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윤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b><font color="purple" size="3">{{CURRENTYEAR}}  {{CURRENTMONTHNAME}}{{CURRENTDAY}} {{CURRENTDAYNAME}}  {{CURRENTTIME}}</font></b></center>
 
<b><font color="purple" size="3">{{CURRENTYEAR}}  {{CURRENTMONTHNAME}}{{CURRENTDAY}} {{CURRENTDAYNAME}}  {{CURRENTTIME}}</font></b></center>
  
 +
== '''데이터베이스''' ==
  
 +
<googlemap width="800" height="600" lat="46" lon="2" type="normal" zoom="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44.7951, -0.618442, [[Universite Michel De Montaigne - Bordeaux 3]]
 +
43.3002, 5.3679,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EHESS)]]
 +
48.8578, 2.33247,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INALCO)]]
 +
48.8842, 2.31031, [[Universite Paris 7 Denis Diderot]]
 +
48.8537, 2.32997, [[Sciencnes Po (파리정치대학)]]
 +
46.1418, -1.15113, [[Universite de La Rochelle]]
 +
49.2849, 1.00518, [[University of Rouen]]
 +
49.4964, 0.130858, [[University of Havre]]
 +
45.7483, 4.86006, [[Jean Moylin Lyon3 University]]
 +
48.8484, 2.34346, [[Paris-Sorbonne (Paris IV) University]]
 +
48.8334, 2.369, [[Paris Diderot University]]
 +
48.9102, 2.30376, [[National Institute of Oriental Language and Civilizations]]
 +
48.2755, 2.41561, [[National Foundation of Political Science]]
 +
48.8438, 2.25339, [[Center for Korean Studies]]
 +
48.8489, 2.34549, [[College of France]]
 +
37.5858, 127.021, [[Seoul Center of the French School of Asian Studies]]
 +
48.8786, 2.36037, [[French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
48.9018, 2.35969, [[Frenc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
48.8764, 2.39102, [[Center for Independent Researches about Korea]]
 +
</googlemap>
  
 
== '''프로필''' ==
 
== '''프로필''' ==

2016년 10월 27일 (목) 00:03 판

2024 6월28 금요일 06:11

데이터베이스

프로필

  • 이름: 변윤경
  • 영문: Yoonkyong Byon
  • 전공: 국어학
  • 이메일:kamangsan@naver.com



최근에 날 자극시킨 무엇

주어 서술어 목적어
~는 ~을/를 사랑한다. 나무, 햇살, 파랑, 음악
~는 ~을/를 미워한다. 불합리, 몰이해, 정당화
~은 ~을/를 만든다. 설렘, 변덕, 꽃, 봄비

내가 기억하는 문화유산

  • 나카구스쿠 유적
  • 기억하는 이유

오키나와의 세계문화유산 중 하나.

풍화된 돌담과 무성한 잔디로 남은 고성에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그린 천공의 성 라퓨타를 떠올림.

하늘로 솟은 성벽과 땅으로 깊게 파인 옛 우물은 신화 속 공간 그 자체.

인생의 무상함과 아득한 옛날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해 주었던 곳.

20160305 나가구스쿠 01.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20160305 나가구스쿠 02.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각주

  1. 제 이름은 친할아버지께서 지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