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지정번호 = 보물 제313호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한자명칭 =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지정번호 = 보물 제313호 | |지정번호 = 보물 제313호 |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
+ | |지정명칭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
|한자명칭 =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한자명칭 =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Jingak at Wollamsa Temple Site, Gangjin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Jingak at Wollamsa Temple Site, Gangjin | ||
10번째 줄: | 11번째 줄: | ||
|위도 = 34.742867 | |위도 = 34.742867 | ||
|경도 = 126.710714 | |경도 = 126.710714 | ||
− | |사진 = | + | |사진 = 진각국사비.jpg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 ||
}} | }} |
2016년 10월 12일 (수) 01:00 기준 최신판
개요
월남사는 고려 중기에 진각국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창건 이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진각국사의 성은 최씨이고 이름은 혜심(慧諶)으로 24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어머니의 죽음으로 출가를 하게 되었다. 출가 후 보조선사 밑에서 수도를 하였고 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대선사(大禪師)가 되었으며, 고종 21년(1234)에 57세로 입적하였다. 월남사 터에 서 있는 이 비는 절을 창건한 진각국사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린 형태이다. 받침돌인 거북은 입에 구슬을 문 상태로 긴 목을 빼어들고 네 발을 단단히 짚고 있는데, 그 모습이 매우 강렬하고 사실적이다. 발톱에서 보이는 현실성이나 목과 머리조각의 세부표현 또한 전체적인 균형과 잘 어우러져 한층 돋보인다. 비몸은 원래 매우 컸다고 하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아랫부분만 남아 있으며,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은 잘 보이지 않는다.
비문은 당시의 문장가인 이규보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며, 비를 세운 시기는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1]
위치
관련 문화재
- 전라남도기념물 제 125호 월남사지
- 보물 제298호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이미지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귀부
진각국사비 귀부 뒷면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慧諶, 1178∼1234)의 초상화.[2]
진각국사비 비문
주석
- ↑ 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 보물 제1043호.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중 하나. 1780년작, 비단바탕에 채색. 출처: '혜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