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지정번호 = 국보 제68호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지정명칭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靑...)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번째 줄: 3번째 줄:
 
|지정번호 = 국보 제68호
 
|지정번호 = 국보 제68호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지정명칭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
|지정명칭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한자명칭 =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영문명칭 =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영문명칭 =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13번째 줄: 14번째 줄: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680000,11&flag=Y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680000,11&flag=Y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
 
 
=='''정의'''==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51 "청자상감운학문매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651 "청자상감운학문매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관련 명명요소'''==
 
=='''관련 명명요소'''==
* 청자
+
<html>
* 상감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운학문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매병]]
+
<iframe width="100%" height="900px" src="http://dh.aks.ac.kr/~heritage/Graph/NT006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위치'''==
 +
<includeonly>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7.5936596&longi=126.996905" frameborder="0" ></iframe>
 +
</includeonly>
 +
 
 +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7.5936596" lon="126.996905"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5936596, 126.996905,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googlemap>
  
 
=='''관련 문화재'''==
 
=='''관련 문화재'''==

2018년 2월 18일 (일) 17:54 기준 최신판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1]

관련 명명요소

위치

관련 문화재

  • 운학문(雲鶴文)
지정종목 지정번호 이미지 지정명칭 한자 표기 영문 표기
보물 1024 보물1024.jpg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 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雲鶴文 碗 Celadon Bowl with Lotus and Scroll Design in Relief and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보물 1030 보물1030.jpg 청자 상감운학문 화분 靑磁 象嵌雲鶴文 花盆 Celadon Flowerpot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 상감(象嵌)
지정종목 지정번호 이미지 지정명칭 한자 표기 영문 표기
국보 66 국보66.jpg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靑磁 象嵌蓮池鴛鴦文 淨甁 Celadon Kundika with Inlaid Willow, Lotus, Reed, and Mandarin Duck Design
국보 98 국보98.jpg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靑磁 象嵌牡丹文 壺 Celadon Jar with Inlaid Peony Design
국보 114 80px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靑磁 象嵌牡丹菊花文 瓜形 甁 Celadon Melon-shaped Bottle with Inlaid Peony and Chrysanthemum Design
국보 115 80px 청자 상감당초문 완 靑磁 象嵌唐草文 碗 Celadon Bowl with Inlaid Scroll Design
국보 116 80px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Inlaid Peony Design
국보 175 80px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白磁 象嵌蓮花唐草文 大楪 White Porcelain Bowl with Inlaid Lotus and Scroll Design
국보 220 80px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 Celadon Lidded Bowl and Saucer with Inlaid Dragon, Phoenix, and Peony Design
국보 253 80px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釦 鉢 Celadon Bowl with Silver Lip, Lotus and Scroll Design in Relief, and Inlaid Peony Design

주석

  1. "청자상감운학문매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