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 3호분 벽화 투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개관) |
(→관련 문서)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 }} | ||
==개관== | ==개관== | ||
− | 투구는 갑옷과 함께 착용하는 쇠로 된 모자로, 머리를 감싸 적의 공격을 막는 방어적인 무장이다.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온 투구는 주로 기마 무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안악 3호분 벽화]] 가운데 무덤주인의 강력한 권위를 나타낸 회랑의 대행렬도 중, 갑옷을 착용한 기병의 모습을 볼 수 | + | 투구는 갑옷과 함께 착용하는 쇠로 된 모자로, 머리를 감싸 적의 공격을 막는 방어적인 무장이다.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온 투구는 주로 기마 무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안악 3호분 벽화]] 가운데 무덤주인의 강력한 권위를 나타낸 회랑의 대행렬도 중, 갑옷을 착용한 기병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기병과 그 외 보병 등의 무사들은 무덤주인의 수레를 중심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각각 일렬 종대씩 정돈된 채 주인을 호위하고 있다. 말까지 갑옷으로 완전무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
− | + | ||
− | 마갑을 입힌 말 위에 완전무장한 | + | 마갑을 입힌 말 위에 완전무장한 개마무사가 쓴 투구는 정상에 높은 간주를 세우고 장식으로서 상모 혹은 삭모라고도 불리우는 술이 달려있다. 다른 벽화에서 보이는 투구를 장식하는 쌍각은 보이지 않는다. |
− | [ | + | <gallery> |
− | 그 뒤를 따르는 창수가 착용한 투구는 규형 철판을 연접한 | + | 파일:철갑기병.jpg|안악 3호분 벽화에 묘사된 투구<ref>사진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0092&content_id=cp021300920001&search_left_menu=1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ref> |
+ | 파일:안악무사.jpg|이화여대에서 고증한 안악 3호분 개마무사<ref>그림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21300820001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ref> | ||
+ | </gallery> | ||
+ | 그 뒤를 따르는 창수가 착용한 투구는 규형 철판을 연접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025&cid=49345&categoryId=49345 종장판주]로, 투구 정상에는 짧은 간주를 세우고 상모를 달고 있다. | ||
+ | <gallery> | ||
+ | 파일:안3투구.jpg|안악 3호분 벽화에 묘사된 투구<ref>사진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21300820001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ref> | ||
+ | 파일:안3창병.jpg|이화여대에서 고증한 안악 3호분 창병<ref>사진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0092&content_id=cp021300920001&search_left_menu=1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ref> | ||
+ | </gallery> | ||
==지도== | ==지도== | ||
29번째 줄: | 36번째 줄: |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A는 B에 속한다||[[안악 3호분 벽화]]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A는 B에 속한다||[[안악 3호분 벽화]] | ||
|- | |- | ||
−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 4보루 투구]] | +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2016년 6월 26일 (일) 02:11 기준 최신판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 |
---|---|
시대 | 고구려 |
위치 | 안악 3호분 |
주소 | 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
개관
투구는 갑옷과 함께 착용하는 쇠로 된 모자로, 머리를 감싸 적의 공격을 막는 방어적인 무장이다.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온 투구는 주로 기마 무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안악 3호분 벽화 가운데 무덤주인의 강력한 권위를 나타낸 회랑의 대행렬도 중, 갑옷을 착용한 기병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기병과 그 외 보병 등의 무사들은 무덤주인의 수레를 중심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각각 일렬 종대씩 정돈된 채 주인을 호위하고 있다. 말까지 갑옷으로 완전무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마갑을 입힌 말 위에 완전무장한 개마무사가 쓴 투구는 정상에 높은 간주를 세우고 장식으로서 상모 혹은 삭모라고도 불리우는 술이 달려있다. 다른 벽화에서 보이는 투구를 장식하는 쌍각은 보이지 않는다.
그 뒤를 따르는 창수가 착용한 투구는 규형 철판을 연접한 종장판주로, 투구 정상에는 짧은 간주를 세우고 상모를 달고 있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 A는 B시대에 그려졌다 | 고구려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 A는 B에 속한다 | 안악 3호분 벽화 |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 A는 B와 관련된다 | 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
주석
- ↑ 사진출처: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
- ↑ 그림출처: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
- ↑ 사진출처: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
- ↑ 사진출처: '안악 3호분 벽화 투구', 문화콘텐츠닷컴
참고
- 안악 3호분, 문화콘텐츠닷컴
- 최종택, 「아차산 고구려 보루 발굴 10년, 성과와 의의」, 한국사 시민강좌, 44, 206~207쪽.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