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곶이 목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은 사용자에 의한 1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2번째 줄: 12번째 줄:
  
 
=='''개관'''==
 
=='''개관'''==
[[살곶이 목장]]조선 태조 때부터 연간에, 어승마를 포함하여 왈실에서 사용할 말과, 전마, 진헌마 등을 사육하고 조련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목장의 경계는 아차산 마루에서 망우동, 중랑포, 답십리를 거쳐 살곶이에 이르고, 살곶이에서 한각을 경계로 하여, 그 안에 위치한 뚝섬, 신천(新川), 광장리(廣壯里) 등을 포함하며, 광나루에서 다시 능선을 따라 아차산에 이르고 있다. 살곶이에서 한강변까지의 구간에는 목책과 석책을 설치하고, 버드나무를 심어 놓았다. 이경계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동대문구 일부와 송파구 잠실동 등을 아우르며, 약 30 ~ 40리로 최대 1만 필의 새끼를 기를수 있는 넓은 목장이었다.
 
  
주요 시설중에 하나인 <장소>화양정 (華陽亭)</장소>방목을 감독하고 왕이 열무, 강무, 점마 등을 사열하는 장소로 현재 광진구 건국대학교 내에 위치해 있다.
+
[[아차산]]을 주봉으로 하여 그 서쪽 기슭에 조선시대 국립 목장격인 [[살곶이 목장]]이 있었다. [[살곶이 목장]]은 조선시대 국가에서 필요한 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 운영되던 양마장이다. 1788~1802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는 [[사복시]]에서 만든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에 의하면 그 둘레는 약 20km에 이르는데, 여러 문헌기록에는 30~40리에 이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
 
 +
[[살곶이 목장]]의 구체적인 경계를 살펴보면 동쪽 경계는 [[아차산]] 줄기가 되고 서쪽 경계는 오늘날의 [[배봉산]]으로부터 [[한양대학교]]가 자리잡고 있는 구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된다. 북쪽 경계는 오늘날의 월릉교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중랑포 아래쪽에서 냇물과 벌판을 가로질러 면목리 위쪽에 아차산 줄기까지 이어지는 선이었다. 이 경계는 명종 이전에는 목책을 세운 토성이었다가 그 이후에는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1633년(현종4년)에 허목이 쓴 한성목장지도 중 [[진헌마정색도|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에 살곶이 목장이 나와있다.
 +
 
 +
이 지도에서 살곶이 목장은 세종 때와 연산군 때 일시 폐지되었다가 다시 설치되었는데 목장에서는 왕이 사냥할때 필요한 말을 기르고 훈련시켰으며, 군사의 무예 검열과 왕의 사냥터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
 
 +
[[살곶이 목장]]은 헌종 12년(1846년)에 익종의 능인 수릉을 천장산에서 [[용마봉]]으로 옮겨옴에 따라 폐지되었다가 철종 6년(1855년) 수릉이 [[구리 동구릉]]으로 옮김에 따라 다시 목장으로 복구되었으나, 1904년 순종황제의 비인 순명황후를 지금의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 내 [[유강원]]에 안장함으로써 폐지되었다. 주요 시설중에 하나인 [[화양정|화양정(華陽亭)]]은 방목을 감독하고 왕이 열무, 강무, 점마 등을 사열하는 장소로 현재 광진구 [[건국대학교]] 내에 위치해 있다.
 +
<ref>[h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393&cid=49352&categoryId=49352 살곶이 목장 터,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클래스'''==
 
=='''클래스'''==
  
24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살곶이 목장]]||A는 B에 만들어 졌다||[[삼국시대]]
+
|[[살곶이 목장]]||A은 B에 최초로 만들어 졌다||[[삼국시대]]
 
|-
 
|-
 
+
|[[살곶이 목장]]||A에 B이 있었다.||[[화양정]]
 +
|-
 +
|[[살곶이 목장]]||A에 B가 있었다.||[[살곶이 다리]]
 +
|}
  
 
=='''지도'''==
 
=='''지도'''==
<googlemap height="400" lat="37.551829" lon="127.046671" type="hybrid"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width="90%" height="300" lat="37.551829" lon="127.046671" type="terrain"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551829, 127.046671, [[살곶이 목장 터]]
 
37.551829, 127.046671, [[살곶이 목장 터]]
 
</googlemap>
 
</googlemap>
44번째 줄: 54번째 줄:
 
[[분류:장원석]]
 
[[분류:장원석]]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분류:아차산성]]

2016년 6월 24일 (금) 19:50 기준 최신판


개관

아차산을 주봉으로 하여 그 서쪽 기슭에 조선시대 국립 목장격인 살곶이 목장이 있었다. 살곶이 목장은 조선시대 국가에서 필요한 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 운영되던 양마장이다. 1788~1802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는 사복시에서 만든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에 의하면 그 둘레는 약 20km에 이르는데, 여러 문헌기록에는 30~40리에 이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살곶이 목장의 구체적인 경계를 살펴보면 동쪽 경계는 아차산 줄기가 되고 서쪽 경계는 오늘날의 배봉산으로부터 한양대학교가 자리잡고 있는 구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된다. 북쪽 경계는 오늘날의 월릉교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중랑포 아래쪽에서 냇물과 벌판을 가로질러 면목리 위쪽에 아차산 줄기까지 이어지는 선이었다. 이 경계는 명종 이전에는 목책을 세운 토성이었다가 그 이후에는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1633년(현종4년)에 허목이 쓴 한성목장지도 중 진헌마정색도(進獻馬正色圖)에 살곶이 목장이 나와있다.

이 지도에서 살곶이 목장은 세종 때와 연산군 때 일시 폐지되었다가 다시 설치되었는데 목장에서는 왕이 사냥할때 필요한 말을 기르고 훈련시켰으며, 군사의 무예 검열과 왕의 사냥터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살곶이 목장은 헌종 12년(1846년)에 익종의 능인 수릉을 천장산에서 용마봉으로 옮겨옴에 따라 폐지되었다가 철종 6년(1855년) 수릉이 구리 동구릉으로 옮김에 따라 다시 목장으로 복구되었으나, 1904년 순종황제의 비인 순명황후를 지금의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유강원에 안장함으로써 폐지되었다. 주요 시설중에 하나인 화양정(華陽亭)은 방목을 감독하고 왕이 열무, 강무, 점마 등을 사열하는 장소로 현재 광진구 건국대학교 내에 위치해 있다. [1]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살곶이 목장 A은 B에 최초로 만들어 졌다 삼국시대
살곶이 목장 A에 B이 있었다. 화양정
살곶이 목장 A에 B가 있었다. 살곶이 다리

지도

갤러리

기여

출처

  1. [h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393&cid=49352&categoryId=49352 살곶이 목장 터, 문화콘텐츠닷컴,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