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냉화(山齋冷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9번째 줄: 9번째 줄:
 
|판본= 필사본(筆寫本)
 
|판본= 필사본(筆寫本)
 
|권책= 不分卷1冊
 
|권책= 不分卷1冊
|고전번역원링크=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O&seojiId=kc_mo_h060&gunchaId=hv024&muncheId=&finId=001 고전번역원 산재냉화(山齋冷話)]
+
|원문이미지= <!--http://dh.aks.ac.kr/~red/sjnh.pdf 산재냉화(山齋冷話) 원본-->
|필드수= 9
+
|고전번역원자료=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O&seojiId=kc_mo_h060&gunchaId=hv024&muncheId=&finId=001 고전번역원 산재냉화(山齋冷話)]
 +
|필드수= 10
 
}}
 
}}
  
==해설==
+
==간략 해설==
정약용의 수기치인(修己治人)적 처세관이 잘 피력된 저술이다. 다산 친필이다. 매우 드물게 호를 “철마산초(鐵馬山樵)”라 하였다. 일상의 일들을 설(說)의 문체에 냉화(冷話)의 형식을 빌어 교훈적 내용을 적었다.
+
*정약용의 수기치인(修己治人)적 처세관이 잘 피력된 저술이다. 다산 친필이다. 매우 드물게 호를 “철마산초(鐵馬山樵)”라 하였다. 일상의 일들을 설(說)의 문체에 냉화(冷話)의 형식을 빌어 교훈적 내용을 적었다.
  
==예문==
+
==대표 예문==
"은혜를 입고 갚지 않는 것은 고인이 비유컨대 우석(雨石)이라 한다. 빗물이 흙에 떨어지면 흙은 비를 품으니 이로 말미암아 오곡백과가 생겨나고 잎이 자라 그 꽃을 피움으로써 비의 본래의 뜻에 보답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답하는 자의 모습인 것이다.
+
*"은혜를 입고 갚지 않는 것은 고인이 비유컨대 우석(雨石)이라 한다. 빗물이 흙에 떨어지면 흙은 비를 품으니 이로 말미암아 오곡백과가 생겨나고 잎이 자라 그 꽃을 피움으로써 비의 본래의 뜻에 보답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답하는 자의 모습인 것이다.
 
(受恩而不報者 古人比之雨石 凡雨落于土 土則含之 於是發生白果五穀 舒其葉鬯其榮 以答雨之本意 此報恩者像也)"
 
(受恩而不報者 古人比之雨石 凡雨落于土 土則含之 於是發生白果五穀 舒其葉鬯其榮 以答雨之本意 此報恩者像也)"
 +
 +
==관련 논문==
 +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74700136&dir_id=0&page=0&query=%EC%82%B0%EC%9E%AC%EB%83%89%ED%99%94%28%E5%B1%B1%E9%BD%8B%E5%86%B7%E8%A9%B1%29&ndsCategoryId=10102&library=69 <說林 : 茶山 「山齋冷話」 述義(1987)>]

2017년 6월 9일 (금) 15:16 기준 최신판

다산 산재냉화.jpg
한글명칭 산재냉화
한자명칭 山齋冷話
작자 정약용(丁若鏞)
간행시기 19세기 이후
크기(세로×가로) 25.2 x 16.5 cm
판본 필사본(筆寫本)
권책 不分卷1冊
고전번역원자료 고전번역원 산재냉화(山齋冷話)


간략 해설

  • 정약용의 수기치인(修己治人)적 처세관이 잘 피력된 저술이다. 다산 친필이다. 매우 드물게 호를 “철마산초(鐵馬山樵)”라 하였다. 일상의 일들을 설(說)의 문체에 냉화(冷話)의 형식을 빌어 교훈적 내용을 적었다.

대표 예문

  • "은혜를 입고 갚지 않는 것은 고인이 비유컨대 우석(雨石)이라 한다. 빗물이 흙에 떨어지면 흙은 비를 품으니 이로 말미암아 오곡백과가 생겨나고 잎이 자라 그 꽃을 피움으로써 비의 본래의 뜻에 보답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답하는 자의 모습인 것이다.

(受恩而不報者 古人比之雨石 凡雨落于土 土則含之 於是發生白果五穀 舒其葉鬯其榮 以答雨之本意 此報恩者像也)"

관련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