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묘지공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시설정보 |명칭 =망우묘지공원(구 망우리공동묘지) |영문명칭 = |분류 = 공원 |설립 시기 = 1933년 5월 27일 |규모 = 망우산 일대 83만 2,800㎡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6번째 줄: 6번째 줄:
 
|규모 = 망우산 일대 83만 2,800㎡
 
|규모 = 망우산 일대 83만 2,800㎡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69-1일대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69-1일대
|사진 = 망우공원위치도.png <ref>사진출처: [http://www.jungnang.go.kr/portal/main.do 중랑구청]</ref>
+
|사진 = 망우공원위치도.png | <ref>사진출처: [http://www.jungnang.go.kr/portal/main.do 중랑구청]</ref>
 
|웹사이트 = [http://www.jungnang.go.kr/portal/main.do 중랑구청]
 
|웹사이트 = [http://www.jungnang.go.kr/portal/main.do 중랑구청]
 
}}
 
}}
 +
  
 
==개요==
 
==개요==
'''망우묘지공원'''은 [[망우산]]일대 83만 2,800㎡공간에 조성된 묘지공원이다. 1944년 5월 27일부터 공동묘지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73년 3월에 2만 8,500여 기의 분묘가 가득찼다. 이장과 납골을 장려한 결과 1만 7,041기(2005기준)의 묘가 남아 있다.
+
'''망우묘지공원'''은 [[망우산]]일대 83만 2,800㎡공간에 조성된 묘지공원이다. 1944년 5월 27일부터 공동묘지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73년 3월에 2만 8,500여 기의 분묘가 가득찼다. 이장과 납골을 장려한 결과 1만 7,041기(2005기준)의 묘가 남아 있다<ref>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53066&cid=40942&categoryId=31922 두산백과]</ref>.  [[중랑구]]에서는 1992년 2월에 이 곳에 안장되어 있는 방정환, 오세창, 한용운, 조봉암, 지석영, 문명훤, 서병호, 서동일 등 8명에 대한 연보비를 추가로 5.2k㎡의 산책로에 조성하였다.
  
 
==관련 문서==
 
==관련 문서==
38번째 줄: 39번째 줄:
 
망우묘지공원1.jpg|  
 
망우묘지공원1.jpg|  
 
망우묘지공원2.jpg|   
 
망우묘지공원2.jpg|   
+
망우묘지공원3.jpg|
 +
 
 
</gallery>
 
</gallery>
 
== 클래스 ==
 
== 클래스 ==

2016년 6월 21일 (화) 11:27 기준 최신판


개요

망우묘지공원망우산일대 83만 2,800㎡공간에 조성된 묘지공원이다. 1944년 5월 27일부터 공동묘지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73년 3월에 2만 8,500여 기의 분묘가 가득찼다. 이장과 납골을 장려한 결과 1만 7,041기(2005기준)의 묘가 남아 있다[1]. 중랑구에서는 1992년 2월에 이 곳에 안장되어 있는 방정환, 오세창, 한용운, 조봉암, 지석영, 문명훤, 서병호, 서동일 등 8명에 대한 연보비를 추가로 5.2k㎡의 산책로에 조성하였다.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망우묘지공원 ~에 위치한다. 망우산
망우묘지공원 ~의 일부이다. 서울 둘레길
망우묘지공원 ~가 관할한다. 중랑구


지도

갤러리

클래스

  • 장소

기여

출처

  1. 출처:두산백과
  2. 그림출처:「망우묘지공원내 인문학적 길 조성 연구용역」,한국내셔널트러스트,2014.12
  3. 그림출처: 한국내셔널트러스트