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가로서의 정몽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외교가로서의 정몽주== ===명나라,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유능한 외교가=== 정몽주는 고려에 성리학이 처음 들어올 당...)
 
2번째 줄: 2번째 줄:
  
 
===명나라,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유능한 외교가===
 
===명나라,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유능한 외교가===
정몽주는 고려에 성리학이 처음 들어올 당시, 이를 탁월하게 이해하고 소화한 뛰어난 학자이기도 하지만, 명나라나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외교가이기도 하다. 친명 노선을 걷던 공민왕이 갑자기 시해된 뒤 친원파들이 명나라 사신을 죽이는 사건까지 일어나 명나라와의 외교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정몽주는 정확한 해명을 통해 두 나라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주장을 펴 전란의 위기를 해소했다.
+
정몽주는 [[고려]]에 [[성리학]]이 처음 들어올 당시, 이를 탁월하게 이해하고 소화한 뛰어난 학자이기도 하지만, [[명나라]]나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외교가이기도 하다. 친명 노선을 걷던 [[공민왕]]이 갑자기 시해된 뒤 친원파들이 [[명나라]] 사신을 죽이는 사건까지 일어나 [[명나라]]와의 외교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정몽주는 정확한 해명을 통해 두 나라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주장을 펴 전란의 위기를 해소했다.
  
또한 두 나라 사이에 자꾸 분란이 생기자 명 태조가 성이 나, 장차 고려에 출병하려 할 뿐 아니라 매년 보내는 토산물을 증액시키고, 지난 5년간 토산물을 약속대로 보내지 않았다며 사신의 볼기를 치고 유배 보내는 일이 발생했다. 그런 상태에서 명 태조의 생일이 닥치자 조정에서는 모두 핑계를 대며 사신으로 가기를 꺼렸다. 이때 친원파들이 정몽주를 추천했다. 정몽주를 제거하려는 음모였다. 더구나 명의 수도인 남경까지는 대략 90일이 걸리는데, 생일을 불과 60일 남겨둔 상태였다. 정몽주는 유배 중이던 정도전을 급히 불러 서장관으로 삼고 밤낮을 달려 생일날 무사히 축하문을 명 태조에게 전했다. 이때 밀린 조공도 면제받고 유배되었던 사신들도 귀국시키는 공을 세웠다니 외교적인 능력이 탁월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
또한 두 나라 사이에 자꾸 분란이 생기자 명 태조가 성이 나, 장차 [[고려]]에 출병하려 할 뿐 아니라 매년 보내는 토산물을 증액시키고, 지난 5년간 토산물을 약속대로 보내지 않았다며 사신의 볼기를 치고 유배 보내는 일이 발생했다. 그런 상태에서 명 태조의 생일이 닥치자 조정에서는 모두 핑계를 대며 사신으로 가기를 꺼렸다. 이때 친원파들이 정몽주를 추천했다. 정몽주를 제거하려는 음모였다. 더구나 명의 수도인 남경까지는 대략 90일이 걸리는데, 생일을 불과 60일 남겨둔 상태였다. 정몽주는 유배 중이던 정도전을 급히 불러 서장관으로 삼고 밤낮을 달려 생일날 무사히 축하문을 명 태조에게 전했다. 이때 밀린 조공도 면제받고 유배되었던 사신들도 귀국시키는 공을 세웠다니 외교적인 능력이 탁월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1377년에는 왜에 사신으로 가기도 했는데, 이 역시 앞서 사신으로 갔던 나흥유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돌아오자 친원파들이 그를 추천했던 것이다. 정몽주가 뛰어난 인품과 학식으로 교화시키자 그들은 정몽주를 매우 후하게 접대하고, 왜인 승려들은 그의 시를 얻는 것을 큰 영광으로 여겼다 한다. 이때에도 귀국 시 수백 명의 포로들을 데리고 들어왔다.
 
1377년에는 왜에 사신으로 가기도 했는데, 이 역시 앞서 사신으로 갔던 나흥유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돌아오자 친원파들이 그를 추천했던 것이다. 정몽주가 뛰어난 인품과 학식으로 교화시키자 그들은 정몽주를 매우 후하게 접대하고, 왜인 승려들은 그의 시를 얻는 것을 큰 영광으로 여겼다 한다. 이때에도 귀국 시 수백 명의 포로들을 데리고 들어왔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외교, 정치 활동 ===
 
=== 외교, 정치 활동 ===
 
[[1372년]](공민왕 21년) [[3월]] [[명나라]]가 [[서촉]]지방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사(正使)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홍사범]](洪師範)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남경에서 [[고려]]로 귀국하는 길에 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배가 난파당했다. 정사인 [[홍사범]] 등은 익사하고 정몽주는 바위 섬에서 구사일생으로 표류 13일 만에 살아났다. 그 뒤 표류하였으나 그는 가슴 속에 [[명 태조]] [[주원장]]의 서신을 간직하며 물에 한번 젖지 않게끔 보존하고 있었다. [[명 태조]]가 이 소식을 듣고 배를 보내어 굶주림 속에서도 의연한 그의 모습을 보고 귀국을 도와주었으며, 이 사실이 알려져 [[명나라]]로부터 깊은 신뢰를 얻게 되었다. 그는 [[1373년]] [[7월]] [[개경]]으로 돌아왔다.
 
[[1372년]](공민왕 21년) [[3월]] [[명나라]]가 [[서촉]]지방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사(正使)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홍사범]](洪師範)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남경에서 [[고려]]로 귀국하는 길에 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배가 난파당했다. 정사인 [[홍사범]] 등은 익사하고 정몽주는 바위 섬에서 구사일생으로 표류 13일 만에 살아났다. 그 뒤 표류하였으나 그는 가슴 속에 [[명 태조]] [[주원장]]의 서신을 간직하며 물에 한번 젖지 않게끔 보존하고 있었다. [[명 태조]]가 이 소식을 듣고 배를 보내어 굶주림 속에서도 의연한 그의 모습을 보고 귀국을 도와주었으며, 이 사실이 알려져 [[명나라]]로부터 깊은 신뢰를 얻게 되었다. 그는 [[1373년]] [[7월]] [[개경]]으로 돌아왔다.
 
이때 중국의 한 객관에서 지은 시가 후대에 전한다.
 
 
{{인용문|奉天門前 謁天子 / 봉천문 앞에서 천자를 배알하고<br /><br />金陵市上醉佳人  /  금릉 땅 저자에서 가인과 취했노라<ref>[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2092770221 문학의 숲…/ 몸의 자유, 마음의 자유] 조선일보</ref>}}
 
  
 
[[1374년]](공민왕 23년) [[경상도]][[안렴사]]로 부임했으나 그해에 [[공민왕]]이 시해되고 [[우왕]]이 즉위하자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예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다. 이때 [[공민왕]]이 피살되고 김의(金義) 등이 [[명나라]]의 사신을 죽인 일로 [[명나라]]가 [[공민왕]]의 죽음과 [[명나라]] 사신 암살 사건을 놓고 [[고려]] 조정에 책임을 추궁해와 국내가 뒤숭숭해지자, 다들 명에 사신으로 가는 것을 꺼리게 되었으나 그는 사신을 보내 [[명나라]]에 사정을 고하고 사과할 것을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1374년]](공민왕 23년) [[경상도]][[안렴사]]로 부임했으나 그해에 [[공민왕]]이 시해되고 [[우왕]]이 즉위하자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예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다. 이때 [[공민왕]]이 피살되고 김의(金義) 등이 [[명나라]]의 사신을 죽인 일로 [[명나라]]가 [[공민왕]]의 죽음과 [[명나라]] 사신 암살 사건을 놓고 [[고려]] 조정에 책임을 추궁해와 국내가 뒤숭숭해지자, 다들 명에 사신으로 가는 것을 꺼리게 되었으나 그는 사신을 보내 [[명나라]]에 사정을 고하고 사과할 것을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31번째 줄: 27번째 줄:
  
 
그해 [[주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는 성절사(聖節使)가 파견될 때, 사신을 보내 명 태조의 생일을 축하해야 하는 형편이었는데 사람마다 가기를 꺼려했는데, 사신 중 일부는 [[명 태조]]가 그자리에서 처형했기 때문이었다. 정몽주는 자원하여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가서 세공(歲貢)의 감축과 5년간 미납한 세공을 면제받고 긴장 상태에 있던 대명(對明) 국교를 회복하게 하였다. 또한 이전에 억류된 홍상재 등도 풀려나 돌아오게 했다. 1385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여 [[우홍명]](禹洪命) 등 33인을 선발하였고, [[1386년]] [[문하평리]](門下評理)를 거쳐 다시 동지공거가 되었다.
 
그해 [[주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는 성절사(聖節使)가 파견될 때, 사신을 보내 명 태조의 생일을 축하해야 하는 형편이었는데 사람마다 가기를 꺼려했는데, 사신 중 일부는 [[명 태조]]가 그자리에서 처형했기 때문이었다. 정몽주는 자원하여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가서 세공(歲貢)의 감축과 5년간 미납한 세공을 면제받고 긴장 상태에 있던 대명(對明) 국교를 회복하게 하였다. 또한 이전에 억류된 홍상재 등도 풀려나 돌아오게 했다. 1385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여 [[우홍명]](禹洪命) 등 33인을 선발하였고, [[1386년]] [[문하평리]](門下評理)를 거쳐 다시 동지공거가 되었다.
 +
 +
[[1386년]]에는 명나라에 바쳐야 할 5년간의 공물과 일방적으로 명나라에서 늘려 정한 공물을 면제하여 줄 것을 청하러 간 것이었는데<ref name="naeill0124"/>, 명의 황제로부터 (공물 면제) 승낙을 받고 돌아옴으로써 집정자들의 큰 부담을 덜어 주기도 하였다.<ref name="naeill0124"/> 또한 [[고려]]의 흉년과 입을 옷감이 부족한 점을 들어 구원을 요청하여 [[명나라]]로부터 갓과 의복, 옷감 재료의 지원을 받아오는데 성공하였고, 동시에 [[명나라]]로 보내는 토산물의 액수를 감해줄 것을 요청하여 밀린 5년분과 증가한 정액을 모두 면제받았다. [[우왕]]은 그의 공적을 치하하여 옷·안장 등을 하사하였고, 그는 바로 문하평리(門下評理)가 되었다.
 +
 +
[[1387년]] 다시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1387년]] [[명나라]]가 철령위를 [[원나라]]때부터 다스렸던 땅임을 들어 [[철령위]]를 요구하였다. [[명나라]]의 철령위 요구에 전쟁을 주장하는 [[최영]] 등 강경파와 외교로 해결하자는 [[이성계]], [[정도전]] 파로 나뉘게 되자 그는 외교론자가 되어 [[이성계]]와 [[정도전]]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해 [[6월]] 그는 [[하륜]](河崙)·[[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건의하여 백관(百官)의 관복을 정하여 호복(胡服)을 폐지하고 중국제도를 따랐다. 이때 명나라 사신 서질(徐質)이 와서 보고 감탄하여, “고려가 다시 중국의 관대를 따르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하였다. 또한 [[불교]]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정도전]]과 함께 [[불교]]비판의 선봉장에 서고, 유학을 권장하였으며 [[성균관]]을 통해 [[성리학]] 사상의 확산에 노력했다. 이후 [[최영]]을 비판하여 실각시키고 정계에서 축출하는데 성공한다. 그해 12월에 경사(京師)에 가서 조빙(朝聘)을 통하기를 청하였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39번째 줄: 39번째 줄:
 
===각주===
 
===각주===
 
</reference>
 
</reference>
 
[[1386년]]에는 명나라에 바쳐야 할 5년간의 공물과 일방적으로 명나라에서 늘려 정한 공물을 면제하여 줄 것을 청하러 간 것이었는데<ref name="naeill0124"/>, 명의 황제로부터 (공물 면제) 승낙을 받고 돌아옴으로써 집정자들의 큰 부담을 덜어 주기도 하였다.<ref name="naeill0124"/> 또한 [[고려]]의 흉년과 입을 옷감이 부족한 점을 들어 구원을 요청하여 [[명나라]]로부터 갓과 의복, 옷감 재료의 지원을 받아오는데 성공하였고, 동시에 [[명나라]]로 보내는 토산물의 액수를 감해줄 것을 요청하여 밀린 5년분과 증가한 정액을 모두 면제받았다. [[우왕]]은 그의 공적을 치하하여 옷·안장 등을 하사하였고, 그는 바로 문하평리(門下評理)가 되었다.
 
 
[[1387년]] 다시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1387년]] [[명나라]]가 철령위를 [[원나라]]때부터 다스렸던 땅임을 들어 [[철령위]]를 요구하였다. [[명나라]]의 철령위 요구에 전쟁을 주장하는 [[최영]] 등 강경파와 외교로 해결하자는 [[이성계]], [[정도전]] 파로 나뉘게 되자 그는 외교론자가 되어 [[이성계]]와 [[정도전]]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해 [[6월]] 그는 [[하륜]](河崙)·[[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건의하여 백관(百官)의 관복을 정하여 호복(胡服)을 폐지하고 중국제도를 따랐다. 이때 명나라 사신 서질(徐質)이 와서 보고 감탄하여, “고려가 다시 중국의 관대를 따르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하였다. 또한 [[불교]]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정도전]]과 함께 [[불교]]비판의 선봉장에 서고, 유학을 권장하였으며 [[성균관]]을 통해 [[성리학]] 사상의 확산에 노력했다. 이후 [[최영]]을 비판하여 실각시키고 정계에서 축출하는데 성공한다. 그해 12월에 경사(京師)에 가서 조빙(朝聘)을 통하기를 청하였다.
 

2016년 5월 20일 (금) 21:29 판

외교가로서의 정몽주

명나라,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유능한 외교가

정몽주는 고려성리학이 처음 들어올 당시, 이를 탁월하게 이해하고 소화한 뛰어난 학자이기도 하지만, 명나라나 왜국과의 외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한 외교가이기도 하다. 친명 노선을 걷던 공민왕이 갑자기 시해된 뒤 친원파들이 명나라 사신을 죽이는 사건까지 일어나 명나라와의 외교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정몽주는 정확한 해명을 통해 두 나라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주장을 펴 전란의 위기를 해소했다.

또한 두 나라 사이에 자꾸 분란이 생기자 명 태조가 성이 나, 장차 고려에 출병하려 할 뿐 아니라 매년 보내는 토산물을 증액시키고, 지난 5년간 토산물을 약속대로 보내지 않았다며 사신의 볼기를 치고 유배 보내는 일이 발생했다. 그런 상태에서 명 태조의 생일이 닥치자 조정에서는 모두 핑계를 대며 사신으로 가기를 꺼렸다. 이때 친원파들이 정몽주를 추천했다. 정몽주를 제거하려는 음모였다. 더구나 명의 수도인 남경까지는 대략 90일이 걸리는데, 생일을 불과 60일 남겨둔 상태였다. 정몽주는 유배 중이던 정도전을 급히 불러 서장관으로 삼고 밤낮을 달려 생일날 무사히 축하문을 명 태조에게 전했다. 이때 밀린 조공도 면제받고 유배되었던 사신들도 귀국시키는 공을 세웠다니 외교적인 능력이 탁월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1377년에는 왜에 사신으로 가기도 했는데, 이 역시 앞서 사신으로 갔던 나흥유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돌아오자 친원파들이 그를 추천했던 것이다. 정몽주가 뛰어난 인품과 학식으로 교화시키자 그들은 정몽주를 매우 후하게 접대하고, 왜인 승려들은 그의 시를 얻는 것을 큰 영광으로 여겼다 한다. 이때에도 귀국 시 수백 명의 포로들을 데리고 들어왔다.

외교, 정치 활동

1372년(공민왕 21년) 3월 명나라서촉지방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명나라에 파견되는 정사(正使)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홍사범(洪師範)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남경에서 고려로 귀국하는 길에 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배가 난파당했다. 정사인 홍사범 등은 익사하고 정몽주는 바위 섬에서 구사일생으로 표류 13일 만에 살아났다. 그 뒤 표류하였으나 그는 가슴 속에 명 태조 주원장의 서신을 간직하며 물에 한번 젖지 않게끔 보존하고 있었다. 명 태조가 이 소식을 듣고 배를 보내어 굶주림 속에서도 의연한 그의 모습을 보고 귀국을 도와주었으며, 이 사실이 알려져 명나라로부터 깊은 신뢰를 얻게 되었다. 그는 1373년 7월 개경으로 돌아왔다.

1374년(공민왕 23년) 경상도안렴사로 부임했으나 그해에 공민왕이 시해되고 우왕이 즉위하자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예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다. 이때 공민왕이 피살되고 김의(金義) 등이 명나라의 사신을 죽인 일로 명나라공민왕의 죽음과 명나라 사신 암살 사건을 놓고 고려 조정에 책임을 추궁해와 국내가 뒤숭숭해지자, 다들 명에 사신으로 가는 것을 꺼리게 되었으나 그는 사신을 보내 명나라에 사정을 고하고 사과할 것을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1375년 성균관 대사성이 되어 유학을 크게 진흥시켰다. 1376년(우왕 2년) 우사의대부를 거쳐 다시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 이후 명나라와의 외교론을 주장하였다.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그는 이인임(李仁任) 등이 주장하는 배명친원(排明親元)의 외교 방침을 반대하였으며 이인임명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 동시에 북원(北元)에서 보내온 사신을 맞이하려는 이중 외교정책을 추진하자 정몽주는 박상용, 김구용 등 10여 명과 상소하고 대간들도 이인임을 탄핵했다.

“점점 강해지는 명나라를 버리고 쇠퇴해가는 원나라와 친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이때 신진사류원나라와 외교관계를 재개하려는 정책을 문제삼아서, 종국에는 그 정책을 추진한 당시 최고의 권력자였던 이인임지윤(池奫)을 죽이라고 주장하는 데까지 나아갔다.[1] 그 과정에서 정몽주도 1375년(우왕 1년) 5월 원나라에서 온 사신을 사로잡고 관계를 맺지 말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상소를 올렸다.[1] 그러나 이러한 정몽주 등의 정치적 행동은 심각한 좌절로 끝나고 말았다. 정몽주는 물론이고 정도전을 포함하여 신진사류 21명이 죽거나 유배당한 것이다.[1]

이인임의 친원정책을 비판, 규탄하였다가 울산 언양(彦陽)으로 유배 되었다가 1377년(우왕 3년) 정도전 등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개혁정책과 외교

1381년(우왕 7년) 성근익찬공신(誠勤翊贊功臣)에 봉해지고 이듬해 명나라에 사신으로 선발되어 진공사(進貢使)로 명나라에 가다가 여진족을 만났으나 어렵게 야인들의 화를 피하여 중국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명나라 측의 오만한 태도와 입국 거부로 요동(遼東)에서 되돌아왔고, 그해 청시사(請諡使)로 다시 명나라에 갔으나 역시 입국을 거부당하여 요동에서 다시 되돌아왔다.

1383년(우왕 9년) 3월판도판서(版圖判書)를 거쳐 동년 가을 동북면 조전원수(助戰元帥)로서 함경도에 쳐들어온 왜구를 토벌하고, 1384년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올랐다. 그 시 명은 우왕요동 정벌 계획을 사전에 입수하여 고려에 출병하려고 병력을 증원하였으며, 고려에 최후통첩을 보내 매년 보내는 토산물을 증액시켰으며 5년간에 걸쳐 토산물을 약속대로 보내지 않았다고 하여 사신 홍상재(洪尙載) 등을 유배보냈다. 정몽주는 토산물의 부족과 명나라 태조의 처사가 지나침을 호소하였고, 스스로 사신의 직책을 자청한다.

그해 주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는 성절사(聖節使)가 파견될 때, 사신을 보내 명 태조의 생일을 축하해야 하는 형편이었는데 사람마다 가기를 꺼려했는데, 사신 중 일부는 명 태조가 그자리에서 처형했기 때문이었다. 정몽주는 자원하여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가서 세공(歲貢)의 감축과 5년간 미납한 세공을 면제받고 긴장 상태에 있던 대명(對明) 국교를 회복하게 하였다. 또한 이전에 억류된 홍상재 등도 풀려나 돌아오게 했다. 1385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여 우홍명(禹洪命) 등 33인을 선발하였고, 1386년 문하평리(門下評理)를 거쳐 다시 동지공거가 되었다.

1386년에는 명나라에 바쳐야 할 5년간의 공물과 일방적으로 명나라에서 늘려 정한 공물을 면제하여 줄 것을 청하러 간 것이었는데[2], 명의 황제로부터 (공물 면제) 승낙을 받고 돌아옴으로써 집정자들의 큰 부담을 덜어 주기도 하였다.[2] 또한 고려의 흉년과 입을 옷감이 부족한 점을 들어 구원을 요청하여 명나라로부터 갓과 의복, 옷감 재료의 지원을 받아오는데 성공하였고, 동시에 명나라로 보내는 토산물의 액수를 감해줄 것을 요청하여 밀린 5년분과 증가한 정액을 모두 면제받았다. 우왕은 그의 공적을 치하하여 옷·안장 등을 하사하였고, 그는 바로 문하평리(門下評理)가 되었다.

1387년 다시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1387년 명나라가 철령위를 원나라때부터 다스렸던 땅임을 들어 철령위를 요구하였다. 명나라의 철령위 요구에 전쟁을 주장하는 최영 등 강경파와 외교로 해결하자는 이성계, 정도전 파로 나뉘게 되자 그는 외교론자가 되어 이성계정도전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해 6월 그는 하륜(河崙)·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건의하여 백관(百官)의 관복을 정하여 호복(胡服)을 폐지하고 중국제도를 따랐다. 이때 명나라 사신 서질(徐質)이 와서 보고 감탄하여, “고려가 다시 중국의 관대를 따르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하였다. 또한 불교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정도전과 함께 불교비판의 선봉장에 서고, 유학을 권장하였으며 성균관을 통해 성리학 사상의 확산에 노력했다. 이후 최영을 비판하여 실각시키고 정계에서 축출하는데 성공한다. 그해 12월에 경사(京師)에 가서 조빙(朝聘)을 통하기를 청하였다.

참고자료

각주

</reference>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