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역사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8번째 줄: 8번째 줄:
 
|분류 =  
 
|분류 =  
 
|건립·제작 = 2010년 10월 23일
 
|건립·제작 = 2010년 10월 23일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
+
|주소 =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  
 
|위도 = 37.774219
 
|위도 = 37.774219
 
|경도 = 126.435744
 
|경도 = 126.435744
|사진 = GangwhaHistoryMuseum.jpg|width=380px
+
|사진 = Ganghwahistorymuseum.jpg
|웹사이트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
+
|웹사이트 }}
  
 
=='''개관'''==
 
=='''개관'''==
전라북도 군산시 장미동에 위치한 시립 박물관. 군산 지역의 근대 문화와 해양 문화를 중심으로 군산시가 건립 및 운영하는 박물관이다.  
+
2010년 10월 23일에 개관하였으며, 강화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근 현대까지 강화도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전시·보존·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총 사업비 140억원이 투입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적 제137호 강화고인돌공원내 1만5천여㎡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건축면적 4천200㎡ 규모로 지어졌다.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은 전통적 물류 유통 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던 군산시의 정체성을 확인하여 현재와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고 전국 최대의 근대 문화유산을
+
소유한 군산시의 문화적 특징을 관광 자원으로 홍보하고자 건립하였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8212&cid=51946&categoryId=5507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국내 근대 문화유산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곳이며 이들 문화유산을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2009년 3월 20일 착공하여 2011년 5월 3일 준공하였고 2011년 9월 30일 개관하였다. 대지면적 8,347㎡이며 건축연면적은 4,248㎡이다. 지하1층 지상 4층으로 전시장이 꾸며져 있으며 해양물류역사관, 어린이박물관, 수장고, 근대자료 규장각실, 근대생활관, 기획전시실, 세미나실 등이 갖추어져 있다.
+
1층에는 고려. 조선시대 등 근 현대의 강화 유물과 민속사를 볼 수 있는 전시장이 있으며, 2층에는 구석기∼청동기 시대의 상설 유물전시장과 체험관이 있고, 지하 1층은 수장고로 쓰인다. 그밖에 다양한 기획전시 및 교육,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부근리)에 있다. <ref>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457&cid=40942&categoryId=35446  </ref>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74841&cid=40942&categoryId=33132 두산백과</ref>
+
  
 
==='''GanghwaHistoryMuseum '''===
 
==='''GanghwaHistoryMuseum '''===
A municipal museum located in the city of Gunsan, Gunsan Modern History Museum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odern history and maritime culture of the city and its surrounding area. The museum was established to showcase the rich cultural and historical features of Gunsan, which has long been one of the key logistics and distribution hubs in Korea. The construction for the museum started in March 2009 and it opened in September 2011 on a compound of 8,347 square meters. It has four floors above ground and one underground floor. The museum’s exhibition area includes Ocean Distribution History Hall, Theme Park for Children, Special Exhibition Hall, Modern Life Hall and Project Exhibition Hall.
+
The Ganghwa History Museum has opened on October 23, 2010. It was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display, preserve and study the history and culture of Ganghwa Island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The total project cost 14 billion won and was built on 15,000 square meters of land in Ganghwa Godol Park, a historical site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th one basement floor, two floors above ground and a 4,200 square meters of floor space.
  
=='''구성'''==
+
On the first floor, there is an exhibition hall where visitors can see modern fortified relics and folk history such as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 the second floor, there i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and an experience hall from the Paleolithic to Bronze Age, and the first basement floor is used as a water storage facility. In addition, the company also operates various special exhibitions,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It is located at 994-19 (Buggeun-ri) in Ganghwa-myeon, Ganghwa-gun, Incheon.
관람객을 위한 전시실 구성은 박물관 1층 입구의 어청도 등대 모형을 시작으로 종합 영상실, 삶과 문화, 해상 유통의 중심지, 해상 유통의 전성기, 근·현대의 무역, 바다와 문화 등을 주제로 한 해양 물류 역사관, 바다 여행, 바닷가 친구들, 바다 도시 군산 등을 주제로 한 어린이 박물관, 근대사 관련 자료실인 근대 규장각실과 근대 도시, 탁류의 시대 등으로 구성된 근대 생활관 그리고 분기별 테마 전시 공간인 기획 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8212&cid=51946&categoryId=5507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현황'''==
+
=='''시설'''==
대지 면적은 8,347㎡이며 건축 연면적은 4,248㎡이다. 건물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4층이다. 전시관은 해양 물류 역사관[509㎡], 어린이 체험관[126㎡], 근대 생활관[617㎡], 기획 전시실[231㎡]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유 유물은 4,400점으로 이중 각계각층의 시민, 단체들이 기증한 유물이 2,250여 점이다.
+
강화역사박물관은 상설전시실과 전통한옥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강화지역 출토유물을 중심으로실물, 디오라마, 복제품, 영상 등 다양한 전시기법을 사용하여 전시하고 있다.<br/>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의 운영과 관련한 인적 구성은 군산시 부시장을 중심으로 박물관 운영 위원회와 박물관장 및 박물관 관리계로 구성되어 있다.
+
로비에는 강화동종과 선두포축언시말비가 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획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2층 상설전시실은 고인돌의 땅 강화,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1층 상설전시실은 고려 강화, 조선 · 근대 강화, 삶과 민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한옥실에서는 안방과 사랑방, 누마루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선시대 한옥이 실물크기로 전시되어 있다. <ref> 강화역사박물관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ref>
  
2011년 9월 개관 이후 개관 기념 전시를 시작으로 군산동 국사 소조 석가 여래 삼존상 복장 유물 특별전, 2012년에는 8·15 특별전 우리 땅, 그들만의 축제를 기획 전시하였다.  
+
특히, 박물관 1층에 있는 ‘고려 강화’로 가면 16년간 몽골의 침입을 막아보려고 불심으로 만들었던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의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글자를 새기는 데 적어도 500여 명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데 마치 한 사람이 새긴 듯 서체가 같다는 것 등 국난의 시기에 불심으로 제작된 팔만대장경은 놀라운 점이 많다. <ref>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3647&categoryId=58712&cid=58712 인천관광공사</ref> <br/>
2013년에는 2013 특별전 화교의 삶과 문화를 개최하였고, 역시 특별전인 쌍천 이영춘 박사의 삶, 파란 눈의 선교사가 전해준 선물, 독도, 우리의 소중한 영토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
2층에는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과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 등 강화의 역사를 체험해보고 익힐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유익한 공간이다.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은 스크린을 통해 퀴즈와 퍼즐을 풀어볼 수 있으며, 참성단의 선녀와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다.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는 그림자 연극을 보여준다. 바닷길을 통해 고려청자를 필리핀으로 보내야 하는 강화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밖에 고려산 오련지, 전등사 나녀상, 손돌, 보문사 석실 나한상 등 강화에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구성해놓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ref>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rem_detail.do?cotid=ef9ed186-491b-4725-bcaf-cac5516a3eb9&temp= </ref>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8212&cid=51946&categoryId=5507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사진'''==
+
=='''전시'''==
 +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매표마감 5시 30분)이며,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날 당일이다. <br/>
 +
2개 층으로 구성된 강화역사박물관은 1층 매표소에서 바로 2층으로 올라가 선사시대를 먼저 둘러보고 다시 1층으로 내려와 고려, 조선시대를 차례로 만나면 역사의 흐름으로 관람이 가능하다. <ref> 강화역사박물관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ref>
  
<gallery>
+
==='''대표 기획전시'''===
File:근대역사박물관 내부.jpg
+
*삼별초와 동아시아(2018.03.27 ~ 05.27) 유물 강화중성, 진도 용장산성, 제주 항파두리성, 일본 후쿠오카 다카시마 해저유적 및 오키나와 우라소에성 출토품
File:근대역사박물관2.jpg|<ref>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3gAz&articleno=15897042</ref>
+
*고려시대 임시수도 강화(2017.09.26 ~ 2017.11.12) 강화 선원사지 및 석릉, 곤릉 등 고려 왕릉에서 출토된 유물과 팔만대장경판,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등 100여점
</gallery>
+
*전등사 명부전 존상 복장유물전(2017.4.11 ~ 2017.6.25) 불경, 다라니, 후령통, 오방경, 묘법연화경 목판, 업경대 등
 +
*강화인의 삶을 닮다, 강화출토 도기·기와展(2015. 4. 17~ 2015.6. 30) 강화읍 대산리, 하점면 창후리, 송해면 솔정리 등에서 출토된 도기, 기와 등 100여점
 +
*강화의 고려청자, 그 푸른 빛(2012.04.20 ~ 2012.12.20) 강화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청자들
 +
*대장경, 고려의 혼을 새기다(2011.08.10 ~ 2011.10.02) 초조대장경, 교장, 재조대장경의 인출본이 전시되고, 대장경이 봉안되어 있었던 선원사지 출토유물과 대장경의 이름을 새긴 경패 등
 +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2011.10.25 ~ 2011.11.20)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
 +
<ref> 강화역사박물관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ref>
  
=='''위치'''==
+
=='''유물'''==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5.991093" lon="126.712025" type="normal" zoom="1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소장유물은 구석기유물 3점, 신석기유물 2점, 청동기유물 29건, 고려시대유물 123건, 조선시대유물 113건, 근현대유물 19건, 기타 3건 총 292점이다. <ref>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강화역사박물관</ref>
  
35.991093, 126.712025  [[근대역사박물관]]
+
<강화역사박물관>이 생기기 전에 강화의 유물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에 위치한 <강화역사관>에 소장됐었다. 1988년 개관한 <강화역사관>은 보물 제 11호인 <강화동종>을 비롯해 1849년 조선 헌종 때의 <왕실행렬도>,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의 토기 및 청동검 등 169점의 유물을 소장했는데, 2010년 <강화역사박물관>이 건립되면서 유물들은 <강화역사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폐관돼 '갑곶돈대'로 명칭이 변경됐다. <ref> 강화역사관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ref>
  
</googlemap>
 
  
=='''관련 사이트'''==
+
=='''사진'''==
 +
[[파일:190401.jpg|220px]]
 +
[[파일:190405.jpg|220px]]
 +
[[파일:190406.jpg|220px]]
 +
[[파일:190408.jpg|220px]]
 +
[[파일:190404.jpg|220px]]
 +
[[파일:190409.jpg|220px]]
 +
[[파일:190410.jpg|220px]]
  
*군산근대역사박물관 (http://museum.gunsan.go.kr/index.jsp)
+
=='''위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
<googlemap width="1000" height="300" lat="37.774219" lon="126.435744" type="normal" zoom="16"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74219, 126.435744,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 강화역사박물관]
  
 +
</googlemap>
  
=='''사진<ref>문화재청 '부안 서문안 당산' 사진</ref>'''==
 
<gallery>
 
파일 : 부안서문안당산2.jpg | 당산 돌기둥
 
파일 : 당산새.jpg | 당산 위의 새
 
</gallery>
 
  
 
=='''관련 사이트'''==
 
=='''관련 사이트'''==
*문화재청 (http://www.cha.g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참고문헌'''==
+
*강화역사박물관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
  
 +
*대한민국구석구석(한국관광공사) https://korean.visitkorea.or.kr/main/main.do
 +
 +
*인천관광공사 http://www.travelicn.or.kr/open_content/
 +
 +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출처'''==
 
=='''출처'''==
  
 
<references/>
 
<references/>
 +
  
 
=='''기여'''==
 
=='''기여'''==
84번째 줄: 93번째 줄:
 
|-
 
|-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봄 답사 자료집]]
 

2019년 4월 8일 (월) 13:39 기준 최신판


개관

2010년 10월 23일에 개관하였으며, 강화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근 현대까지 강화도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전시·보존·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총 사업비 140억원이 투입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적 제137호 강화고인돌공원내 1만5천여㎡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건축면적 4천200㎡ 규모로 지어졌다.

1층에는 고려. 조선시대 등 근 현대의 강화 유물과 민속사를 볼 수 있는 전시장이 있으며, 2층에는 구석기∼청동기 시대의 상설 유물전시장과 체험관이 있고, 지하 1층은 수장고로 쓰인다. 그밖에 다양한 기획전시 및 교육,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부근리)에 있다. [1]

GanghwaHistoryMuseum

The Ganghwa History Museum has opened on October 23, 2010. It was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display, preserve and study the history and culture of Ganghwa Island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The total project cost 14 billion won and was built on 15,000 square meters of land in Ganghwa Godol Park, a historical site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th one basement floor, two floors above ground and a 4,200 square meters of floor space.

On the first floor, there is an exhibition hall where visitors can see modern fortified relics and folk history such as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 the second floor, there i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and an experience hall from the Paleolithic to Bronze Age, and the first basement floor is used as a water storage facility. In addition, the company also operates various special exhibitions,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It is located at 994-19 (Buggeun-ri) in Ganghwa-myeon, Ganghwa-gun, Incheon.

시설

강화역사박물관은 상설전시실과 전통한옥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강화지역 출토유물을 중심으로실물, 디오라마, 복제품, 영상 등 다양한 전시기법을 사용하여 전시하고 있다.
로비에는 강화동종과 선두포축언시말비가 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획전시가 개최되고 있다. 2층 상설전시실은 고인돌의 땅 강화,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1층 상설전시실은 고려 강화, 조선 · 근대 강화, 삶과 민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한옥실에서는 안방과 사랑방, 누마루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선시대 한옥이 실물크기로 전시되어 있다. [2]

특히, 박물관 1층에 있는 ‘고려 강화’로 가면 16년간 몽골의 침입을 막아보려고 불심으로 만들었던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의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글자를 새기는 데 적어도 500여 명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데 마치 한 사람이 새긴 듯 서체가 같다는 것 등 국난의 시기에 불심으로 제작된 팔만대장경은 놀라운 점이 많다. [3]
2층에는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과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 등 강화의 역사를 체험해보고 익힐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유익한 공간이다. 신나는 청동기시대 탐험은 스크린을 통해 퀴즈와 퍼즐을 풀어볼 수 있으며, 참성단의 선녀와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다.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는 그림자 연극을 보여준다. 바닷길을 통해 고려청자를 필리핀으로 보내야 하는 강화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밖에 고려산 오련지, 전등사 나녀상, 손돌, 보문사 석실 나한상 등 강화에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구성해놓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4]

전시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매표마감 5시 30분)이며,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날 당일이다.
2개 층으로 구성된 강화역사박물관은 1층 매표소에서 바로 2층으로 올라가 선사시대를 먼저 둘러보고 다시 1층으로 내려와 고려, 조선시대를 차례로 만나면 역사의 흐름으로 관람이 가능하다. [5]

대표 기획전시

  • 삼별초와 동아시아(2018.03.27 ~ 05.27) 유물 강화중성, 진도 용장산성, 제주 항파두리성, 일본 후쿠오카 다카시마 해저유적 및 오키나와 우라소에성 출토품
  • 고려시대 임시수도 강화(2017.09.26 ~ 2017.11.12) 강화 선원사지 및 석릉, 곤릉 등 고려 왕릉에서 출토된 유물과 팔만대장경판,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등 100여점
  • 전등사 명부전 존상 복장유물전(2017.4.11 ~ 2017.6.25) 불경, 다라니, 후령통, 오방경, 묘법연화경 목판, 업경대 등
  • 강화인의 삶을 닮다, 강화출토 도기·기와展(2015. 4. 17~ 2015.6. 30) 강화읍 대산리, 하점면 창후리, 송해면 솔정리 등에서 출토된 도기, 기와 등 100여점
  • 강화의 고려청자, 그 푸른 빛(2012.04.20 ~ 2012.12.20) 강화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청자들
  • 대장경, 고려의 혼을 새기다(2011.08.10 ~ 2011.10.02) 초조대장경, 교장, 재조대장경의 인출본이 전시되고, 대장경이 봉안되어 있었던 선원사지 출토유물과 대장경의 이름을 새긴 경패 등
  •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2011.10.25 ~ 2011.11.20)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

[6]

유물

소장유물은 구석기유물 3점, 신석기유물 2점, 청동기유물 29건, 고려시대유물 123건, 조선시대유물 113건, 근현대유물 19건, 기타 3건 총 292점이다. [7]

<강화역사박물관>이 생기기 전에 강화의 유물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에 위치한 <강화역사관>에 소장됐었다. 1988년 개관한 <강화역사관>은 보물 제 11호인 <강화동종>을 비롯해 1849년 조선 헌종 때의 <왕실행렬도>,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의 토기 및 청동검 등 169점의 유물을 소장했는데, 2010년 <강화역사박물관>이 건립되면서 유물들은 <강화역사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폐관돼 '갑곶돈대'로 명칭이 변경됐다. [8]


사진

190401.jpg 190405.jpg 190406.jpg 190408.jpg 190404.jpg 190409.jpg 190410.jpg

위치


관련 사이트

출처

  1.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457&cid=40942&categoryId=35446
  2. 강화역사박물관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3647&categoryId=58712&cid=58712 인천관광공사
  4.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rem_detail.do?cotid=ef9ed186-491b-4725-bcaf-cac5516a3eb9&temp=
  5. 강화역사박물관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6. 강화역사박물관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7.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강화역사박물관
  8. 강화역사관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useum_history/display/information.jsp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4 정리 손형남 인문정보학
2019.4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