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타운 재중동포의 상업활동과 정체성형성:가리봉동 현장연구를 중심으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차이나타운_문헌정보 |사진 = |이름 = 재중동포의 상업활동과 정체성형성:가리봉동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분류 = 논문 |ISBN = |URL = |출판...)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이 연구는 재중동포들이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기반으로 중국 관련 상점을 운영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지역성을 트랜스로컬하게 재구성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19세기 중엽 이후 중국으로 이주하였던 재중동포들은 1992년 한중 수교의 수립으로 본격적으로 한국에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친척 방문이나 산업연수 등의 경로로 한국에 입국한 재중동포들은 성별에 따라 건설 관련 일용직이나 식당·가사 도우미 일에 종사하면서 ‘동포’인 동시에 ‘이주 노동자’로서 한국 사회에 정주해왔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는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에 집단 거주하였으며, 그 가운데 정착형 이주자들이 중국 관련 상점 운영에 참여하면서 가리봉동을 재중동포 중심으로 재활성화 시켰다. 이 연구는 재중동포 상인들이 한국 및 중국과의 관계 안에서 트랜스로컬 정체성을 형하고 이를 토대로 한 경제활동을 통해 가리봉동을 트랜스로컬한 공간으로 바꾸어내는 실천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초국가적 이주를 실행하는 이주자들의 정체성과 지역이 더 이상 영토적 경계에 정박되지 않을 뿐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 ||
===저자소개=== | ===저자소개=== | ||
+ | [[이민주]] | ||
===목차=== | ===목차=== |
2016년 5월 29일 (일) 21:33 기준 최신판
차이나타운 문헌 | |
---|---|
[[파일:|300px]] | |
이름 | 재중동포의 상업활동과 정체성형성:가리봉동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
분류 | 논문 |
ISBN | |
URL | |
출판사 | |
출판일 |
내용
개요
이 연구는 재중동포들이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기반으로 중국 관련 상점을 운영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지역성을 트랜스로컬하게 재구성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19세기 중엽 이후 중국으로 이주하였던 재중동포들은 1992년 한중 수교의 수립으로 본격적으로 한국에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친척 방문이나 산업연수 등의 경로로 한국에 입국한 재중동포들은 성별에 따라 건설 관련 일용직이나 식당·가사 도우미 일에 종사하면서 ‘동포’인 동시에 ‘이주 노동자’로서 한국 사회에 정주해왔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는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에 집단 거주하였으며, 그 가운데 정착형 이주자들이 중국 관련 상점 운영에 참여하면서 가리봉동을 재중동포 중심으로 재활성화 시켰다. 이 연구는 재중동포 상인들이 한국 및 중국과의 관계 안에서 트랜스로컬 정체성을 형하고 이를 토대로 한 경제활동을 통해 가리봉동을 트랜스로컬한 공간으로 바꾸어내는 실천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초국가적 이주를 실행하는 이주자들의 정체성과 지역이 더 이상 영토적 경계에 정박되지 않을 뿐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저자소개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6
제1장 서론 8
제1절 문제제기 8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기존 연구 검토 10
1.2.1. 기존 연구 검토 10
1.2.2. 이론적 논의 14
1.2.2.1. 초국가적 이주(transnational migration) 15
1.2.2.2. 트랜스로컬리티(translocality)와 정체성 18
제3절 연구 대상 및 방법 20
1.3.1. 연구 대상 20
1.3.2. 연구 방법 26
제2장 재중동포의 한국이주와 가리봉동으로의 유입 28
제1절 재중동포의 한국 이주 28
2.1.1. 이주 역사와 경로 28
2.1.2/2.2.2. 한국 정부의 재중동포 관련 정책 32
제2절 경제적 중심지로서의 가리봉동 37
2.2.1. 재중동포 밀집 거주지의 형성 37
2.2.2. 경제적 중심지로의 변화 41
제3장 상인들의 상점 운영과 전략 48
제1절 재중동포 상인의 이주 방식과 자금마련 48
3.1.1. 순환적 이주 49
3.1.2. 결혼 이주 53
제2절 재중동포 상인의 상점 운영 전략 56
3.2.1. 중국 관련 사업 선택 56
3.2.2. 가족 기반 운영과 사업 확장 60
3.2.3. 노동력과 기술 확보의 중요한 통로인 친족 연결망 65
제3절 한국인 상인의 참여 69
3.3.1. '중국성'의 적극적 차용 69
3.3.2. 재중동포의 고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 74
제4장 재중동포의 상업 활동을 통한 정체성의 형성 77
제1절 가리봉동 지역의 의미화 77
4.1.1. '제 2의 고향' 77
4.1.2. 경제적 생존의 기반 83
제2절 재중동포의 트랜스로컬 정체성 형성 86
제5장 결론 93
제6장 참고 문헌 96
ABSTRACT 102
표 차례
〈표 1〉 재중동포 상점 운영자 23
〈표 2〉 한국인 상점 운영자 23
〈표 3〉 가리봉동의 중국 관련 상점 분포 46
〈표 4〉 J씨 상점에서 판매하는 중국 관련 식료품 예시 72
〈표 5〉 가리봉동 중국 음식점의 상호와 상점 운영자의 출신 지역 79
그림 차례
〈그림 1〉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밀집 지역 25
〈그림 2〉 국내 중국동포 주거지 이동 현황 44
〈그림 3〉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밀집 지역 전경 45
〈그림 4〉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업종별 분포 47
〈그림 5〉 가리봉동 중국 식료품점 72
〈그림 6〉 가리봉동 중국 음식점 간자체 간판 78
각주
관련항목
S(객체1) | V(관계) | O(객체2) |
---|---|---|
문헌 | A는_B를_저술했다 | 인물 or 단체 or 상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