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Created page with "== Meta Data == * 타입: 인물 * 한글항목명 : 증자 * 한자항목명 : 曾子 * 편자: 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
 
(Created page with "== Meta Data == * 타입: 인물 * 한글항목명 : 증자 * 한자항목명 : 曾子 * 편자: 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
3번째 줄: 3번째 줄:
 
* 한글항목명 : 증자
 
* 한글항목명 : 증자
 
* 한자항목명 : 曾子
 
* 한자항목명 : 曾子
* 편자: [[자운서원팀 KU |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201410325%EC%9E%A5%EC%84%A0%EC%98%81 장선영]
+
* 편자: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title=201410325%EC%9E%A5%EC%84%A0%EC%98%81 장선영]
 
----
 
----
  
24번째 줄: 24번째 줄:
 
----
 
----
  
[[분류:서원 KU]]
+
[[Digerati Wiki]]

2014년 5월 31일 (토) 08:09 판

Meta Data


내용

  • 출생-사망 : BC 506 ~ BC 436
  • 자 : 자여(子輿)
  • 본명 : 삼(參)
  • 국적 : 중국
  • 활동분야 : 철학
  • 출생지 : 중국 산둥성[山東省]


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 공자의 도(道)를 계승하였으며, 그의 가르침은 공자의 손자 자사를 거쳐 맹자에게 전해져 유교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동양 5성의 한 사람이다.
공자 사후 유가의 유력한 일파를 형성하여 공자사상의 유심주의적 측면을 발전시켰다. 그의 언행은 《논어》에 몇 조목이 보이며, 또 《대대례기》(大戴禮記)의 증자 10편 및 《효경》은 그의 저작이라고 인정된다. 그는 당시 진행 중이던 봉건제의 붕괴를 제지하기 위하여 씨족제로부터 비롯된‘(孝)’라는 덕목을 강조하였다. 또, “하루에 세 번 내 몸을 살펴본다”라고 하여 공자 사상의 근본을 충서(忠恕)라는 말로 표현했다.


웹 자원

두산백과 증자
위키피디아 증자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