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2018 비로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명의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기여
 +
|기여자=[[이혜영]]
 +
|기여내용=
 +
}}
 
==개요==
 
==개요==
 +
영주 비로사는 600년대 후반 신라 문무왕 혹은 신문왕 대에 지어진 절이다. [[의상]]대사의 제자인 진정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의상대사가 진정의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소백산에서 90일간 강연을 하였는데, 그 자리가 지금의 비로사 자리라고 전해진다.
 +
고려 초기에 진공대사가 영주 비로사에 있었는데, 고려 태조(왕건)이 진공대사가 입적하자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
영주 비로사는 고려말에 환암에 의해 중창되었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다. 이후 1609년 경희가 , 1684년에는 월하가, 1907년에는 범선이 중청하였는데, 1908년 법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범선이 1919년 법당을 중수하고 1927년에는 요사, 1932년에 법당을 다시 중수하였다.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NetworkGraph | title=VH2018_비로사reference.lst}}
 
{{NetworkGraph | title=VH2018_비로사reference.lst}}
 
==참고자원 목록==
 
==참고자원 목록==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영주_비로사 영주 비로사]]",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영주_비로사 영주 비로사]",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영주_비로사_진공대사_보법탑비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영주_비로사_진공대사_보법탑비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708 영주 비로사 심가동 당간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708 영주 비로사 심가동 당간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812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성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812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성 및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19 영주 비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19 영주 비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121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121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4873 비로사]]", 『두피디아』, 두산.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4873 비로사]", 『두피디아』, 두산.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798 영풍 비로사 석아미타 및 석비로자나불좌상]]", 『두피디아』, 두산.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798 영풍 비로사 석아미타 및 석비로자나불좌상]", 『두피디아』, 두산.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802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 『두피디아』, 두산.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802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 『두피디아』, 두산.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780 영주 삼가동 석조당간지주]]", 『두피디아』, 두산.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780 영주 삼가동 석조당간지주]", 『두피디아』, 두산.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9960000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9960000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9960200 영주 비로사 석조비로자나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9960200 영주 비로사 석조비로자나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4360000 영주 비로사 아비타후불탱화]]",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4360000 영주 비로사 아비타후불탱화]",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0070000 영주 삼가동 석조 당간지주]]",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0070000 영주 삼가동 석조 당간지주]",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0040000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3700040000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s://ko.wikipedia.org/wiki/비로사_(영주시) 비로사 (영주시)]]", 『위키백과』, 위키미디어.
+
*"[https://ko.wikipedia.org/wiki/비로사_(영주시) 비로사 (영주시)]", 『위키백과』, 위키미디어.
  
 
[[분류:VH2018]]
 
[[분류:VH2018]]

2018년 12월 20일 (목) 17:34 기준 최신판

Pencil.png 기여자: 이혜영

개요

영주 비로사는 600년대 후반 신라 문무왕 혹은 신문왕 대에 지어진 절이다. 의상대사의 제자인 진정의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의상대사가 진정의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소백산에서 90일간 강연을 하였는데, 그 자리가 지금의 비로사 자리라고 전해진다. 고려 초기에 진공대사가 영주 비로사에 있었는데, 고려 태조(왕건)이 진공대사가 입적하자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영주 비로사는 고려말에 환암에 의해 중창되었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다. 이후 1609년 경희가 , 1684년에는 월하가, 1907년에는 범선이 중청하였는데, 1908년 법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범선이 1919년 법당을 중수하고 1927년에는 요사, 1932년에 법당을 다시 중수하였다.

지식관계망

참고자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