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용산 노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박기동 시인이 젊은 나이에 죽은 누이동생 박영애를 애도하며 지은 시에 작곡가 안성현이 곡을 붙여 탄생한 노래. 1948년 박기동 시인이...)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__NOTOC__ | ||
+ | |||
박기동 시인이 젊은 나이에 죽은 누이동생 박영애를 애도하며 지은 시에 작곡가 안성현이 곡을 붙여 탄생한 노래. | 박기동 시인이 젊은 나이에 죽은 누이동생 박영애를 애도하며 지은 시에 작곡가 안성현이 곡을 붙여 탄생한 노래. | ||
− | 1948년 박기동 시인이 목포 항도여중 국어 교사로 있을 때 문학도였던 제자 김정희가 폐결핵으로 죽자 제자의 죽음을 슬퍼하던 중 동료 교사였던 안성현 선생이 박기동 선생이 써 놓은 시를 보고 여기에 곡을 붙여 "부용산" 노래를 | + | 1948년 박기동 시인이 목포 항도여중 국어 교사로 있을 때 문학도였던 제자 김정희가 폐결핵으로 죽자 제자의 죽음을 슬퍼하던 중 동료 교사였던 안성현 선생이 박기동 선생이 써 놓은 시를 보고 여기에 곡을 붙여 "부용산" 노래를 완성하였다고 한다. |
− | 가곡 '부용산' | + | ===가곡 '부용산' 악보=== |
− | * 1절 - 부용산 오리길에 | + | [[파일:부용산악보.jpg|부용산 악보]] |
+ | |||
+ | ===가곡 '부용산' 가사=== | ||
+ | |||
+ | * 1절 - 부용산 오리길에 잔듸만 푸르러 푸르러 솔밭 사이사이로 회오리 바람타고 간다는 말 한마디 없이 너는 가고 말았구나 피어나지 못한 채 병든 장미는 시들어지고 부용산 봉우리에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 ||
* 2절 - 그리움 강이 되어 내 가슴 맴돌아 흐르고 재를 넘는 석양은 저만치 홀로섰네 백합일시 그 향기롭던 너의 꿈은 간데 없고 돌아서지 못한채 나 외로이 예 서있으니 부용산 저멀리엔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 * 2절 - 그리움 강이 되어 내 가슴 맴돌아 흐르고 재를 넘는 석양은 저만치 홀로섰네 백합일시 그 향기롭던 너의 꿈은 간데 없고 돌아서지 못한채 나 외로이 예 서있으니 부용산 저멀리엔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 ||
− | + | ===목포항도공립중학교 교훈=== | |
− | + | ||
− | + | 한 송이 들꽃을 보라 남을 시새워하지도 아니하고 스스로 자랑하지도 아니하며 한껏 제 빛을 나타내라 | |
− | + | ||
− | + | ===시맨틱 '부용산' === | |
− | {{ | + | |
+ | {{NetworkGraph | title=부용산.lst}} | ||
+ | |||
+ | [[분류: 나의 인문학]] |
2018년 7월 15일 (일) 13:39 기준 최신판
박기동 시인이 젊은 나이에 죽은 누이동생 박영애를 애도하며 지은 시에 작곡가 안성현이 곡을 붙여 탄생한 노래.
1948년 박기동 시인이 목포 항도여중 국어 교사로 있을 때 문학도였던 제자 김정희가 폐결핵으로 죽자 제자의 죽음을 슬퍼하던 중 동료 교사였던 안성현 선생이 박기동 선생이 써 놓은 시를 보고 여기에 곡을 붙여 "부용산" 노래를 완성하였다고 한다.
가곡 '부용산' 악보
가곡 '부용산' 가사
- 1절 - 부용산 오리길에 잔듸만 푸르러 푸르러 솔밭 사이사이로 회오리 바람타고 간다는 말 한마디 없이 너는 가고 말았구나 피어나지 못한 채 병든 장미는 시들어지고 부용산 봉우리에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 2절 - 그리움 강이 되어 내 가슴 맴돌아 흐르고 재를 넘는 석양은 저만치 홀로섰네 백합일시 그 향기롭던 너의 꿈은 간데 없고 돌아서지 못한채 나 외로이 예 서있으니 부용산 저멀리엔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목포항도공립중학교 교훈
한 송이 들꽃을 보라 남을 시새워하지도 아니하고 스스로 자랑하지도 아니하며 한껏 제 빛을 나타내라
시맨틱 '부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