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 4보루 철제투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물 정보 |대표명칭 = 아차산 4보루 투구<ref>아래 사진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사물 정보
 
|대표명칭 = 아차산 4보루 투구<ref>아래 사진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7쪽.</ref>
 
|시대 = [[삼국시대]]
 
|발견지 = [[아차산성 A지구]]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사진 = 초두.jpg
 
}}
 
=='''개관'''==
 
'''아차산성 철제 초두'''는 [[아차산성]] A지구 기단건물지에서 출토되었는데, 세 개의 다리와 손잡이를 가지고 있는 철제 초두로서 다리 한 개와 손잡이가 결실된 상태이며, 1호 온돌 아궁이 앞에서 직립한 채로 출토되었다.
 
  
 
==='''아차산성 철제 초두'''와 [[아차산성]]===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4027&cid=46657&categoryId=46657 초두]는 술이나 국물 종류를 데우는 데에 사용된 용기로서 의례 등의 특수 용도에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남한에서 보고된 이런 형태의 철제초두는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C%B2%9C_%EB%B0%98%EC%9B%94%EC%84%B1 반월산성]의 출토품 1점에 불과한데, 이러한 형식의 고식 초두는 왕릉이나 수도 부근의 고분 등에 국한하여 출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차산성 철제 초두'''는 [[아차산성]]에 기거하던 인물의 성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아차산성 토우]]와 '''아차산성 철제 초두''', 그리고 [[아차산성]]===
 
[[삼국사기]] 제5권 신라본기 제5에는 661년 [[신라]] [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C%A2%85%EB%AC%B4%EC%97%B4%EC%99%95 태종무열왕]8년에 [[고구려]]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96748&cid=40942&categoryId=33692 술천성(述川城)]을 공격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https://ko.wikipedia.org/wiki/%EB%B6%81%ED%95%9C%EC%82%B0%EC%84%B1 북한산성]을 공격했는데, 이때 성안에 남녀 2,800명이 있었으며, [[신라]] 17관등 중 11위에 해당하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503&cid=46620&categoryId=46620 나마(奈麻)]또는 10위에 해당하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4773&cid=46620&categoryId=46620 대나마(大奈麻)]관등의 성주가 주둔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적을 물리친 공으로 성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763&cid=41826&categoryId=41826 동타천(冬陁川)]의 관등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4773&cid=46620&categoryId=46620 대나마(大奈麻)]로 올려주었다고 한다.
 
 
<div style="font-size:10pt;color:grey;margin: 20px 20px 20px 20px;">高句麗將軍惱音信與靺鞨將軍生偕合軍來攻述川城 不克 移攻北漢山城 列抛車飛石 所當陴屋輒壞 城主大舍冬陁川使人擲鐵蒺蔾於城外 人馬不能行 又破安養寺廩廥 輸其材 隨城壞處 卽構爲樓櫓 結絙網 懸牛馬皮綿衣 內設弩砲以守 時 城內只有男女二千八百人 城主冬陁川能激勵少弱 以敵强大之賊 凡二十餘日 然糧盡力疲 至誠告天 忽有大星 落於賊營 又雷雨以震 賊疑懼解圍而去 王嘉獎冬陁川 擢位大奈麻</div>
 
 
이상의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현존하는 [[아차산성]]은 7세기 중엽에 2천 8백여 명의 신라인이 거주할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고, 668년 [[고구려]] 정벌 당시 신라군의 중진(重鎭)<ref>국가의 방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한 군진(軍鎭)을 뜻함.</ref>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차산성]] A지구 기단건물지에서 출토된 관모를 착용한 [[아차산성 토우]]와 '''아차산성 철제 초두'''는 유물이 지닌 성격상 [[아차산성]]이 중요한 기능을 하였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ref>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32-33쪽.</ref>
 
 
=='''지도'''==
 
<googlemap width="510" height="300" lat="37.554614" lon="127.102911" type="hybrid"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554614, 127.102911, [[아차산성]]
 
</googlemap>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성]]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에 만들어졌다||[[고구려]]시대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성 토우]]
 
|-
 
|[[아차산성 철제 초두]]||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반월산성 초두]]
 
|}
 
 
=='''갤러리'''==
 
<gallery>
 
파일:초두도면.jpg|아차산성 철제 초두 도면<ref>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25쪽.</ref>
 
</gallery>
 
 
=='''주석'''==
 
<references/>
 
 
=='''기여'''==
 
*[[김지선]]: 처음 작성
 
 
 
[[분류:아차산성]]
 
[[분류:김지선]]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사물]]
 

2016년 6월 23일 (목) 18:00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