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 내용 ==
 
== 내용 ==
* 사회의 질서를 위해 만들어진 유교적 윤리규범을 지칭한다. 예()는 본시 고대 사회에서 복을 받기 위해 귀신을 섬기는 일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며 ‘예()’자의 ‘示’는 ‘神’자에서, ‘豊’은 그릇에 곡식을 담은 모양이라고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풀이한다. 유가에서 예를 매우 중요시하여 《시경(詩經)》에는 ‘사람이면서 예가 없다니 어찌하여 빨리 죽지 않는가(人而無禮胡不遄死)라고 하였고 심지어 예로써 짐승과 구분 기준을 삼았다. 예의 종류로 오례(五禮)라 하여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吉禮 ·凶禮 ·軍禮 ·賓禮 ·嘉禮)를, 구례(九禮)라 하여 관례(冠禮) ·혼례(婚禮) ·조례(朝禮) ·빙례(聘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빈주례(賓主禮) ·향음례(鄕飮禮) ·군여례(軍旅禮)를 말하여 한국에도 전래되었지만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례(四禮), 곧 관례, 혼례, 상례, 제례이다. 이 사례를 일컬어 가례(家禮)라 하며 주자의 예설을 모아 편한 《주자가례(朱子家禮)》가 조선시대의 모든 가례의 표준이 되었다.
+
* () 임금 때 활쏘기의 명수(名手). (羿). 하늘에 해 10개가 나란히 뜨매 후예더러 쏘게 하니, 9개의 해 속 까마귀[일오日烏] 가 모두 죽어 날개와 깃이 떨어져 내렸다 함.
 
+
* 지금까지도 항간에서 많이 쓰이는 《사례편람(四禮便覽)》을 비롯하여 《사례찬설》 《사례촬요》 《사례훈몽》 등 예절에 관한 많은 책들이 한결같이 《주자가례》를 모범으로 삼았을 정도로 주자의 예설이 한국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였다. 그런데 이런 예법은 주로 양반 계층에서 지켜졌으며 이른바 상민계급에게는 별로 통용되지 않았다. 중국은 양반계급에서조차 한국만큼 예가 철저하게 준용되지 않았다. 한국의 지나친 예의 준용은 당쟁이나 사화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여 사회에 끼친 부정적 영향이 매우 컸다. 이는 공자가 강조한 예의 본질은 차츰 퇴색하고 예의 형식이 위세를 떨쳤기 때문이다.
+
  
 +
*燿如羿射九日落 矯如群帝驂龍翔(요여예사구일락 교여군제참룡상 ; 빛남은 후예가 아홉 해를 쏘아 떨어뜨리는 듯, 솟아오를 때는 뭇 천제天帝들이 용을 타고 날아가는 듯 옷자락 너울거리네.)<두보杜甫 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觀公孫大娘弟子舞劒器行>
 +
[네이버 지식백과] 후예 [後羿] (한시어사전, 2007. 7. 9., 국학자료원)
 +
예는 원래 천제(天帝)인 준(俊) 수하의 신이었다. 준이 새의 모습을 한 신이기에, 그의 수하라는 증거로 '羿'라는 이름 안에 날개를 의미하는 '羽' 자를 갖고 있었다. 제요의 요청에 응답해 제준은 지상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특별히 예를 파견했다. 예가 고대 최고의 활 명인이었으므로, 준은 무기로 붉은 칠의 활과 끈이 달린 화살을 하사했다. 제요의 부름을 받은 예는 드디어 신의 활과 화살을 지니고 괴물들과 대결하게 된다.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2017년 6월 18일 (일) 22:01 판

기본정보

下載.jpg

요약

  • 넓은 의미로는 풍속이나 습관으로 형성된 행위 준칙, 도덕 규범, 등 각종 예절.

내용

  • 요(堯) 임금 때 활쏘기의 명수(名手). 예(羿). 하늘에 해 10개가 나란히 뜨매 후예더러 쏘게 하니, 9개의 해 속 까마귀[일오日烏] 가 모두 죽어 날개와 깃이 떨어져 내렸다 함.
  • 燿如羿射九日落 矯如群帝驂龍翔(요여예사구일락 교여군제참룡상 ; 빛남은 후예가 아홉 해를 쏘아 떨어뜨리는 듯, 솟아오를 때는 뭇 천제天帝들이 용을 타고 날아가는 듯 옷자락 너울거리네.)<두보杜甫 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觀公孫大娘弟子舞劒器行>

[네이버 지식백과] 후예 [後羿] (한시어사전, 2007. 7. 9., 국학자료원) 예는 원래 천제(天帝)인 준(俊) 수하의 신이었다. 준이 새의 모습을 한 신이기에, 그의 수하라는 증거로 '羿'라는 이름 안에 날개를 의미하는 '羽' 자를 갖고 있었다. 제요의 요청에 응답해 제준은 지상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특별히 예를 파견했다. 예가 고대 최고의 활 명인이었으므로, 준은 무기로 붉은 칠의 활과 끈이 달린 화살을 하사했다. 제요의 부름을 받은 예는 드디어 신의 활과 화살을 지니고 괴물들과 대결하게 된다.

참고 자료

예(두산백과)

신화를 소재로한 영화들

 [펼치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