度春秋大操'''場''' (<small>기도춘추대조'''장'''</small>)    봄가을 큰 훈련을 몇 번이나 치렀을까.<br />
山腰川帶共縈蒼 (산요천대공영창)    산허리 두른 내는 함께 얽혀 푸르다.
+
萋萋鍊武堂前草 (처처연무당전초)    연무당 앞의 풀은 무성하게 자랐는데,
+
幾度春秋大操場 (기도춘추대조장)    봄가을 큰 훈련을 몇 번이나 치렀을까.
+
  
  
 +
</big>
 
○ 첨화루(瞻華樓)는 심도부성(沁都府城) 서문(西門)의 편액이다.
 
○ 첨화루(瞻華樓)는 심도부성(沁都府城) 서문(西門)의 편액이다.
 
그 안에는 대조장(大操場)과 연무당(鍊武堂)이 있으니 곧 옛날 서장대(西將臺)의 옆이다. 지금은 폐지되었다.
 
그 안에는 대조장(大操場)과 연무당(鍊武堂)이 있으니 곧 옛날 서장대(西將臺)의 옆이다. 지금은 폐지되었다.

2019년 5월 1일 (수) 07:38 판

59. 서문동(西門洞) 서문루(西門樓)

瞻華樓頭倚夕 (첨화루두의석)     첨화루 지붕 위에 석양이 걸렸고, 
山腰川帶共縈 (산요천대공영) 산허리 두른 내는 함께 얽혀 푸르다.
萋萋鍊武堂前草 (처처연무당전초) 연무당 앞의 풀은 무성하게 자랐는데,
幾度春秋大操 (기도춘추대조) 봄가을 큰 훈련을 몇 번이나 치렀을까.


○ 첨화루(瞻華樓)는 심도부성(沁都府城) 서문(西門)의 편액이다. 그 안에는 대조장(大操場)과 연무당(鍊武堂)이 있으니 곧 옛날 서장대(西將臺)의 옆이다. 지금은 폐지되었다.


기행지도



인물

참고

  • 강화읍 관청7리의 서문동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